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식품 위생학 07
1.0 식품 위생 행정 9
2.0 식중독 11
2.1 식중독 원인 물질 11
2.2 식중독 예방 및 지수 20
2.3 식중독 발생 특징 및 원인별 대처 22
2.4 세균성 식중독 (미생물학적 관점) 25
2.5 살모넬라 식중독 (미생물적 관점) 25
2.6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미생물적) 26
2.7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미생물적) 27
2.8 여시니아 식중독 (미생물적) 27
2.9 캠필로박터 식중독 (미생물적) 27
2.10 웰치균 식중독 (미생물적) 28
2.11 세레우스 식중독 (미생물적) 28
2.12 포도상구균 식중독 (미생물적) 29
2.13 보툴리누스 식중독 (미생물적) 29
2.14 축산물 오염균 30
2.15 미생물 열저항성 수치 30
2.16 식품의 변질 및 부패 냄새 32
2.17 초기 부패 판정 방법 33
2.18 어패류 사후변화과정 35
3.0 오염물질 39
3.1 천연 오염 물질 40
3.2 의도적 오염 물질 43
3.3 비의도적 오염 물질 46
3.4 오염물질의 독성 평가 51
4.1 식품 저장과 위생 52
4.2 교차 오염 관리 52
4.3 식품 조리와 위생 53
5.0 내분비계 장애물질 55
5.1 내분비계 장애물질 종류 55
식품 위생학 실전 문제 60
02. 생애주기 영양학 77
1.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2020 79
1.1 개정안 설정 이유 79
1.3 개정안 세부 특징 81
1.4 개정안 세부 내용 82
2.0 생애주기 영양학 90
2.1 노화 91
2.2 생애주기 영양학의 의의 91
3.0 영양과 임신 92
3.1 생리 주기 93
3.2 생리 영향 요인들 93
3.3 임신을 위한 영양 계획 95
3.4 임신과 생명의 탄생 95
3.5 임신과 영양 99
3.6 임신 기간별 대사적 특징 103
3.7 임신 기간별 호르몬 및 혈액 변화 103
4.0 수유기 영양 106
4.1 수유부 영양 섭취 기준 106
4.2 수유부를 위한 식생활 실천지침 108
4.3 유방의 구조 108
4.4 모유의 합성 및 분비 109
4.5 모유 생성과 호르몬 111
4.6 모유 생리 112
4.7 수유부의 대사 112
4.8 수유부의 영양 필요량 114
4.9 모유 수유 장애 115
4.10 아미노산 대사 이상 116
4.11 단백질과 건강 문제 119
5.0 영아기 영양 121
5.1 영아의 영양섭취 기준 121
5.2 이유기 영양 123
5.3 영아기를 위한 식생활 관리 123
6.0 유아기 영양 124
6.1 유아기 구분 (1-5세) 124
6.2 유아의 생리적 및 정신적 특수성 131
6.3 유아의 간식 131
6.4 유아의 식생활지도 132
6.5 유아의 영양관련 문제 133
7.0 어린이(아동기)의 영양 문제 136
7.1 어린이(아동기)의 성장 136
7.2 어린이(아동기)의 영양섭취 기준 136
8.0 청소년기 영양 138
8.1 청소년기 (12-18세) 성장과 영양 138
8.2 청소년기 (12-18세) 성장과 영양 140
9.0 성인기 영양 141
9.1 성인기의 특징 141
9.2 성인의 영양필요량 142
9.3 성인의 방어 영양 147
9.4 성인의 영양 관련 문제 148
9.5 중년 여성의 건강 문제 151
9.6 성인기 영양 주의 사항 154
10.0 노년기 영양 155
10.1 노년기 영양 섭취 기준 156
10.2 노년기 생리적 변화 158
10.3 노년기 약물영향 160
10.4 노년기 식생활 162
10.5 노년기 질병 163
생애주기 영양학 실전 문제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