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가 듣기, 읽기 등 여타 영역의 평가에 비해 어려움을 겪어 왔던 요인 중에는 말하기 숙달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 채점 인력의 확보와 이들의 훈련 및 관리의 어려움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를 준비하는 한국어 교원과 예비 한국어 교원 을 위해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에 필요한 기초 개념과 평가 원리, 구체적인 채점 방법에 대해 사례를 들어 쉽게 설명한 현장 기반 전문 서적이라는 의의가 있다. 이 책은 1959년 국내 최초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이래 60여 년에 걸쳐 총 150여 개국의 외국인 및 재외동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며 한국어 교육, 연구, 평가 관련 경험을 축적해 온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집필진들의 경험을 집약하여 말하기 평가 관련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 책에서는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통용되고 있는 의사소통 능력, 말하기 능력의 개념과 함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를 위해 숙지해야 할 주요 개념,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구성 요인, 채점 체계, 평가 기준, 평가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