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 밖으로 버려진 것들, "애브젝트"를 끌어안다
기호학과 정신분석학으로 엮은 새로운 페미니즘
페미니즘의 고군분투에도 여성은 지속적으로 소외되어 왔다. 남성성/여성성의 이분법과 여성이라는 단일한 범주 속에서 여성들이 지닌 다양한 표현과 관심사가 지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개별 여성의 특이성에 기반한 새로운 페미니즘을 정초한다. 여성을 재현할 수 없는 존재, 말할 수 없는 존재로 간주하며 동일성과 차이를 모두 고려한다. 이러한 페미니즘은 유색인, 이민자, 범죄자, 장애인 등 사회에서 소외되고 배제된 사람들을 아우르며 21세기의 휴머니즘으로 확장된다.
크리스테바는 언어, 예술, 정신분석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 독창적인 사상을 전개한다. 후기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아 텍스트에서 억압된 이데올로기를 발견하고,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발전시켜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주체 형성 과정을 탐색한다. 이론뿐 아니라 회화 작품과 신화, 한 아이의 어머니로서 겪은 생생한 체험과 정신분석의 진료 경험을 폭넓게 참조하면서 여성 신체와 모성 등에 대해 지금껏 없던 색다른 해석을 제시한다.
이 책은 경계를 가로지르는 크리스테바의 사유를 열 가지 키워드로 조망한다. 언어를 배우기 전 아이와 어머니의 역동적 관계를 반영하는 “기호계”부터, 경계 밖으로 버려진 것들을 의미하는 “애브젝트”까지 다방면에 적용할 수 있는 크리스테바의 개념들을 알기 쉽게 정리했다. 성, 정체성, 언어 등 현대 사회의 주요 쟁점들을 깊이 이해하게 될 것이다.
쥘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 1941~ )
언어학, 정신분석학, 인류학, 철학, 페미니즘 등 다양한 분야를 가로지르며 자신의 사상을 발전시킨 불가리아 태생의 프랑스 사상가다. 현재 파리 제7대학 명예교수다. 소피아대학교와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불문학과 영문학을 전공하며 사회학과 철학의 기초를 다졌다. 1965년 프랑스 정부 초청 장학생 자격으로 파리대학교 박사 과정에서 프랑스 현대문학을 전공했다. 언어학자 에밀 뱅베니스트,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에게서 수학했다. 1968년 파리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와 정신분석의 자격증을 취득했다. ≪텔 켈≫ 편집위원, ≪랭피니≫ 편집위원, ≪세미오티케≫ 부주간, 국제기호학회 회장을 지냈다. 국내에 번역 소개된 주요 저술로는 ≪시적 언어의 혁명≫, ≪공포의 권력≫, ≪사랑의 역사≫, ≪사랑의 정신분석≫, ≪검은 태양≫, ≪반항의 의미와 무의미≫,≪여성과 성스러움≫, ≪새로운 영혼의 병≫, ≪정신병, 모친살해 그리고 창조성: 멜라니 클라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