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인생길의 여러 단계≫ 중에서 실존의 윤리적 단계를 결혼에 빗대 묘사하고 있는 <결혼에 관한 약간의 성찰: 반론에 대한 응답, 유부남 씀(Adskilligt om Ægteskabet mod Indsigelser. Af en Ægtemand)>(SV. VI, 85∼161쪽)을 옮긴 것이다.
키르케고르는 단계라는 말보다 실존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하지만, 단계는 간단히 말해서 인간이 영위하는 여러 삶의 형태들을 의미한다. ≪인생길의 여러 단계≫에서는 삶의 형태가 심미적 단계, 윤리적 단계, 종교적 단계의 세 가지로 보다 세분화되어 있다. 윤리적 단계는 여러 사람이 갈 수 있는 좁은 길이지만 종교적 단계는 한 사람, 즉 단독자만이 갈 수 있는 좁은 길이다. 따라서 윤리적 단계에서는 개개인의 소통 가능성과 인생길의 보편성이 확보되지만, 종교적 단계에서는 전혀 그렇지 못하다. 오히려 종교적 단계에서는 개개인의 소통 가능성과 인생길의 보편성은 신앙의 걸림돌이 될 뿐이다. 키르케고르는 인생이 헤겔의 ≪논리학≫에서처럼 직접적 단계, 중간적 단계, 양자의 통일과 같은 추상적 논리로는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종교적 단계까지 아우르는 작품을 저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키르케고르에게 인생은 이것이냐 저것이냐를 선택하는 실존적 운동의 과정이다. 이런 운동에서 견인차의 역할을 하는 것이 결단이다. 그런데 결단이 가장 돋보이는 단계가 바로 종교적 단계인 것이다. 따라서 여러 인생길을 예시하면서 종교적 단계를 빠뜨린다는 것은 본론을 생략하는 격이다. 그렇게 볼 때 ≪이것이냐 저것이냐≫가 서론에 해당하는 작품이라면 ≪인생길의 여러 단계≫는 본론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런 점에서 ≪인생길의 여러 단계≫는 키르케고르의 실존의 3단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