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북행

북행

  • 허성관
  • |
  • 인문서원
  • |
  • 2023-12-28 출간
  • |
  • 320페이지
  • |
  • 142 X 213mm
  • |
  • ISBN 9791186542781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송화강과 눈강을 보지 않고 우리 역사를 논하지 말라!”
장장 수만 킬로미터에 이르는 장대한 답사 여행의 기록

이 책은 광개토태왕비, 백두산, 발해 상경용천부 등 우리에게 친숙한 유적지뿐만 아니라 상고시대 우리 조상들이 활약했던 송눈평원부터 부여족의 시원으로 추측되는 흑룡강성 북쪽의 아리하, 일제 강점기 애국지사들의 활동 무대 중 하나였던 내몽고자치구의 만주리 등 상고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수천 년의 역사를 아우르는 장대한 여정을 담고 있다. 과거 동북아를 무대로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일구어낸 우리 조상들의 흥망성쇠를 돌아보며 찬탄과 비탄이 교차하는 저자의 답사 여정을 따라가노라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교훈을 자연스레 되새기게 된다.
교통 형편, 기상 조건과 더불어 중국 측의 의도적인 흔적 지우기(?) 등의 숱한 난관을 뚫고서야 간신히 다가갈 수 있었던 곳들도 많았다고 한다. 동이족의 영웅으로 추앙받는 치우천황 묘(산동성 문상현 남왕진 소재)는 현지 주민들 중에 아는 사람이 없었으나 운 좋게 위치를 아는 택시 기사를 만나 그 실물을 접할 수 있었다. 우리 상고사에서 논란의 대상 중 하나인 기자의 묘(산동성 조현 소재)는 한 마을 주민의 안내 덕분에 겨우 찾을 수 있었는데, 저자가 현장에서 직접 본 결과 이 근처가 은나라의 본거지이고 기자의 고향이니 기자 무덤도 평양이 아닌 이곳에 있는 것이 자연스럽고 지리적 여건에도 부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최근에야 한국에 알려진 눈강현의 부여 유적지의 경우, 현지 주민들에게 물어도 아는 사람이 전혀 없어 결국 찾아내지 못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고 한다. 동북공정 탓인지, 아니면 지형이 변한 탓인지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말이다.

안타깝다. 치치하얼 북쪽 250킬로미터, 내몽고자치구와 흑룡강성 경계에 부여의 유적지가 있었다니 우리네 역사 상식으로는 짐작도 못 한 사실이다. 이곳은 며칠 전에 답사한 부여 유적인 길림성 백성시의 한서유적지와 위도가 비슷하다. 여기 북쪽까지도 상고시대 우리 민족 국가 부여의 강역이니 장춘 이북 좁은 지역이 부여였다는 식민사학자(일제 총독부 사학자)들 주장이 거짓말임을 확실히 알겠다. 부여의 강역은 광활했고, 고구려 유리왕이 태자 해명에게 부여가 무섭다고 한 말이 맞는 것 같다. (79-80쪽)

이제까지 알려진 바와 다르게 현장 답사를 통해서만 느낄 수 있는 심상치 않은 의문들을 제기하기도 한다. 가령 적봉시 외곽에 있는 삼좌점 산성의 경우, 성을 쌓은 방식, 석축원형제단과 적석총의 존재는 이 유적이 한족이 남긴 것이 아니고 우리 동이족 유적임을 말해준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4천 년 전이면 고조선 초기다. 따라서 이 산성을 고조선 산성이라 명명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 산성 이후 고구려 산성이 나타날 때까지 같은 유형의 산성이 발견되지 않고 있어 식민사학계는 고조선 산성으로 믿을 수 없다고 한다. 이 고조선 산성이 고구려 산성으로 진화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비록 식민사학계 논리가 맞다고 해도 없는 것과 발견되지 않은 것은 다른 문제다. 부정하기 전에 치열하게 발로 뛰고 연구하는 것이 먼저다. (228-229쪽)

중국이 동북아에서 우리 역사 지우기를 완료하기 전에, 우리 역사학계가 반드시 귀 기울이고 그 실상을 심층 연구해야 할 시사점들이 아닐 수 없다.

“북방 민족들의 역사도 우리 역사다!”
한민족과 북방 민족의 역사 유적을 총망라한 값진 답사 성과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은 우리 조상들의 나라인 부여, 고구려, 발해의 자취 못지않게 북위를 세운 선비족, 요를 세운 거란족, 금을 세운 여진족 등 동북아를 호령했던 북방 민족들의 역사를 우리 형제 민족의 역사로서 적극 살피고 보듬어냈다는 것이다. 거란족의 요나라 성 흔적, 금나라 상경 유적지, 부여족과 선비족, 거란족, 여진족, 몽골족이 힘을 기른 지역인 백성시의 박물관, 대흥안령박물관, 노몬한 등에 지금도 오롯이 살아 숨 쉬는 북방 민족들의 발자취를 찾아낸 여정은 이제까지의 여느 답사기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값진 답사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북방 민족들을 소중화사상의 관점에서 오랑캐로 보고 멸시했던 우리의 전통적인 역사관을 비판하며 그들의 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평가하고 연구해야 할 당위성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역설한다.

북방 민족들은 대부분 오늘날 사라진 민족이다.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가 망한 지 100년 남짓밖에 되지 않았는데 지금 중국에는 만주족 말을 가르치는 초등학교도 없다. 북방 민족사를 연구하는 중국 학자들은 많다. 그러나 이들은 어디까지나 한족 입장에서 연구한다. 북방 민족 중에서 지금 국가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와 몽골 그리고 일본이다. 일본은 아니라고 하니 어쩔 수 없다. 중국이 동북공정을 진행하고 있는 지금 북방 민족사를 우리 관점에서 연구하고 정리해야 한다. 국가적인 사업으로 대대적으로, 그러나 조용히 추진해야 한다. 언제일지 알 수 없으나 먼 후일 반드시 크게 쓰일 것이다. 대륙성과 해양성이 발휘될 때 우리 민족은 융성했다. 북방 민족사 연구는 바로 우리 역사에서 대륙성을 회복하는 기초 작업이다. (100-101쪽)

중국의 동북공정이 한반도 통일 이후 동북아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영토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기획된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 관점에서 북방 민족사를 새롭게 연구, 정립한다는 것은 잃어버린 땅을 되찾으려는 자가당착적 국수주의의 발로가 아니라 우리 선조들이 당차게 가슴에 품고 있었던 대륙의 혼을 되찾으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나아가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소중한 초석이 될 것이다.

목차

시작하며-주제가 있는 여행의 즐거움

1부 북만주, 호륜패이초원을 가다
1. 송눈평원을 아십니까? -장춘, 송원
2. 진개가 동호의 왕? -송원, 오란호특
3. 송화강과 눈강을 보지 않고 우리 역사를 논하지 말라 -오란호특, 탑자성, 치치하얼
4. 별이 쏟아지는 밤 대초원에 울려퍼지는 「강남 스타일」 -치치하얼, 아극석, 금장칸 마을
5. 소·만 국경을 보다! -천당초원, 만주리, 호륜호, 어얼구나
6. 순록의 고장에서 순록을 보지 못하다 -어얼구나, 에벤키족 민속촌
7. 아리수, 아사달, 태백산, 동굴, 마늘! -근하, 아리하, 알선동굴, 악륜춘족 박물관, 자거다치
8. 만주 독립군들이 즐겨 부른 노래 「찔레꽃」 -자거다치, 눈강현, 치치하얼
9. 꿈에 금나라 태조를 만나 절하다 -치치하얼, 아성, 하얼빈
10. 중국 북방 민족 역사는 우리 역사다 -하얼빈

2부 동간도와 서간도를 가다
1. 남의 나라 같지 않다 -연길
2. 두만강에 노 젓는 뱃사공은 없다 -연길, 도문, 두만강, 명동촌
3. 우리는 대종교에 큰 빚을 졌다 -용정, 대종교 3종사 묘, 청산리, 이도백하
4. 천지에서 개천을 경험하다 -이도백하, 백두산 천지, 통화
5. 아! 이곳이 그곳이구나! -통화, 삼원포, 고산자, 합니하, 집안
6. 고구려 중심에 가다 -집안, 환도산성, 환인
7. 비류수 강변에서 자고 오녀산성에 오르다 -환인, 오녀산성, 단동
8. 비사성은 아사달에 있었다 -단동, 황금평, 비사성(대흑산성)

3부 산동성, 홍산, 요서를 가다
1. 고구려 유민 이정기의 치청왕국을 아십니까? -청도, 청주, 제나라 임치성 유적, 치박
2. 치우천황 묘에 참배하다 -치박, 곡부, 치우총, 하택
3. 기자는 중국 역사에서 그리 중요한 인물이 아니다 -하택, 조현, 기자총, 개봉
4. 열하 피서산장은 청나라 마지막 방어 거점이었을 것이다 -개봉, 정주, 북경, 고북구, 승덕
5. 인류 최고 문명 중심지에 가다 -승덕, 적봉
6. 북방 민족의 중원 정복로를 달리다 -적봉, 요나라 중경, 우하량, 조양, 노룡현
7. 식민사학자들이 꼭 보아야 할 우리 고대사 현장 -백이숙제 유지, 영평부, 갈석산, 천진

4부 우리 민족 문명의 시원, 삼강평원
1. 답사에도 운이 있어야 한다 -하얼빈공항, 흑룡강성 박물관, 안중근 의사 기념관, 송화강
2. 대일항전기 우리 민족 고난의 현장, 아성 -하얼빈, 아성, 금나라 상경 박물관, 의란현 박물관, 왜긍합달 유적, 쌍압산
3. 40만 평 고대 도시, 봉림고성 -쌍압산, 봉림고성, 포대산 유적, 요하현 박물관
4. 우리 민족 역사의 시원, 소남산 -요하현, 소남산 유적, 완달산맥, 밀산
5. 박물관은 역사 교육 현장이어야 한다 -밀산, 흥개호, 신개류 유적, 계서시 박물관, 도배산 유적, 목단강
6. 아, 상경용천부! -목단강, 목단강시 박물관, 상경용천부, 경박호, 앵가령 유적, 연길

마치며-멀리 앞을 내다보는 나무들에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