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역 구전설화 연구

지역 구전설화 연구

  • 황인덕
  • |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20-06-01 출간
  • |
  • 485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91165030438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한국 전설의 연구
1. 자료 수집의 성과 점검 ························15
2. 분류의 문제 ·····························19
3. 연구의 과정과 추이 ·························2
4. 전망과 과제 ·····························28

‘솟금산’ 전설의 유형성과 전승 양상
1. 머리말 ································3
2. 지리적 조건에서 본 전설의 형성권과 확장권 ·············34
3. 전설의 전승 유형과 솟금산과의 관련성 ················38
4. 중심권과 주변권에 따른 전승력의 변화 ················47
5. 맺음말 ································52

‘솟금산’의 형상과 전설의 형성
1. 머리말 ································5
2. ‘자연’과 전설적 전환의 관련성 ····················56
3. 솟금산 산형의 다면성 ························59
4. 산형의 전설적 유추화 양상 ······················61
5. 산 형상의 전설적 전환 ························63
6. 맺음말 ································68

솟금산’ 전설의 형상화 양상과 그 지속성
1. 머리말 ································69
2. 상상력의 물적 토대 ·························70
3. 상상의 공간 범주와 상징성 ······················72
4. 솟음 상징의 현재성과 지속성 ····················81
5. 맺음말 ································85

‘솟금산’ 산이름의 형성과 변화
1. 머리말 ································87
2. ‘솟음’의 상상과 산 이름의 생성 ····················8
3. 인위적인 이름 속금산(束金山)의 출현 ················91
4. ‘마이산’이란 이름의 공식화 ······················96
5. 문인 취향을 반영한 또 다른 이름들 ·················9
6. 산 이름 지속성의 두 요인 - 맺음 ··················101

연산 개태사 전설 연구
1. 머리말 ·······························129
2. 전설 유형들의 성립과 전개 ·····················132
3. 역사에서 전설로의 전환과 지역민의 역사의식 ···········137
4. 고려 말 왜병의 침입과 불상영험담의 성립 ·············145
5. 타락 승려상의 과장화와 전설적 표현의 심화 ············151
6. 특이 유물의 영향력과 전설 생산력의 지속성 ············160
7. 지명에 실현된 절의 영향과 민중적 시각 ···············164
8. 맺음말 ·······························171

금강 지천 무심천의 지리적 특징과 언어적 상상
1. 관심의 소재 ·····························185
2. 무심천의 가장 중요한 자연적 특징, 잦은 홍수 ············187
3. ‘통뫼산’ 지명과 전설적 상상 ·····················191
4. 용개들 개척 전설의 형성 배경 ···················197
5. 행주(行舟) 형국론의 강화와 당간(幢竿) 전설의 형성 ········201
6. ‘청주를 떠라’ 설화와 수해와의 연관 ·················206
7. 무심천의 잦은 수해와 ‘무심천(無心川)’ 지명 ············208
8. 맺음 ································214

영월 ‘술샘(酒泉)’ 전설의 장소성과 역사성
1. 머리말 ·······························215
2. 현지 자연물의 특징과 ‘술샘’ 지명의 성립 ··············217
3. 술샘 주변의 장소성과 문화경관의 변화 ···············22
4. 술샘 바위의 붕괴 사실과 전설화의 초기 모습 ············28
5. 전승 유형의 후대적 변이와 시대성의 반영 ·············23
6. 장소성의 쇠퇴와 전설 전승력의 약화-맺음말 ············240

보문산 지명과 보문산 전설
1. 머리 ································247
2. 보문사(普門寺) 창건과 보문산(普門山) 및 보문산(寶文山) ·····249
3. 보문산의 화수분 전설 유형 ·····················253
4. 보문산의 전우치 전설 유형 ·····················259
5. 맺음 ································264

식장산의 지리·역사적 배경과 식장산(食藏山) 전설
1. 관심의 방향 ·····························273
2. 식장산의 지리·역사적 성격과 ‘식장산’ 전설군의 형성 ·······275
3. ‘식장’산 전설의 전승 유형과 ‘식장산(食藏山)’ 지명의 정체 ······280
4. ‘식장’산 명칭의 영향력 확산과 전설 유형의 확대 ··········285
5. ‘식장산’ 명칭의 와전과 독자적 유형화 ················289
6. ‘식장’산 관념의 일반화와 새로운 전승 유형의 발생 ·········296
7. ‘대전시’의 변모와 전설 해석의 변화 ·················301
8. 요약과 전망 ·····························305

‘신틀(털)-’류 지명의 배경적 고찰
1. 머리 ································309
2. ‘신틀(털)-’류 지명의 자료와 개황 ··················31
3. ‘신털-’계 지명의 두 가지 유형과 배경 ················317
4. ‘신틀-’계 지명의 형성 배경과 바위 ··················323
5. ‘신틀-’계 지명과 설화적 배경 ····················325
6. ‘신털(털)-’류 지명 발생의 문화적 배경 ···············329
7. 신틀 지명과 제주도 지역 배경의 특수성 ···············33
8. 맺음 ································35

청주 ‘압각수(鴨脚樹)’ 전설의 전승력과 ‘홍수’ 화소의 지역성
1. 머리말 ·······························39
2. 전설 배경으로서의 ‘이·초(彛初)의 옥(獄)’ 사건 ··········341
3. ‘인물일화’로서의 ?필원잡기?수록 자료 ···············345
4. ?동국여지승람? 수록 ‘고적 유래담’으로서의 압각수 전설 ······347
5. 성리학적 역사관이 반영된 ?택리지?수록 자료 ···········351
6. 나무의 존재가 강조된 압각수 전설의 후대 모습 ···········354
7. ‘홍수’ 화소의 중요성과 지역적 독자성 ················356
8. 맺음말 ·······························361

쌀바위[米穴] 전설의 구조와 그 의미 고찰
1. 관심의 방향 ·····························363
2. 전승 유형의 검토 ··························364
3. 단락의 전개 양상과 구조 파악 ···················367
4. 구조의 의미 이해 ··························373
5. 구조적 의미의 보편성과 전설적 특수성 ···············37
6. 맺음 ································379

양촌천 ‘을무늬’ 유래담의 지역배경적 고찰
1. 머리 ································381
2. 양촌천의 특징과 ‘을무늬’라는 이름의 성립 ·············384
3. ‘강효자’의 명성과 ‘강효자 고기’ 이름의 출현 ············389
4. 을무늬 유래담의 사실적 기반과 전설 전승의 지역문화적 배경 ····394
5. 전설 전승 지역의 권역 구분 ·····················40
6. 전설의 표현 내용으로 본 지역성 ··················405
7. 맺음 ································408

참고문헌 ·······························473
찾아보기 ·······························477
수록 논문 게재 일람 ··························48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