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판 “형사소송법요론”에 대해서
형사소송법요론이 형사소송법의 기본교재로서 지향하는 점은, 첫째 이론기본서로서의 역할, 둘째 판례기본서로서의 역할, 그리고 셋째 사례기본서로서의 역할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방침 아래 2024년판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력하였다.
1. 판례의 체계적 정리
본서에서는 출제가능한 판례들을 형사소송법의 이론적 체계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정리함으로써 판례교재를 별도로 볼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특히 최근 5년간의 판례에 대해서는 최신이라는 표지를 달아 최신판례의 높은 출제비중에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같아 보이지만 다른 판례에 대해서는 비교로 정리하여 혼동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동일한 쟁점에 대해서는 “긍정한 판례”와 “부정한 판례”를 최신판례 순으로 정리하였고, 특히 사례형 문제로 응용이 가능한 판례에 대해서는 “상세한 사실관계”도 소개하였다.
2. 개정된 법령과 최신판례 반영
2023년 1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검사와 사법경찰관의 상호협력과 일반적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을 반영하였고, 최신판례는 2023년 12월 판례공보까지 반영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정보저장매체와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 많은 판례가 집중적으로 나오고 있는데, 각 쟁점별로 제목을 붙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3. 사례형 문제의 체계적 정리
2024년판에서는 사례형 문제(Case)의 출제경향을 파악하고 답안작성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2012년 이후 2022년까지의 변호사시험, 2001년 이후의 사법시험, 그리고 2011년 이후의 5급공채시험 문제 중에서 논점별로 가장 표준적인 문제 134문제를 선정하여 수록하였다. 해설은 “문제의 제기 ➝ 학설·판례와 결론 ➝ 문제의 해결”이라는 사례형 문제 해결의 기본적인 방식에 맞추어 답안의 골격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경찰·검찰 시험에서도 객관식이지만 사례형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으므로 본서에 수록된 사례연구 를 잘 활용하면 좋은 점수를 받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무쪼록 2024년판 형사소송법요론이 독자 여러분의 목표 달성에 조금이나마 도움
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하면서…
2024년 1월 15일
법학박사 신 호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