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에 걸쳐 지속된 산업혁명으로 등장한 다양한 사회문제들은 Adam Smith의 ‘보이지 않는 손’인 시장에 의해 자율적으로 해결될 것이라는 낙관론에서 벗어나 정부의 개입을 요구하게 되었다. 산업화로 나타난 최초의 문제는 공장이 들어선 도시의 환경오염과 과밀 및 주거부족 그리고 위생과 보건문제였으나, 이후에는 도시지역과 상대적으로 낙후되거나 저개발된 지역 간의 격차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20세기에 들어와 도시계획가와 지역개발론자들은 산업화로 확산되기 시작한 지역문제를 정책대상과 연구대상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여기서 지역발전현상은 중요한 화두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 산업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1980년대 이후에는 세계화라는 글로벌시대가 도래하고 또한 정부통신기술혁명에 의한 후기산업사회(정보화사회)가 대두되어 국가와 지역을 둘러싼 환경에서는 복잡화하고 난해한 여러 가지 지역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 저자서문 ]
서문: 지역발전의 긴 여정 연구
국가발전의 과제로서 지역발전(regional development)이 등장하게 된 것은 19세기 중반이후부터이다.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에 걸쳐 지속된 산업혁명 으로 등장한 다양한 사회문제들은 Adam Smith의 ‘보이지 않는 손’인 시장에 의해 자율적으로 해결될 것이라는 낙관론에서 벗어나 정부의 개입을 요구하 게 되었다. 산업화로 나타난 최초의 문제는 공장이 들어선 도시의 환경오염 과 과밀 및 주거부족 그리고 위생과 보건문제였으나, 이후에는 도시지역과 상대적으로 낙후되거나 저개발된 지역 간의 격차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20세기에 들어와 도시계획가와 지역개발론자들은 산업화로 확산되기 시작 한 지역문제를 정책대상과 연구대상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여기서 지역발전 현상은 중요한 화두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Glasson, 1975: 10-11; 한국지역개발학회 편, 2002: 15). 산업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1980년대 이후에는 세계화라는 글 로벌시대가 도래하고 또한 정부통신기술혁명에 의한 후기산업사회(정보화사 회)가 대두되어 국가와 지역을 둘러싼 환경에서는 복잡하고 난해한 여러 가 지 지역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중략)
마지막으로, 제4장 “결론” 부분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과제에 대한 분석결 과를 요약하고, 일정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이 연구의 진행과정에 대한 간략한 개관과 함께, 학자와 실무가들을 한국 지역발전의 연구와 실제 세계에 초대하고자 한다. 이 책을 학습한다면 그동안 변화되어 온 지역발전의 이론과 정책을 이해할 수 있고, 이러한 이론과 정책이 우리나라 지역발전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어떻게 반 영되어 통치를 하고 있는가를 이해하고 설명하며 처방할 수 있는 능력을 함 양할 수 있다고 본다.
이 책이 나오기 까지는 다음과 같은 조직과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 저술은 저자가 한국연구재단의 저술출판지원사업(2017-2019: NRF- 2017S1A6A4A01021515)의 지원을 받아 연구한 결과물이다. 본 연구결과 가 나오기까지 학문적 자극과 물질적인 예산지원을 하여 준 교육부 및 한국 연구재단과 본 지원사업의 주관기관인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리고 조그 마한 연구결실을 출판하도록 도움을 주신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과 출판담 당자분들께 감사를 드린다. 또한 이 연구를 하는 데 필요한 정부간행물과 연 구보고서를 수집하는 데 도움을 주신 행정안전부 자치분권지원과장인 한치 흠 박사님에게도 감사를 드리고, 그동안 학문적 관심을 공유하여 온 여러 동 료 학자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