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러운 세상에서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꿈꾸다!
사회 · 이웃 · 삶에 대한 명쾌하면서도 따뜻한 논평”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관계’란 떼려야 뗄 수 없다. 그리고 그러한 ‘관계’ 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감’이다. 서로가 공감할 때 비로소 좋은 관계가 싹트고 계속해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은 『공감 세상, 생각으로 피어나다』이다. 어지러운 세상 속에서 행복한 인간관계를 맺고 건강한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공감’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김포대학교 특임교수이자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인 작사가 박미주가 미디어파인과 파주민보에 기고한 칼럼을 모은 것으로, 사회적 이슈들에 대해 생각으로 피워 낸 공감의 글들을 엮은 것이다. 특히 저자의 글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부분은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데 필요한 마음가짐이다.
“진정한 행복은 나뿐 아니라 나와 타인, 나와 세상의 균형과 조화에서 이루어진다. ‘삶의 질’을 높이는 관점에서 주변을 새롭게 바라보고 사회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우리는 주변의 ‘관계 나무’를 잘 가꾸어야 한다.”며 관계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언어의 온도, 사람 관계에 좋고 나쁨을 결정하는, 가벼이 여기지 말아야 할 참 중요한 것이다. 사람의 말 한마디는 가슴에 꽂히는 비수가 되기도 하고 아픈 상처를 치유하는 치료제가 되기도 한다. 이왕이면 자신의 말 한마디가 상대에게 휴식이 되는 언어의 온도가 되기를 바란다.”며 언어의 온도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러 사회적 이슈들을 다루는 데도 객관성과 논리를 잃지 않으면서도 저자가 유지하고자 하는 태도는 단연 ‘역지사지’다. “사람의 위치와 처지를 당장 바꾸는 일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잘 모르는 누군가를 편치 않게 표현한 적이 있다면 자신의 관점을 바꾸는 용기가 필요하다. 언제든 역지사지의 관점이 될 수 있다는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많은 갈등과 대립이 줄어들지 않을까.”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글에는 많은 시선이 담기고, 공감하며 끄덕일 수 있게 된다. 때론 날카롭게, 때론 따스한 시선으로 보는 세상사를 통해 ‘모두가 공감으로 어우러지는 세상’은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지, 이 책을 통해 들여다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