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 1, 2학년의 한글 교육 강화와 매체 사용 교육을 포함한 개정 교육과정
지식과 지혜를 받아들이고 생산하는 수단으로 평생을 함께하는 언어. 문해력이 끊임없이 강조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학습의 출발 단계에서부터 문해력의 기초를 건실히 다질 수 있도록 초등 1, 2학년의 국어 교과 시간이 늘어납니다. 아이가 문자 읽고 쓰기에 흥미를 가지기 시작할 때에 맞추어 한글을 충분히 접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연습할 수 있게 도와준다면 국어 교과 시간이 늘어나더라도 학교 공부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거예요.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또한 매체 이용 교육의 강화로, 아이들이 매체 자료의 주체적인 수용과 생산을 통해 매체 소통의 영향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온라인 매체를 주로 다루기 전에, 초등 1, 2학년은 그림책, 동화책 같은 일상적인 매체 자료를 접하며 매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키우도록 하지요. 《이야기로 쏙쏙 한글 익히기》 2권은 우리 아이들이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제작에 참여하는 경험을 해 볼 수 있도록 ‘내가 만드는 이야기책’을 책 속의 책으로 구성했습니다. 1부, 2부, 3부의 글을 차례로 바꿔 쓰고 그림으로 표현하며 나만의 새로운 이야기책을 만드는 거죠. 마치 작가가 되어 한 권의 책을 펴내는 듯한 기쁨을 맛볼 수 있는 창의적 체험 활동은 우리 아이가 커다란 성취감을 느끼며 주체적인 매체 사용자로 자라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이 성취감이 앞으로의 읽기를 더욱 기대하는 원동력이 되고, 쓰고 싶은 것을 자꾸자꾸 생각해 내는 창의력의 밑거름이 될 거예요.
□ 듣고, 읽고, 쓰는 연습을 거쳐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4일 단위 활동
1. 첫날은 그림책으로 이야기의 맛을 즐겨요. 글의 내용을 아름답게 담아낸 삽화를 보면서 생생한 효과음과 함께 이야기를 듣습니다. 선생님을 따라서도 읽어 보고, 혼자서도 읽으며 이야기를 충분히 즐기세요. 마지막으로 간단한 핵심 문제를 풀면서 잘 듣고, 잘 읽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
ㆍ듣기: 집중하기, 중요한 내용 확인하기, 일이 일어난 순서 파악하기
ㆍ읽기: 문장 및 짧은 글 소리 내어 읽기, 알맞게 띄어 읽기
ㆍ매체: 매체 자료(그림책) 접근하기
2. 둘째 날도 이야기를 들으며 시작합니다. 한 번 듣고 나서 이야기의 분위기나 느낌을 살려 전체를 스스로 낭독해요. 그런 다음 복잡한 자모음이 들어 있는 글자는 추가로 읽고 쓰는 연습을 합니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
ㆍ문학: 낭송하기, 말의 재미 느끼기
ㆍ쓰기: 글자 쓰기, 단어 쓰기
3. 셋째 날은 전날 배운 복잡한 자모음을 떠올리며 전체 이야기를 따라 씁니다. 내용과 글자를 차분하게 익히는 시간이에요.
▷교육과정 내용 요소
ㆍ쓰기: 문장 쓰기
ㆍ문법: 언어 단위 관찰하기
4. 마지막으로 넷째 날에는 ‘내가 만드는 이야기책’에 나만의 이야기를 씁니다. 쓰기 전에 바꿔 쓸 낱말을 먼저 배우고 이 낱말들을 넣어도 좋고, 내가 이미 알고 있는 단어를 자유롭게 활용해 세상에 하나뿐인 그림책을 만들 수 있어요. 옅은 배경 그림 위에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면서 꼬마 작가가 되어 보세요. 이 과정을 세 번 거치고 표지를 꾸미면 드디어 나만의 그림책이 완성된답니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
ㆍ말하기: 경험과 배경지식 활용하기
ㆍ쓰기: 단어 쓰기, 문장 쓰기
ㆍ매체: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기
■ 세트 소개 ■
《이야기로 쏙쏙 한글 익히기》 1권은 받침 없는 낱말로 구성된 이야기 2편과 홑받침이 들어 있는 낱말로 구성된 이야기 2편을 실었습니다. 자모음의 단계적 학습을 중심으로 한 독립적인 짧은 이야기 4편을 만날 수 있습니다. 2권에서는 쌍받침과 많이 쓰이는 겹받침까지, 복잡한 자모음이 들어 있는 낱말로 이루어진 글을 읽고 씁니다. 풍부한 내용이 담긴 이야기를 만나는 즐거움을 중심으로 하여 하나의 긴 이야기를 1, 2, 3부로 나누어 구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