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 로봇·드론·인공지능(AI) 산업동향 및 시장실태와 전망 2

2024 로봇·드론·인공지능(AI) 산업동향 및 시장실태와 전망 2

  • 산업동향연구소
  • |
  • 산업동향연구소
  • |
  • 2024-02-13 출간
  • |
  • 620페이지
  • |
  • 준비중
  • |
  • ISBN 9791191512397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드론 및 항공 분야 기술동향 및 시장전망
1. 글로벌 항공 모빌리티 산업 동향과 국내 경쟁력 분석
1) 항공 모빌리티 개요
(1) 배경
(2) 항공 모빌리티 산업 특징
2) 항공 모빌리티 산업 동향
(1) 전 세계 시장 전망
(2) 항공 모빌리티 기업 현황
(3) 국내 항공 모빌리티 산업 동향
가. 국내 항공 모빌리티 산업 목표
나. 국내 기업 현황
다. 국내 항공 모빌리티 경쟁력
(4) 결론 및 시사점
2. COVID19 이후 항공운송산업 전망
1) 펜데믹 전후의 항공운송산업 동향
(1) 전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각국 정부의 항공산업 지원
2) 코로나 이후 항공산업
(1) 수요 회복 전망
(2) 친환경 확대
3) 결론 및 시사점
3. 무인기
1)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4. 시설물 안전 점검 드론
1)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5. 무인항공기 태양전지
1) 개요
2) 정부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1) 시장 규모
(2) 경쟁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6. 도심항공(UAM) 산업
1) 개요
2) 도심항공 모빌리티 주요기술
(1) 모터
(2) 배터리
(3) 소재 산업
(4) 모빌리티 플랫폼
3) 시장동향 및 전망
(1) 시장규모
(2) 주요국 경쟁 현황
가. 미국
나. EU
다. 중국
라. 일본
마. 한국
4) 결론 및 시사점
Ⅱ. 인공지능(AI) 분야 기술동향 및 시장전망
1. 2023 인공지능
1) 배경
(1) 배경 및 필요성
(2) 기술의 정의와 범위
2) 기술동향
(1) 컴퓨터 비전・이미지 분야
(2) 자연어처리를 위한 대형언어모델
(3) 멀티모달
3) 산업동향
(1) 해외 주요 기업 동향
(2) 국내 주요 기업 동향
(3) 산업 주요 현황
4) 정책동향
(1) 해외 정책동향
(2) 국내 정책동향
5) R&D 투자 동향
(1) 정부R&D 과제 수행 현황
(2) 정부R&D 사업 투자 동향
6)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2.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으로 인한 인공지능 혁명 및 산업 변화
1) 개요
(1) 생성형 인공지능 개요
(2)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혁명
2) 인공지능 혁명과 산업 변화
(1) 생성형 인공지능 산업의 가치사슬
(2)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인한 산업별 변화
(3) 대기업 중심의 인공지능 가치사슬 구축
(4) 인공지능 산업 전망 및 국내 대응 현황
3) 시사점
2-1. 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
1) 검토배경
2) 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3) 시사점
3. 인공지능(AI) 반도체 최신이슈
1) 개요
2)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동향
3)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동향
(1) 해외 산업동향
(2) 국내 산업동향
4) 인공지능(AI) 반도체 정책동향
(1) 해외 정책동향
(2) 국내 정책동향
5) 인공지능(AI) 반도체 연구 및 투자동향
(1) 정부R&D 과제 수행 현황
(2) 정부R&D 사업 투자 동향
6) 인공지능(AI) 반도체 표준화 현황
(1) 국내 표준화 현황
가. TTA 지능형반도체 프로젝트그룹
나. 인공지능 반도체 포럼
(2) 국제 표준화 현황
가. IEC TC 47
나. ISO TC 22 SC 32 WG 8
다. JEDEC JC_42(Solid State Memories)
7)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시사점
4. chatGPT의 돌풍과 인공지능 반도체의 부상
1)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필요성
(1) chatGPT를 통핚 인공지능 현실화와 초거대 AI모델의 발전
2)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특성과 시장
(1) 인공지능 연산에 효율적인 인공지능 반도체
가. CPU 및 GPU (1세대)
나. FPGA 및 ASIC (2세대)
다. 뉴로모픽 (3세대)
(2) 목적에 따른 인공지능 반도체의 구분
(3)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변화
3) 주요 기업현황
(1) 분야별 주요 기업 현황
4) 반도체 산업에 영향
(1) 기술 패러다임 변화
(2) 산업 생태계 영향
(3) 인공지능의 부각과 반도체 시장 영향
Ⅲ. 로봇·드론·인공지능(AI) 분야 정책 동향 및 향후전망
1. 전국민 AI 일상화 실행계획
1) 추진배경
2) AI 일상화 시대의 본격 개막
3) 국내 현황 진단
4) 비전 및 추진과제
5) 추진과제
(1) AI로 국민의 일상을 풍요롭게 하겠습니다
가. (복지) 사회적 약자 돌봄・배려
나. (건강) 의료・보건 서비스 품질 제고
다. (보육・교육) 아동·청소년 성장환경 개선
라. (문화·예술) AI로 확대되는 문화・예술 향유
(2) AI 내재화로 산업・일터를 혁신하겠습니다
가. 민간 전문영역 초거대 AI 융합 선도
나. 농・어민 노동부담 경감 및 건강한 먹거리 생산
다. 소상공인 AI 활용 지원
라. 산업 생산구조를 혁신하는 AI 확산 가속화
(3) AI를 가장 잘 사용하는 똑똑한 정부를 만들겠습니다
가. 고품질 대국민 공공서비스 제공
나. 재난・사고 대응 국민안전 확보
다. 행정기관 내부업무 효율화
(4) AI 일상화 기반을 선제적으로 조성하겠습니다
가. AI 문해력 제고
나. AI 윤리・신뢰성 강화
6) 추진체계 및 계획
2. 국내 AI 기술 경쟁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1) 국내 인공지능 정책
(1) AI 기술 정책
(2) AI 인력 정책
(3) AI 인프라 지원 정책
(4) AI 관련 기존 제도 개선
(5) 산업 내 AI 활용 촉진 정책
(6) 소결
2) 국내 AI 관련 특허출원 및 경쟁력 현황
(1) 연구자료
(2) 국내 AI 관련 특허출원 현황
(3) AI 관련 기술 분야별 비교우위 현황
(4) 소결
3. 데이터 경제 활성화 추진과제
1) 추진배경
2) 추진경과 : 현장 의견청취 및 정책방향 마련
3) 추진방향
4) 주요 추진과제
(1) 자율주행·로봇 분야
(2) 인공지능 분야
(3) 바이오·헬스 분야
(4) 마이데이터 분야
(5) 데이터 경제 인프라
5) 기대효과 : 데이터로 바뀌는 국민과 기업의 모습
6) 향후 추진계획
(1) 자율주행·로봇 분야
(2) 인공지능 분야
(3) 바이오·헬스 분야
(4) 마이데이터 분야
(5) 데이터 경제 인프라
Ⅳ. 주요국 로봇·드론·인공지능(AI) 분야 산업동향 및 시장전망
1. 미국
1) 미국, 차세대 로봇 기술 개발 동향
(1) 로봇기술의 진화 및 역할의 재조명
(2) 협동로봇, CoBot
가. CoBot, 미국 주요 기업현황
① Rethink Robotics
② Precise Automation
③ AUBO robotics
(3) 웨어러블(Wearable) 로봇기술 동향
가. Rigid Wearable Robot, 미국 주요기업 동향
① Ekso Bionics
② US Bionics
③ LEVITATE는 EksoVest
나. Soft Wearable Robot, 미국 주요기업 동향
① Wyss Institute
② Rewalk Robotics
③ Seismic
④ 로보틱스(Roam)
(4) 물류 로봇기술동향
가. 비제조 환경 AGV(옥내용) 물류로봇, 미국 주요기업 동향
① Kiva Robot
② Seegrid
나. 옥외용 라스트 마일(Last mile) 배송로봇, 미국 주요기업 동향
① Agility Robotics
② Starship Technology
(5) 의료 등 기타 서비스 로봇 기술동향
① Boston Dynamics
② Dimer UVC Innovations
2) 미국, 차세대 로봇 관련 주요 정책 동향
(1) 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 중 로봇 관련 추진 정책 동향
(2) Manufacturing USA 중 로봇 관련 추진 정책 동향
가. Advanced Robotics for Manufacturing, ARM
나. Manufacturing times Digital, MxD
다.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라.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3) 결론 및 시사점
4) 2023년 美 ‘국가 AI R&D 전략계획’ 주요 내용
(1) 개요
(2) 국가 AI R&D 전략계획: 2023년 업데이트
(3) 2023년 주요 보완 내용 : 전략 1~8
(4) 2023년 신규 추가 내용: 전략9 - AI R&D 국제협력 추진
5) 주요 국가 AI 전략 분석
(1) 주요국 AI 전략 추진 5년, 점검과 평가
가. 최초 AI 국가전략 수립 이후 5년
나. 분석 국가 선정
(2) 국가별 AI 전략 분석 : 미국
가. 시기별 주요 정책 변화
나. 영역별 주요 정책 현황
(3) 국가별 AI 정책 분석 : 영국
가. 시기별 주요 정책 및 평가
나. 영역별 주요 정책 및 평가
(4) 국가별 AI 정책 분석 : 독일
가. 시기별 주요 정책 및 평가
나. 영역별 주요 정책 및 평가
(5) 국가별 AI 정책 분석 : 싱가포르
가. 시기별 주요 정책 및 평가
나. 영역별 주요 정책 및 평가
(6) 국가별 AI 정책 분석 : 캐나다
가. 시기별 주요 정책 변화
나. 영역별 주요 정책 및 평가
(7) 국가별 AI 전략 종합 평가 및 향후 쟁점
가. 미국
나. 영국
다. 독일
라. 싱가포르
마. 캐나다
2. 중국
1) 로봇산업 정책동향
(1) 개요
(2) 중국 로봇산업 현황
가. 국가주도의 정책 수립 및 산업발전 지원
나. 중국 로봇산업 시장 규모 및 전망
다. 중국 로봇산업 동향
① 로봇 핵심기술의 발전으로 산업화 기초 및 발전 환경 최적화
② 독자적 연구개발 및 투자·합병으로 로봇 혁신 생태계 성숙도 제고
라. 중국 로봇산업 발전 장애요인
(3) 중국 로봇산업 지도
가. 중국 로봇산업 가치사슬 조망
나. 글로벌 대표 선도기업 분석
다. 중국 혁신형 로봇기업 매핑
라. 중국 로봇기업 분포 지도
(4) 권역별 중국 로봇산업 현황
가. 창장 삼각주(长三角地区)
나. 주장 삼각주(珠三角地区)
다. 징진지(京津冀) 지역
라. 둥베이(东北) 지역
마. 중부(中部) 지역
바. 서부(西部) 지역
(5) 결론 및 시사점
2) 중국 산업용 로봇산업의 발전전략 및 대응제안
(1) 중국 로봇산업 동향
(2) 중국 로봇산업 정책 동향
(3) 중국제조 2025 산업용 로봇 분야의 주요 내용
가. 선두기업
나. 산업용 로봇 및 차세대 로봇
다. 서비스 로봇
라. 핵심부품
마. 핵심 소재
바. 시범 공정 응용
사. 전략적 지원과 보장
(4) 중국제조 2025 기술 로드맵에 따른 국내 로봇산업의 대응 방안
3) 중국 로봇산업의 혁신성장 전략과 시사점
(1) 개요
(2) 중국 로봇산업의 발전 현황 분석
(3) 중국 로봇기업의 주요 혁신전략
가. 인수·합병, 연구개발로 고속 성장하는 산업용로봇 기업
① 이포트 (EFORT, 埃夫特)
② 이스툰(ESTUN, 埃斯顿)
나. 첨단기술 적용을 통해 활용범위를 확장 하는 서비스로봇 기업
① 유비테크(Ubtech, 优必选)
② 에코백스(Ecovacs, 科沃斯)
(4) 중국 로봇산업의 정책동향
가. 중앙정부 지원정책
나. 지방정부 지원정책
(5) 결론 및 시사점
4) ‘2023년 인공지능 발전 백서’ 발표
(1) 중국 인공지능 산업은 주로 징진지,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등 지역에 집중 (8.30)
가. 징진지
나. 장강삼각주
다. 주강삼각주
5) 중국 인공지능 인재양성 현황 진단 및 제언
(1) 개요
(2) 중국 인공지능 인재 수급 현황
(3) 대학·기업 인공지능 인재양성 현황
(4) 협력 기반 인재 생태계 구축
(5) 정책 제언
(6) 정리 및 시사점
6) 중국과 일본의 생성 AI 동향
(1) 개요
(2) 중국의 생성 AI 동향
가. 정책 동향
나. 산업·기업 동향
(3) 일본의 생성 AI 동향
가. 정책 동향
나. 산업·기업 동향
(4) 요약 및 시사점
7) 중국판 ChatGPT와 AI 생성 콘텐츠 현황과 전망
(1) 중국 AIGC 산업 현황
가. ChatGPT 등장에 자극받은 중국 AIGC 산업
나. 중국판 ‘ChatGPT’의 성공을 가로막는 장애요인
(2) 중국 AIGC 산업 분야별 기업 소개
가. 텍스트 영역
나. 이미지 영역
다. 동영상 영역
라. 오디오 콘텐츠·음성 언어 영역
마. 게임 영역
(3) 중국 콘텐츠 시장에서 보는 AIGC 전망
3. 유럽
1) (EU) 로봇산업 동향 및 시장전망
(1) 개요
(2) 로보틱스 산업
가. 로봇의 정의와 종류
① IFR이 정의하는 로봇 정의
② ISO 표준이 정의하는 로봇 외 범주
나. 로봇 응용 분야
① 제조업
② 농업
③ 공공 안전
④ 물류
⑤ 가정
⑥ 운송
⑦ 의료
다. 산업용과 서비스 로봇
라. EU 로봇 산업
① 산업용 로봇
② 서비스 로봇
(3) 로봇의 경제적 영향
가. 산업용 로봇
나. 서비스 로봇
다. 산업ㆍ서비스 로보틱스 제도 및 정책 전망
(4) EU의 로봇 시장 점유율 데이터 분석
가. 국제로봇연맹 데이터
나. UN 무역 데이터
다. 딜룸 데이터
라. 로봇 보고서 데이터
(5) 데이터 분석 시 고려사항
가. 로봇 종류의 차이점
나. 로봇 종류별 가용된 데이터의 차이
다. 한정된 로보틱스 관련 정보
라. 데이터 통합의 복잡성
(6) 결론 및 시사점
2) 유럽 친환경 항공기술 개발 동향
(1) 친환경 항공기술 개요
(2) 친환경 항공기 시장 전망
가. 수소 항공기
나. 배터리-하이브리드 항공기
(3) 친환경 항공 기술 전환의 영향 및 기술적 과제
가. 친환경 항공기 전환에 따른 영향
나. 기술적 과제
① 그린수소 생산 및 유통
② 공항 인프라
③ 항공기 운영
(4) 유럽 내 관련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가. 친환경 항공기술 관련 정책 동향
① 관련 지침
② Fit for 55와 항공 관련 제안
③ 대체연료인프라규정(AFIR, 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Regulation)
④ REPowerEU
⑤ 수소 관련 법률(Hydrogen legislation)
⑥ 수소 전략
⑦ 에너지 유럽 횡단 네트워크(Trans-European Networks for Energy, TEN-E)
⑧ 유럽 횡단 운송 네트워크(The 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 TEN-T)
나. 친환경 항공기술 동향
① 항공기 기술
② 공항 인프라
③ 청정 항공 파트너십 연구 프로젝트
(5) 맺음말
3) 유럽 친환경 항공기술 개발 동향
(1) 개요
(2) 친환경 항공기 시장 동향
가. 친환경 항공기 시장 전망
① 수소 항공기
② 배터리/하이브리드 항공기
나. 친환경 항공기 전환에 따른 영향
(3) 친환경 항공기술 동향 및 정책
가. 친환경 항공기를 위한 기술적 과제
① 녹색수소 생산 및 유통
② 공항 인프라
③ 항공기 운용
나. 친환경 항공기술 개발 동향
① 항공기 기술
② 공항 인프라
③ 청정항공파트너십 연구 프로젝트
다. 친환경 항공기술 관련 정책 동향
(4) 맺음말
4) 인공지능 분야 유망협력국 협력방안
(1) 최근 인공지능 동향
가. 글로벌 AI 생태계 변화
나. 국내 현황
(2) 국가별 인공지능 경쟁력과 유망협력국
가. 국가별 인공지능 경쟁력
나. 유망협력국 선정
(3) 유망협력국 현황 및 협력방안
가. 영국
① 현황 및 이슈
② 주요 정책 및 방향성
나. 협력방안
① 민간 주도 협력방안
② 정부 주도 협력방안
(4) 결론 및 시사점
4. 일본
1) 로보틱스 4.0에 따른 대응전략
(1) 개요
(2) 로보틱스 4.0 혁명
가. 로봇의 진화와 로보틱스 4.0
나. 로보틱스 1.0∼2.0
① 로보틱스 1.0
② 로보틱스 2.0
다. 로보틱스 3.0
① 협동 로봇·서비스 로봇의 발전
② 모든 산업·도시·생활 영역으로의 모바일 로봇 활용 확대
라. 로보틱스 4.0
① 로봇의 민주화를 돕는 ‘로봇 플랫폼’ 등장
② 로봇의 주변기기 및 보급을 돕는 외부환경·인프라
(3) 일본의 로보틱스 4.0 전략 방향
가. 로봇의 진화와 로보틱스 4.0
① 디지털과 로봇을 융합하는 CPS
② 최적화된 로봇의 동작을 위해 현재 상황을 CPS에 반영하는 센싱
③ V(가치)×디지털 PDCA와 현실세계의 ISM 사이클
나. 달라지는 로봇기업의 전략 - 로봇 활용 노하우가 중요한 시대
① 달라지는 로봇기업의 전략 (1) - 경영진으로부터의 탑다운(top-down) 전개
② 달라지는 로봇기업의 전략 (2) - 엔지니어링 단계부터 락인(Lock-in)
③ 달라지는 로봇기업의 전략 (3) - 서비스형 사업을 통한 오퍼레이션 지원
④ 로보틱스 4.0 시대에 요구되는 수평적×수직적 시점
다. 로보틱스 4.0 시대에 요구되는 산·학·관 연계 전략
① 방향성1 : 국가가 산·학·관의 경쟁·협조 영역 분리
② 방향성2 : 산·학·관 연계 로보틱스 테스트 베드 정비 및 디지털 실증필드 전개
③ 방향성3 : 로봇 SI기업·라인빌더의 전략적 육성
④ 방향성4 : Society 5.0 / SDGs·사회과제와 결합한 로봇 전개
(4) 결론 및 시사점
2) 혁신 로봇 R&D 동향
(1) 개요
(2) 추진 배경 및 주요 내용
가. 배경
나. 로봇을 통한 사회변혁 추진계획
다. 혁신 로봇 R&D 기반 구축사업
① 배경
② 연구개발 내용
③ 연구개발 방식
④ 채택된 연구개발 테마
(3) 연구개발 목표 및 추진 현황
가. 연구개발 항목별 목표
① 사업목표 달성 지표 : SI 비용 50% 감축
② 사업목표 달성 지표 : 자동화율 30% 향상
③ 사업목표 달성 지표 : 1:N의 원격감시 및 제어
나. 연구개발 목표의 타당성 검증
① ’22년도 말까지의 연구개발 중간 목표 및 설정 근거
② 연구개발 진척 관리
③ 지식재산권 전략
다. 연구개발 항목별 목표 및 달성상황
3) 연구개발 성과와 실용화 · 사업화
(1) 각 연구개발 테마의 연구개발 성과 및 의의
(2) 성과의 실용화 ·사업화를 위한 대응 및 전망
가. 성과 실용화·사업화를 위한 전략
나. 성과의 실용화·사업화를 위한 구체적 대응 - 핵심기술 개발
4) 결론 및 시사점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