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국가대표 선수와 코치를 거쳐 현재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지난 40여 년 동안 스포츠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마케팅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돌이켜 보면 수많은 팬들의 함성 소리가 없는 대회 현장을 상상할 수 없습니다. 올림픽, 아시아 경기대회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선수들과 자웅을 겨룬다는 사실 자체가 경이로운 일이었습니다. 외길만 걸어오면서 얻었던 개인의 영광이 곧 많은 사람들의 행복으로 돌아간다는 소중한 가치도 깨달았습니다. 모든 시작과 과정, 그리고 결과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 가능한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스포츠 기술을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스포츠 경기를 보게 하기 위해 경기장 시설을 갖추고, 관심을 끌만한 프로모션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협회 차원이든, 협찬 기업 차원이든 흥행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오늘날 많은 후배들이 체계적인 스포츠 매니지먼트를 통해 선수 권익을 보호받으며 진로를 고민할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척박한 스포츠 환경이 보다 세련된 환경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도 끊임없이 스포츠 마케팅을 받아들이고 연구한 결과입니다. 현대 스포츠 세계에서는 마케팅 전략이 필수입니다. 문개성 교수의 ‘K-무크와 함께하는 스포츠 마케팅’을 통해 마케팅의 기초적 이해뿐만 아니라,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원광대학교 스포츠과학부 김동문 교수
하계 올림픽 금메달(1996 애틀랜타, 2004 아테네)
아시아 경기대회 금메달(1998 방콕, 2002 부산)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1999 남자복식, 혼합복식, 2003 혼합복식, 단체전)
대한체육회 배드민턴 국가대표 코치
캐나다 배드민턴 국가대표 코치
대한민국 체육훈장 청룡상, 대한민국 체육대상
BWF 명예의 전당 헌액
우리나라 4대 프로 스포츠 리그(야구, 축구, 농구, 배구)의 한 해 누적입장객이 1,1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언제 어디서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게 했습니다. 스포츠 경기를 실시간으로 보거나 아무 때나 다시보기가 가능해졌습니다. 경기장을 찾거나 미디어를 통해 보는 방식으로 아마 거의 모든 사람들이 스포츠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환호하고 열광하는 스포츠 비즈니스 이면에서는 치열한 법적 과정을 밟습니다. 한 치의 오차 없이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에이전트의 고뇌도 있고, 이벤트를 성공시켜야 할 막중한 책임을 지는 기획자와 수많은 관계자들이 있습니다.
지난 2007년, 당시 사이클 황제인 랜스 암스트롱(Lance Armstrong)을 초청해 흥행을 시키고자 노력했던 투르 드 코리아(Tour de Korea)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회상하며 두 가지를 떠올렸습니다. 첫째, 스포츠 스타에서 약물파동으로 하루아침에 세계 사이클계를 떠나야 했던 랜스 암스트롱입니다. 열광적 팬심과 최고의 성적을 유지하기 위해 그와 같이 일탈의 현장에 이르는 수많은 선수들이 있습니다. 스포츠 마케팅 시장에서는 항상 정화적 기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둘째, 국제 대회를 함께 준비하면서 스포츠 마케팅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활동했던 문박사를 기억합니다. 실무와 이론이 체득된 이 저서를 통해 스포츠 마케팅을 재미있고 쉽게 이해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미국 워싱턴 D.C. 변호사 안재한 박사
스포츠·미디어·엔터테인먼트 전문 미국변호사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인재육성 기획·운영(20년 재직)
F1 파워보트 그랑프리 아시아태평양 자문컨설턴트
Tour de Korea 국제 스포츠 이벤트 최초 기획
미국 뉴욕 TKC TV 방송국 제작팀장
하와이대학교 로스쿨 법학석사(LL.M.)
성균관대학교 스포츠커뮤니케이션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