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즉위식국왕의탄생(조선왕실의행사3)-08(왕실문화총서)

즉위식국왕의탄생(조선왕실의행사3)-08(왕실문화총서)

  • 김지영, 김문식, 박례경, 송지원, 심승구, 이은주
  • |
  • 돌베개
  • |
  • 2013-02-19 출간
  • |
  • 320페이지
  • |
  • ISBN 978897199529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즉위의례의 연원과 의미
1 유교 경전에 보이는 즉위의례의 연원
순舜임금과 선양禪讓의 즉위의례 | 주周무왕武王과 개국開國의 즉위의례 |주周강왕康王과 사위嗣位의 즉위의례

2 유교 경전을 통해 본 즉위의례의 의미
3 중국 역대의 즉위의례
진한秦漢시기의 즉위의례: 봉선封禪과 황제 공덕의 과시 | 위진魏晉남북조南北朝시기의 즉위의례: 선양禪讓으로 미화된 권력 쟁탈 | 당송唐宋시기의 즉위의례: 예전禮典의 편찬과 즉위의례의 정비

4 명대明代의 즉위의례
즉위의례의 실제, 명明태조太祖의 즉위의례 | 명대 예전禮典에 등재된 즉위의례와 관련 의례들 |『대명회전』의 황제 등극의

제2부 국왕의 즉위의례
1 조선시대 이전의 즉위의식

2 조선시대 즉위식의 유형
수선受禪 | 사위嗣位 | 반정反正

3 조선시대 즉위의식의 실제
개국, 태조의 즉위식 | 수선, 세종의 즉위식 | 사위, 슬픔 속의 즉위식 | 반정, 중종·인조의 즉위식

4 즉위를 공인하는 부대 행사들
외교의례, 천하에 새 왕의 즉위를 알리다 | 하늘에 고하고 천덕을 함께하다 | 종묘에 고하고 계술을 천명하다 | 새로운 시작을 백성과 함께 축하하다

제3부 즉위의례의 상징과 기록
1 즉위식의 공간, 문門과 전殿
2 즉위식에 초대된 사람들
3 즉위식의 상징과 기록
대보大寶 | 국왕 즉위식의 복식 | 국왕의 노부의장 | 즉위식의 음악 | 즉위식의 기록과 기억

제4부 황제의 즉위의식
1 고종의 황제국 선포와 대례의식
2 대례의식의 실제
3 황제국의 상징들
황제의 복식 | 황제의 노부의장

제5부 왕세자, 이극貳極의 자질과 지위를 공인받다
1 왕위 계승을 공식화하는 의식들
책봉의식; 왕세자로 정해졌음을 선포하다 | 입학의식; 왕세자 학교에 가다 | 관례; 왕세자의 성인식 | 대리청정과 조참, 왕세자의 정치무대 신고식

2 이극貳極을 공인하는 의식의 실제
왕세자 책봉의식 | 왕세자 입학의식 | 왕세자 관례의식 | 대리청정 조참의식

3 이극의 상징들
교명과 책인 | 왕세자의 공간과 기관, 그리고 사람들 | 왕세자의 노부의장

4 이극에 오르는 의식의 복식
왕세자 책봉과 복식 | 왕세자 입학과 복식 | 왕세자 관례복식 | 대리청정 조참 복식

제6부 국왕 즉위식의 활용과 현대적 의미
1 국왕 즉위식의 의례적 특성
2 조선시대 국왕 즉위식 재현의 현황
3 즉위의례 복원의 현대적 의미

부록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

도서소개

조선 최대의 행사, 왕실 즉위의식의 현장을 경험하다! 왕실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왕실문화총서」 제8권 『즉위식, 국왕의 탄생』. 왕실의 행사를 다룬 《왕실의 천지제사》와 《왕실의 혼례식 풍경》에 이은 세 번째 책이다. 국왕 즉위식을 비롯한 우수하고 독창적인 조선왕실의 의례와 행사를 발굴·복원하여 세계적인 무형문화유산으로써 그 가치를 널리 알리고, 소중한 인류문화의 자산으로써 보존하고 재발견하는 일에 소중한 밑거름이 되고자 기획되었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새 왕이 보위에 오르는 의식인 즉위식을 중심으로 대한제국의 황제 즉위식과 세자가 왕의 후계자인 왕세자로 공인받는 의식까지를 총체적으로 다룬다. 즉위의례의 연원을 고대 중국의 경전에서 찾아보고 그 의미를 살펴본다. 고려시대의 즉위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로의 변화와 추이를 추적하고, 즉위식의 공간, 초대된 사람들 등 즉위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명한다. 아울러, 조선 국왕 즉위식의 현대적 의미와 문화 콘텐츠로써의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새로운 국왕의 탄생을 알리는 조선 왕실의 즉위의식
조선의 최고 통치자인 국왕은 어떤 모습으로 왕의 자리에 올랐을까? ‘즉위식’ 하면 많은 사람들이 19세기 화가 다비드의 그림인 〈나폴레옹의 대관식〉처럼 새로운 왕에게 왕관을 씌워주고 왕으로서의 상징물을 전달하는 광경이나, 현대의 대통령 취임식처럼 드넓은 공간에 수많은 인파들이 모여 진행되는 축제적 성격의 행사 장면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즉위식은 우리의 상식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진행되었다.

조선시대에 국왕의 즉위를 표현하는 당시의 용어는 ‘등극’登極이었다. 등극에서 ‘극’은 뭇 별들의 중심인 북극성을 의미하기도 하고, 도덕적 표준이자 중심 원리로서 황극皇極을 의미하기도 했다. 따라서 등극이란 여러 해석에서 모두 최고의 자리에 오른다는 의미를 지녔다. 군주제 국가에서 국왕은, 모든 갈등을 조화로 이끌 수 있는 ‘덕’과 갈등을 제압할 수 있는 ‘물리력’이라는 강한 힘을 가진 존재로 기대되었으며, 이러한 ‘바람직한 군주’에 대한 국가 공동체의 바람과 기대가, 즉위식의 형식과 내용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조선에서 새로운 왕이 등극하는 의식은 계승의 형식에 따라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나라를 세우고 왕위에 오르는 개국開國, 선왕이 살아계실 때 후계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수선受禪, 왕이 돌아가신 뒤에 후계자가 왕위에 오르는 사위嗣位, 선대 왕을 폐위시키고 새로 추대된 왕이 왕위에 오르는 반정反正의 네 가지이다. 개국은 태조 이성계, 수선은 정종ㆍ태종ㆍ세종ㆍ세조ㆍ예종ㆍ순종의 여섯 왕의 예, 반정은 중종과 인조 두 왕의 예가 있으며, 나머지 대부분(18명의 왕)의 경우는 사위嗣位로 왕위를 물려받았다. 이 네 가지 계승의 형식에 따라, 즉위식의 장소나 그 절차 및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조선의 즉위식과 현대 대통령의 취임식
조선 왕의 즉위의식은 왕실의 다채로운 행사 가운데 가장 중대한 행사였으며, 행사의 독특한 절차와 의식에는 고유의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었다. 조선의 왕ㆍ황제ㆍ왕세자를 공인하는 의례를 통해서 우리는 조선인의 정치의식과 ‘이상적인 지도자상’을 살펴볼 수 있다. 오는 2월 25일 새 대통령의 취임식을 앞두고, 현대의 대표적 국가 의전인 취임식과 조선시대 국왕 즉위식을 비교해보는 것도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본문 309쪽). 한국의 유교적 전통문화와 왕실문화의 진수를 담고 있는 상징의례인 조선의 즉위식은 보존되거나 복원될 수 있는 과거의 유산에 그치지 않고, 전통문화와 현대 의전을 접목하여 새로운 국가 의전 체계로 탄생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닌 훌륭한 무형의 세계문화유산이다.

조선 왕, 대한제국 황제, 이극貳極(왕세자)을 공인하는 의식의 상징과 기록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새 왕이 보위에 오르는 의식인 즉위식을 중심으로, 대한제국의 황제 즉위식과, 세자가 왕의 후계자인 왕세자로 공인받는 의식까지를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먼저 제1부에서는 즉위의례의 연원을 고대 중국의 경전에서 찾아보고 그 의미를 살핀다. 명대 이전 중국 역대 왕조의 즉위식과, 조선 즉위의례의 직접적인 연원이 된 명대의 즉위의례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먼저 고려시대의 즉위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로의 변화와 추이를 살핀다. 다음으로 조선시대 즉위식의 유형과, 각 즉위식의 ‘실제’를 기록을 통해 살펴본다.
제3부에서는 즉위식의 공간인 문問과 전殿, 즉위식에 초대된 사람들, 왕위에 오르는 의식의 상징물인 대보大寶와 교명敎命, 복식과 각종 의장, 음악, 관련 기록 등 즉위식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4부에서는 고종황제 즉위식을 통해 황제국으로의 변모를 살펴본다. 황제국의 선포와 황제 칭호를 통한 진정한 독립국으로의 열망이 일었던 당시의 급박한 정치 상황과 황제국 수립의 과정을 개괄하고, 변화된 황제의장과 복식, 내용과 규모 등을 황제 등극의를 기록한 『(고종)대례의궤』를 위주로 살펴본다.
제5부에서는 왕세자의 자질과 지위를 공인받는 의식들을 살펴본다. 왕세자는 책봉의식, 입학의식, 관례, 대리청정, 조참의식 등을 통해 왕의 후계자로 공인받았는데, 왕의 즉위식에 비해 훨씬 풍부한 기록과 시각자료들이 남아 있어 이를 토대로 왕세자 공인의식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제6부에서는 조선 국왕 즉위식의 현대적 의미와 문화 콘텐츠로서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수선受禪의 대표적인 예, 세종대왕의 즉위식
선왕이 살아있을 때 왕위를 물려주는 “수선受禪”은, 왕위의 혈연 계승이 일반화되기 이전 시대에 요堯임금으로부터 순舜임금이 왕위를 이어받은 사례를 통해 아름다운 왕위 계승의 전형으로 인식되어왔다. 태종이 막내아들인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