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력이 좋아야 교과서를 재밌게 읽는다!
과학 교과서 단원별 한자 학습으로 한자와 과학 실력을 동시에!
초등학교 3학년부터는 교과목이 늘어나며 ‘과학’ 과목을 배우게 됩니다. 그전까지 종합 교과를 배우던 어린이들이 이제는 물체, 상하류, 퇴적과 같이 한자로 된 단어가 계속해서 나오는 과목을 새롭게 배우기 시작합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물체’와‘ 물질’은 어떻게 다른 단어일까요? 물체의 ‘체(體)’는 ‘몸 체’이고, 물질의 ‘질(質)’은 ‘바탕 질’입니다. 그러니까 책상이나 의자와 같이 몸이 있는 것은 물체고, 물체의 바탕 재료가 되는 나무나 철은 ‘물질’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단어를 단순히 외우는 것보다는 그것이 어떤 뜻인지, 그 단어를 이루는 글자들이 단어의 뜻을 어떻게 만들고 있는지를 알게 된다면 훨씬 더 쉽게 개념을 익힐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에서 과학 전담 교사로 오랫동안 근무했던 박병진 선생님은 어린이들이 어떻게 하면 과학을 더 쉽고 재밌게 배울 수 있을지 오랫동안 고민하고 연구해 왔습니다. 그리고 어린이들에게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단어가 어떤 한자로 되어 있는지를 가르치면 과학 개념을 아주 쉽게 이해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쏙 과학』 시리즈는 저자의 수십 년 연구가 녹아 있는 책입니다. 초등 과학 교과 과정에 따라 학년별, 단원별로 핵심 과학 어휘를 뽑아 그 뜻을 친절한 문장으로 해설했습니다. 단어를 이루는 한자의 구성 방식, 뜻과 형태를 익히고 직접 써 보며 한자에 친숙해지면 그 한자로 이뤄진 과학 어휘 또한 쉽고 확실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 단원별로 어휘를 익히며 과학 개념을 다시 한번 보고 익히면 과학 성적 또한 쑥쑥 올릴 수 있습니다.
어휘력이 학습의 가장 큰 기반이자 자산이 된다는 사실은 이제 상식이 되었습니다. 새로운 내용을 배울 때 그 내용이 어떤 뜻인지 파악하고 추측하기 위해서는 어휘를 이루는 한자에 대한 지식과 감각이 필요합니다. 『한쏙 과학-3학년』 책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단어가 어떤 한자가 조합돼 만들어졌는지를 하나씩 배우다 보면, 앞으로 만날 새로운 단어의 뜻도 두려움 없이 추측하고 상상하며 자연스럽게 교과서를 읽을 수 있게 될 겁니다.
추천사 (3학년)
박남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전 총장)
초등학생 아이가 과학 평가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만났다고 보겠습니다.
※ 다음은 물체와 물질을 구분하는 문제입니다. 물체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①책상 ②의자 ③지우개 ④나무
어른들도 한자 어휘를 잘 모르는 경우 선뜻 답하기 애매한 문제입니다. 그러나 학생이 물체(物體)와 물질(物質)의 한자 어휘를 잘 알고 있다면 이 문제는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물체는 ‘몸이 있는 물건’을 뜻합니다. 한자 物體(물체)에서 物(물)은 물건을 뜻하는 ‘물건 물’이고, 體(체)는 몸을 뜻하는 ‘몸 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물체는 고유한 모양을 지닌 자기의 몸이 있어야 합니다.
책상도 몸이 있는 물건이니 물체입니다. 그리고 의자와 지우개도 자기의 몸이 있는 물체입니다. 그러나 나무는 물체의 바탕을 이루는 물질에 해당합니다.
物質(물질)에서 物(물)은 ‘물건 물’이고, 質(질)은 그 물체의 바탕을 뜻하는 ‘바탕 질’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과학 개념을 공부할 때 한자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 학생들이 단어를 읽고 머릿속에서 그 한자의 뜻을 헤아려 사고할 수 있게 하는 힘이 바로 어휘력입니다.
요즘 젊은이들의 어휘력이 부족하고 문해력이 낮은 이유 중 하나는 우리 단어를 영어 단어 외우듯이 무조건 암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뇌는 이해하지 못한 채 무조건 외우는 일은 잘하지 못합니다. 이해하면 쉽게 외울 수 있고, 활용도 할 수 있습니다.
단어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하나의 방법이 단어를 이루고 있는 한자를 가르쳐 주는 것입니다. 단어에 들어 있는 한자를 추출하여 그 뜻을 알려 주고, 같은 한자로 이뤄진 유사어들을 함께 가르치면 어휘력은 폭발적으로 성장합니다. 이것이 문해력을 높이는 지름길입니다.
이 책은 교과서에 나오는 개념을 단순히 외우게 하기보다, 암기와 동시에 그 한자어 자체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이에 이 책을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학부모들에게 꼭 권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