100세 시대, 더 이상 불안하지 않은 ‘노전 정리’
인생 50, 60까지 부지런히 달려왔어도 여전히 부양해야 하는 가족들이 있고, 얽히고설킨 인간관계로 편안함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계속 끌려 다니다가 ‘아뿔싸, 늦었구나!’ 할 때가 온다. 마스노 슌묘는 이 모든 게 단숨에 정리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우선 10%씩만 정리해 보자고 한다. 옷장 속에 열 개의 가방이 들어 있다면 그중 한 개씩 버리거나 정리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처음에는 10%를 덜어냈지만 나중에는 꼭 필요한 것만 남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단조로움 속에서 느긋하게 웃는 것이야말로 누구나가 바라는 노년이 아닐까.
옷장을 조금씩 정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마스노 슌묘는 죽기 전에 하는 생전 정리가 아니라 노인이 되기 전에 ‘노전’ 정리를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신체의 쇠약함을 느끼기 시작한 이후에 “이제 생전 정리를 해야겠다.”라고 하면 만족스럽게 정리하기는 어렵다. 늙기 전에, 몸을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을 때 차근차근 정리를 해야 제대로 할 수 있다. 물론 그게 물건이 될 수도 있고, 마음 가는 사람일 수도 있고, 놓지 못하는 미련이나 집착일 수도 있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부분은 건강을 위해서도 노전 정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60세가 넘어서 ‘이제 운동을 시작해보자’ ‘건강을 챙겨보자’ 하면 늦다고 한다. 운동도 습관이 들어야 60대, 70대가 되어서도 꾸준히 할 수 있고, 수영을 하거나 자전거를 탄다고 하더라도 하루라도 일찍 배워 두어야 노년에 가서도 다치지 않고 운동으로 할 수 있다.
슬슬 노후 자금도 걱정되고 건강도 걱정될 나이라면, 당신의 일상을 꽉 채우고 있는 것들을 덜어내고, 채우기보다는 비움으로 새로운 즐거움들을 찾아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