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들지 못하는 당신,
삶을 사랑하고 있나요?
약물 치료가 아닌 습관을 다잡는 실천으로 불면증을 다독이는 법을 이야기한다. 일반적인 치료와 달리 불면증으로 복용하는 약은 시간이 흐를수록 개수와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저자는 칠 년 동안 복용한 수면제를 끊은 경험을 모아 《나는 수면제를 끊었습니다》를 출간했었다. 이번에는 자신의 경험과 상담에서 나눈 이야기를 더하여, 불면증으로부터 내 삶을 되찾아오기 위한 세 가지 습관을 소개한다. 잠에 종속되지 않은, 삶의 주인으로 살기 위한 여정에 함께하자고 손을 내민다.
숙면의 밤을 위해 어디까지 해보셨나요?
잘 자고 싶은 분들을 위한 마음 챙김 안내서
“다른 것은 다 필요 없어요. 잠만 잘 자면 소원이 없어요.”
“그 인간만 아니면 진작 두 다리 쭉 뻗고 잤어요.”
“수면제만 끊으면 새로운 인생을 살 수 있을 것 같아요.”
“남들은 멀쩡히 잘 자는데 나만 왜 이러죠?”
국민건강관리공단에 따르면 수면장애를 겪는 한국인은 68만 명으로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수면제 처방은 일반화되었고 꿀잠에 좋다는 각종 보조제와 기구가 성행하고 있지만 모두가 좋은 효과를 보지는 못한다. 불면증의 원인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외부의 방법에만 의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너무 과도한 정보로 인해 스스로를 돌아보며 치유할 여유를 빼앗겼기 때문이다.
이 책은 크게 3가지 습관 형성을 통해 삶의 주인으로 사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저자 개인의 경험과, 수면 멘토로 활동하며 공감하고 함께 해쳐나간 이들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어렵지 않게, 현실적인 조언을 전한다. 생각 습관에서는 불면증과 뗄 수 없는 관계인 불안을 직시하며 어떻게 하면 이 불안을 전환하여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지 알아보자. 행동 습관에서는 불면증에 도움을 주는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소개한다.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상 속 습관부터 걷기의 유익성과 수면 심상화 요령 등을 소개한다. 이미 아는 방법일지라도 다시 되짚어보자. 저자는 이렇게 격려한다.
“사소하고 일상적인 습관이 쌓여서 현재의 내 모습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이것저것 해도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아직 하지 않은 것을 실행해 보세요. 아는 것과 하는 것은 다릅니다.”
마지막, 감정 습관에서는 불면증의 뿌리인 감정을 나의 편으로 만드는 감사 일기 작성법과 일상에서 실천하는 셀프 코칭 노하우를 아낌없이 풀어냈다.
생각 습관, 행동 습관, 감정 습관을 통해 바르게 나를 대하는 일도 연습이 필요하다. 불면의 원인을 탐색하고 바로잡는 일. 곧 나의 노력이 최고의 불면증 치료제인 것이다. 공들여 쌓은 진심은 포근한 잠과 상쾌한 일상을 일구어낸다. 바로 이 책이 치료에서 치유로, 더 나아가서 삶의 주인이 되는 당신의 여정에 동반자가 되어줄 것이다.
* 나의 불면증 체크리스트 수록
* ‘생각대로 다이어리’ 양식 수록
* 수면·명상 힐링 사운드 앱 ‘코끼리’에서 티쳐로 활동하는 작가의 목소리를 만나보세요.
[추천사]
책에서 제시하는 ‘걷기, 명상, 감정 일기, 감사 일기 작성’ 등의 활동은 진료실에서도 권고하는 것들이다. 일상에서 차곡차곡 쌓은 이런 활동들의 실천이 불면증, 불안, 우울감을 개선하는 데 얼마나 큰 위력을 발휘하는지를 저자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운동화를 신고 현관문을 여는 내 모습은 나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이란 책 속 문장을 직접 몸과 마음으로 느껴 보길 바란다. _조현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불면이라는 소재로 시작하지만, 다 읽고 보니 나 자신이 주도적으로 좋은 쪽을 선택하는 삶으로 회복하고 치유하는 시간이었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실천들을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실행해 간다면, 어느새 원하는 삶의 모습을 회복한 내 모습을 알아차리게 되지 않을까? 여러 가지 삶의 문제로 생각이 많아 잠 못 이루는 분들에게 다시 한번 변화를 시도할 계기가 되어줄 것이다. _수면명상앱 코끼리, 문성화 대표
우울증과 불안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6억에 달하는 시대인 오늘 날, 자신의 삶을 리드해 나가는 당당한 나로 서기 위해 반드시 읽어볼 책으로 추천한다. 정윤주 작가는 이 책을 통해 잔잔하지만 힘 있는 정서적 언어로 불면을 인식하고 이겨내기 위한 힘을 준다. _호주 마인드케어상담코칭 대표 김애린, D.Ed. Min
불면증 치료의 대상에서 치유의 주체로 거듭난 저자는, 잠의 문제 이면에는 삶의 이야기가 숨어 있고, 잠의 위기는 삶을 만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회복의 중심에는 약이 아닌 수용과 삶의 방향성, 그리고 실천이 있다. 저자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 적인 코칭 사례들을 통해 우리도 자기 치유자로 거듭날 수 있다는 용기를 얻는다. _장창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에서는 자기를 돌보고 사랑하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것 을 실천하는 것은 어렵고 막막하다. 불면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 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나와의 관계 회복일지 모른다. 저자는 ‘자기 돌봄’이 어떤 것인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소개하고 있으며, 세심한 안내에 따라 한발 한발 걷다 보면 숙면뿐만 아니라 나 자 신을 진정 사랑하는 사람으로 살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_총신대 아동상담심리학과 교수 이유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