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의 수사학』, 『공자의 수사학』, 『군자 프로젝트』 등을 통해 『도덕경』과 『논어』 속의 정치 윤리에 대한 해설을 펼쳤던 안성재 교수가 신간 『도덕, 성인, 군자』로 돌아왔다. 『도덕, 성인, 군자』는 수사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도덕경』과 『논어』를 톺아가며 어렴풋하게만 느껴졌던 ‘도덕, 성인, 군자’의 개념을 보다 명징하고 선명하게 해설해주는 훌륭한 길라잡이다. 안성재 교수는 『도덕경』과 『논어』의 번역문 및 원문을 우선적으로 제시한 후, 노자와 공자의 현학적인 표현들을 보편적인 예시와 알기 쉬운 현대어로 풀이함으로써 자칫 난해하게 느껴지기 쉬운 추상적 개념들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해 분석한다. 또한 『도덕, 성인, 군자』는 “갑골문을 보면 ‘설 립(立)’은 ‘큰 대(大)’와 땅(一)이 합쳐진 모양입니다. 즉 땅 위에 우뚝 서 있는 커다란 물체의 모습을 그려낸 것으로, ‘설 립(立)’은 단순히 서 있다는 뜻이 아니라, ‘쉬이 움직이지 않고 확고하다’, ‘머뭇거리지 않고 확실하게 하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와 같이 상형문자인 한자의 기원을 추적하고 해설하는 방식으로 한자 원어와 번역어 사이의 괴리감을 줄이고, 원문이 전달하고자 하는 참의를 보다 분명하게 짚어나간다. 베테랑 교수답게 실제 강의를 진행하는 듯한 친숙한 구어체를 채택해 지루함은 줄이고 몰입감을 더한 것 역시 『도덕, 성인, 군자』가 가진 장점이다.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쓰여진 ‘눈으로 읽는 한 편의 강연’ 『도덕, 성인, 군자』는 동양 고전 철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인 ‘도’, ‘덕’, ‘인’, ‘의’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석을 원하는 독자에게는 지식의 깊이를 더해줄 심화 학습서가, 배경 지식 없이 첫발을 떼려는 독자에게는 친절한 기초 입문서가 되어줄 것이다.
“도를 닦고 덕을 쌓아 성군이 되어야 한다”?
쉽게 쓰는 도道, 정말로 아십니까?
누군가 “도를 아느냐”라고 물었을 때 선뜻 “도를 안다”라고 대답할 수 있는 이는 별로 없을 것이다. 우리는 “도를 닦는다”, “덕을 쌓는다”라는 표현을 마치 관용어처럼 쉽게 사용하지만 실제로 ‘도’나 ‘덕’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좀처럼 알지 못한 채 살아간다. 더군다나 ‘옛 성현聖賢들의 말씀’이란 대개 복잡하고 모호한 은유로 이루어져 있기 마련이니,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배경 지식 없이 독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동양 철학, 특히나 동양의 정치 철학에 입문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짚고 넘어갈 개념인 ‘도덕’, ‘성인’, ‘군자’. 안성재 교수의 저서 『도덕, 성인, 군자』의 풀이를 통해 ‘도’의 세계를 헤아려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