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의 교사들이 모여 직접 답사하고 쓴 우리 땅 이야기!
하루치 이야기 속에 담긴 꼼꼼한 역사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교과서 속에 담긴 역사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손으로 더듬으며 배우는 활동을 답사라고 하지요. 답사는 그저 책 속에 머무는 박제의 시간으로서의 역사가 아니라 과거를 현재의 시간으로 불러와 생생하게 체험하는 활동입니다. 《선생님과 떠나는 하루 답사》 시리즈는 한 지역이나 한 도시를 하루만에 돌아볼 수 있는 콘셉트의 답사책입니다.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모여 우리 땅 곳곳의 이야기를 담아 냈습니다. ‘하루 답사’라는 제목에 걸맞게 한 고장을 하루 정도의 시간 동안 돌아볼 수 있도록 알맞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돌아볼 수 있는 답사이기에 부담 없이 가족과 함께,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들고 떠날 수 있도록 가볍고도 알찬 정보로 채웠습니다.
2022년 봄부터 약 1년 동안 정명섭 작가와 전국의 교사 12명이 모여 답사를 진행했습니다. 《선생님과 떠나는 하루 답사》 1권은 서울 석촌동, 충남 공주, 서울 종묘, 경북 영주, 경북 안동, 전북 전주, 강원 영월 등 7곳의 이야기를 담았고, 2권은 강원 원주, 전남 순천, 경기 수원, 서울 정동, 전북 군산, 인천 차이나타운, 제주도 등 7곳의 이야기를 담아 모두 14개 고장의 역사와 문화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책 속으로 들어가면 익히 알고 있는 유명한 곳도 있고, 그곳에 사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잘 모르는 곳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선생님이 제자에게 들려주는 톤으로 가능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선생님과 떠나는 하루 답사》1권은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우리 역사의 시간순에 따라 1권은 삼국부터 조선까지 2권은 조선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역사 속 현장을 소개합니다.
1권에는 백제의 첫 번째 수도는 어디였는지 서울 석촌동에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이어 한성 백제 시대를 마감하고 백제의 두 번째 수도였던 충남 공주를 찾아갑니다. 또한 조선의 가장 중심이 되는 종묘는 어떤 공간이었는지 세심하게 살펴보고, 경북 영주로 가서 의상대사가 세웠다는 부석사와 고구려풍 신라 시대 굴식돌방무덤인 순흥 벽화 고분도 함께 살펴봅니다. 양반의 고장 안동은 독립운동가의 고장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가 어우러진 동네, 전주의 매력을 살펴봅니다. 마지막으로 단종의 슬픈 역사와 함께 김삿갓의 흔적이 남아 있는 강원 영월에서 1권은 마무리됩니다.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는 우리 고장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에서 역사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내가 사는 고장을 알고, 탐험하는 것이 역사 공부의 시작이지요. 이것을 내가 사는 곳에서 가까운 지역으로 넓히고 좀 더 넓게 확장시켜 전국으로 확대한다면 우리나라 역사가 한눈에 꿰어지는 살아 있는 역사 공부가 될 것입니다.
내 고장을 잘 아는 교사들이 미리 돌아보고 핵심만 전하는 답사 이야기!
답사의 시작은 이 책으로 시작하세요!
요즘은 각 지역의 특성을 살려서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를 보완하는 지역 교과서들이 제작되어 수업에 많이 활용되기도 합니다. 그만큼 자신이 사는 지역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선생님과 떠나는 하루 답사》 시리즈는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가르치는 교사들이 아이들에게 소개하는 마음으로 전국 방방곡곡을 발품 팔아 다니며 수집한 정보와 사진으로 채워진 책입니다.
저자가 각각 그 지역에 사는 교사들로 구성되었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내가 사는 지역만큼은 내가 전문가라는 마음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직접 발로 뛰어 아이들 눈높이에 걸맞는 역사 정보를 제공합니다.
깊이 있게 모든 것을 총망라한 책도 있겠지만 이 책은 주말마다 한 지역씩 찾아 여행하고 돌아오기에도 딱 알맞은 분량으로 구성했습니다. 곳곳에 잠깐 환기를 시킬 퀴즈도 배치해 답사가 지루하지 않도록 배려했습니다. 또한 지역의 명소와 더불어 먹거리도 함께 소개해 가족 여행의 필독서로 삼기에도 손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