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다 미리의 인생론 자신이 좋다고 생각하는 건, 평생 죽을 때까지 자기만의 것이야.
마스다 미리의 작품 중에 이 작품은 특별하다. 소소한 일상, 행복, 평범함이라는 주제로 친숙한 마스다 미리 작가가 이 작품에서 선보이는 반전은 그가 가진 힘의 모습이다. 이는 곧 우리의 평범한 일상이 갖고 있는 힘을 대변하는 것 같아 감동이 천천히 밀려와 오랫동안 머문다.『누구나의 일생』은 30대 일러스트레이터 나쓰코의 이야기이다. 시간적 배경은 ‘코로나 시기’로, 마스다 미리 작가가 그려왔던 일상의 소중함이 더욱 와닿던 때이다. 이 시기 우리는 ‘일상적으로 더 이상 못하는 것’들을 일상적으로 받아들였다. 일상은 당연한 것과 당연하지 않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작품에서 마스다 미리는 두 세계를 모두 다루기에, ‘일상’에서 ‘일생’을 그리는 작가로 나아간다. 우리에게 삶이 있듯 죽음이 있다는 사실을 담백하게 그린다. 그래서 내일이 오늘처럼 평온하리라 더는 기대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알기에 오히려 절망 없이 오늘을 살 수 있는 것, 그런 오늘이 모여 ‘한 일생’이 되는 이야기를 전한다.이 책의 주인공 나쓰코는 낮에는 도넛 가게에서 알바를 하고, 밤에는 만화를 그려 인터넷에 올린다. 그의 만화에서는 현실 세계에서 미처 하지 못한 이야기가 실현된다. 소금쟁이가 되고 싶다고 농담인 듯 말하던 아버지의 소원을 이뤄주고, 동료 알바 대학생이 코로나 시기로 인해 누리지 못했던 대학생활을 그린다. 현실에서 전하지 못한 자신의 진심을 또박또박 말하기도 한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마스다 미리가 전하는 인생론과 만난다. 사는 동안 우리가 각자의 이야기를 써내려간다면, 이루어지지 못한 소망과 전하지 못하는 진심은 없다는 것. 당장,이라는 시간 속에서는 아닐지라도 언젠가 반드시 전해진다는 희망. 이 모든 것은 자신이 좋아하는 세계에서 좋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에, 당신만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 곧 인생이라고 말한다.이 작품 속에서 마스다 미리의 세계는 변하지 않는 듯, 어느새 나아가고 있다. 우리의 인생이 그런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