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예술의 특징인 ‘휴머니즘’과 ‘창의성’에 초점을 두고, 김홍도의 작품과 사상 그리고 인생 전체를 조망한다. 이 책을 통해서 현재진행형의 화가 김홍도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김홍도, 혁신을 통해서 조선회화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김홍도(1745~1806?)는 영혼이 자유롭고 창의성이 풍부한 천재화가다. 보수적이고 엄격한 궁중의 도화서에서 과감하고 자유로운 발상을 펼쳤을 뿐만 아니라, 전통의 규범이나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시대에 맞는 제재를 창안하고 새롭게 표현하며 새로운 기법을 시도했다. 그가 보여준 창의성은 조선시대 회화에 변곡점을 마련해 당시 회화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고, 혁신을 통해 조선회화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그를 기점으로 변화가 일어났을 뿐만 아니라, 후대의 회화는 물론 민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극적인 스토리텔링과 서정적인 휴머니즘으로 풍속화의 새로운 세계를 열다
오늘날 김홍도를 국민화가로 등극시킨 그림은 풍속화다. 그가 풍속화를 처음 시작한 것은 아니지만 풍속화를 조선 후기 화단의 대표적 장르로 끌어올리는 데 공헌했다. 김홍도는 풍속화를 단순히 일과 놀이를 보여주는 팩트의 수준에서 벗어나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회화로 승화시켰다. 극적인 스토리텔링과 서정적인 휴머니즘으로 한국 풍속화의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 하찮게 여겼던 백성들의 일상생활에 담긴 예술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한껏 드러내 보였고 사회 부조리에 대해서는 강하게 비판했다.
정조의 개혁정치에 걸맞은 혁신적인 회화를 창안하다
아무리 0.1%의 천재라 하더라도 그것을 꽃피울 수 있는 시대와 사람을 만나지 못하면, 그 천재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김홍도에게는 두 번의 행운이 찾아왔는데, 첫 번째는 어린 시절 안산에서 예림의 총수 강세황을 만난 일이다. 강세황을 통해 김홍도는 풍속화와 신선화에서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 두 번째는 정조의 개혁정치에 걸맞은 혁신적인 회화를 창안할 기회를 얻은 것이다. 정조의 지시로 김홍도는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탐승하고, 대마도를 다녀오며, 동지사의 일행으로 북경을 돌아보고 왔다. 이러한 여행은 그의 회화세계를 확장하는 역할을 했다. 사도세자의 명예 회복을 위해 벌인 정조의 회화 프로젝트에 김홍도가 주역으로 참여해 기독교 성화처럼 그린 획기적인 불화를 제작했고, 북벌에서 북학으로 바뀐 정조의 외교 노선에 따라 책가도와 호렵도라는 새로운 장르의 회화가 탄생했으며, 이들 그림은 민화에 이르기까지 후대에 유행했다.
벼슬에서 물러난 후 회화 작업에 몰두해 주목할 만한 선종화를 그리다
승승장구하던 김홍도는 정조 어진 모사의 포상으로 임명된 연풍현감에서 파직되는 충격적인 아픔을 겪은 이후 많은 것이 달라졌다. 현감직을 박탈당하고 의금부에 갇혀 압송되었지만, 다행히 정조에 의해 원행을묘 행사에 동원되면서 전격적으로 풀려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역사상 가장 스펙터클한 〈화성원행도〉 제작에 참여했다. 이후 그는 재야에서 회화 작업에 충실하며 화려했던 시절처럼 다양한 내용의 그림을 그리기보다는 자신의 삶을 관조하는 내향적인 성향을 보였다. 시의도나 고사인물도를 통해 자신의 심정을 표출하고, 내적으로 심화한 작품세계를 보였다. 당시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선종화다. 중년에 들어서는 불교 관련 그림에 몰두해 깨달음에 대한 새로운 경지로 선종화의 세계를 한 차원 높였다. 김홍도의 선종화는 혁신이자 새로움이다. 단순한 깨달음을 표현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김홍도 자신의 삶과 동일한 세계를 보여주었고, 그의 선종화의 위대한 점이 여기에 있다.
풍속화와 진경산수화가 한 폭에 융합되는 거대한 통합을 이루다
젊은 시절 한 시대를 풍미한 궁중화원이었고 연풍현감에 이르는 벼슬도 지냈지만, 말년에는 가난과 병마와 힘겨운 싸움을 벌이는 처지가 되었다. 극과 극을 체험하는 롤러코스터와 같은 삶이었다. 60대의 작품은 용광로처럼 삶의 모든 것들을 한 화폭에 녹여내는 것처럼 총합을 이루었다. 〈삼공불환도〉는 그가 평생 힘을 기울였던 한국적 주제인 풍속화와 진경산수화가 한 폭에 융합되어 나타난 작품이다. 노년기의 김홍도는 구분된 장르를 뛰어넘어 하나의 불꽃처럼 불타오르는 세계를 나타냈다. 세세한 것에 얽매이기보다는 종합화하는 능력, 그리고 여백을 살리고 필선을 응집시키는 독특한 공간감 등 젊은 시절에 보였던 치밀하고 세련된 감각과 다른 세계를 펼쳐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