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우리말과 영어의 만남

우리말과 영어의 만남

  • 이상도
  • |
  • 이진법영어사
  • |
  • 2024-01-02 출간
  • |
  • 372페이지
  • |
  • 182 X 257mm
  • |
  • ISBN 9788992835121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에 쓰인 부호〉
* 예시어구(例示語句) 또는 예문(例文) 앞에 * 표시를 한 것은 문법논리 및
어법관행에 모두 어긋남을 뜻한다.
? 예시어구 또는 예문 앞에 물음표를 한 것은 문법논리에는 맞으나 어법관행상
부자연스러운 표현임을 뜻한다.
- 붙임표(hyphen)는 대체로 의존형태소로 된 예시어구의 앞뒤에 붙인다.
‘ 축약표(apostrophe)는 대체로 예문 중 본래접속사와 결합하는 ψ부정형(零不
定形) 뒤 또는 연계사 "이다"의 보어 뒤에 붙인다. 예) 강은 푸르’고 산은 높다.
/ 빗금은 "또는" 을 의미한다. 국어와 영어의 예(例)를 열거할 때 쓰기도 한다.
〈 본문에서 괄호안의 〈 표시 뒤에 쓰인 숫자는 관련 항목을 가리킨다.
cf. 참조표로서 국어 예문에 대한 영역 부분이 구문상 대응하지 못함을 뜻한다.
(* ) 문법적인 설명을 위하여 임의로 보충한 것이며 실제로 있어서는 안 되는 부분을 뜻한다.
예) (*토끼가) 앞발이 짧은 토끼가...

〈이 책에 인용된 외국 문헌의 표시〉
Murphy: Grammar in Use: Basic, Intermediate; Hewings: Advanced
Alexsander: L.G. Alexsander, Longman English Grammar, Longman publishing,
New York, 1988
Azor: Betty Schrampfer Azor, Understanding and Using English Grammar,
Prentice Hall regents, 1989
Chalker: Sylvia Chalker and Edmund Weiner,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Grammar, Oxford University, 1994
Crane: L. Ben Crane, Edward Yeager, Randal L. Whitman,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s, Little, Brown and company, 1981
Glady: Glady G. Dotty and Janet Ross, Language and Life in the U.S.A.,
Row, Peterson and Company, 1960
Kuehner: Kuehner and Reque, Language: Structure and Use, Scott, Foresman
and company, Glenview, Illinois, 1981
Perrin: Perrin and Smith, The Perin-smith Handbook of Current English,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62
Sinclair: Collins Cobuild English Grammar, William Coliins Sons and Company
Limited, 1990
Thomson: Thomson and Martinet, A Practical English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Walton street Oxford, 1960

목차

머리말 iii
목차 vi

제1편 기본원리 1
1. 문법의 기본원리 2
1.1 문법의 의의 2
1.1.1 말과 문법(2) 1.1.2 말과 말을 잇는 고리(3) 1.1.3 우리문법 체계의 문제점(5)
1.2 문장과 품사 6
1.2.1 문장의 성분(6) 1.2.2 문장의 재료(7) 1.2.3 품사(7)
1.3 구문의 원리 8
1.3.1 기본 원리(8) 1.3.2 파생 원리(9) 1.3.3 한영 구문원리의 비교(10)
2. 명사지배의 구문 12
2.1 명사지배의 문장구조 12
2.1.1 문장의 지배(12) 2.1.2 절과 구의 지배(13)
2.2 명사지배 구문원리 13
2.2.1 명사지배 구문원리 (13) 2.2.2 명사지배 구문원리의 적용(15)
3. 문장의 형식 20
3.1 기본문형 20
3.1.1 한영 기본문형의 비교(20) 3.1.2 기본문형의 확장(21) 3.1.3 기본문형의 탁월성(23)
3.2 기본문형과 체언 25
3.2.1 체언의 격변화(25) 3.2.2 국어 체언의 격변화(25) 3.2.3 영어 체언의 격변화(26)
3.3 기본문형과 용언 27
3.3.1 용언의 종류(27) 3.3.2 영어 동사의 종류(27) 3.3.3 국어 용언의 종류(28)
3.4 기본문형의 확장 적용 29
3.4.1 제1형(29) 3.4.2 제2형(30) 3.4.3 제3형(31) 3.4.4 제4형(32) 3.4.5 제5형(33)

제2편 단어와 조사 35
4. 문장과 단어 36
4.1 문장의 분석 36
4.1.1 문장과 단어(36) 4.1.2 문장의 분석((36)
4.2 형태소 분석 37
4.2.1 형태소의 뜻(37) 4.2.2 형태소의 갈래(39) 4.2.3 형태소와 단어(39)
4.3 단어와 품사 42
4.3.1 품사의 형태(42) 4.3.2 품사의 통용(45)
5. 단어의 형성 47
5.1 단어의 짜임새(47) 47
5.2 파생법에 의한 단어의 형성 47
5.2.1 어근과 접사(47) 5.2.2 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48)
5.2.3 접미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50)
5.3 합성법에 의한 단어의 형성 54
5.3.1 합성법의 유형(54) 5.3.2 합성법의 갈래(55)
5.4 한자에 의한 단어의 형성 57
6. 조사 60
6.1 조사의 뜻과 갈래 60
6.1.1 조사의 뜻(60) 6.1.2 조사와 조사어의 구별(60) 6.13. 조사의 갈래(61)
6.2 격조사 61
목차
6.2.1 성격과 종류(61) 6.2.2 주격/보격 조사(61) 6.2.3 대격조사 "을/를"(62)
6.2.4 호격조사(62) 6.2.5 격조사의 쓰임(63)
6.3. 부조사 64
6.3.1 성격(64) 8.3.2 부조사 "은/는"(64) 8.3.3 부조사 "도"(65)
6.3.3 부조사 ‘이나’(66) 6.3.4 부조사의 통용(67) 6.3.5 부조사의 특성(67)
6.4 그 밖의 것들 67
6.4.1 높임조사‘요’(67) 6.4.2 강세조사‘서’68) 6.4.3 종조사 (68)

제3편 품사 69
7. 체언 70
7.1 체언의 뜻과 기능 70
7.1.1 체언의 뜻(70) 7.1.2 체언의 기능(70)
7.2 체언의 복수형 72
7.2.1 복수형 접미사의 결합(72) /7.2.2 복수형 접미사의 옮김(72)
7.3 체언과 조사 및 후치사 73
7.3.1 체언과 조사/후치사의 관계(73) 7.3.2 조사/후치사 갈래와 형태(74)
7.3.3 조사/후치사와의 결합 형태(77) 7.3.4 격조사와 후치사의 구별(78)
8. 명사 80
8.1 명사의 대상과 성격 80
8.1.1 명사의 뜻과 대상( 80) 8.1.2 명사의 성격(80)
8.2 명사의 갈래 81
8.2.1 고유명사와 보통명사(81) 8.2.2 추상명사와 물질명사(82)
8.2.3 형식명사와 실질명사(83)
8.3 형식명사의 갈래와 쓰임 84
8.3.1 형식명사의 갈래(84) 8.3.2 형식명사의 쓰임(86)
9. 대명사 88
9.1 대명사의 성격과 갈래 88
9.1.1 대명사의 성격(88) 9.1.2 대명사의 갈래(88)
9.2 인칭대명사 89
9.3 지시대명사 92
9.4 수량대명사 93
10. 용언 95
10.1 용언의 뜻과 기능 95
10.1.1 용언의 뜻(95) 10.1.2 용언의 성격(95) 10.1.2 용언의 기능(96)
10.1.4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97)
10.2 용언의 종류 97
10.2.1 완전용언과 불완전용언(97) 10.2.2 본용언과 보조용언(98)
10.3 용언의 형태 99
10.3.1 기본형(99) 10.3.2 의향활용형101) 10.3.3 전성형(101)
10.4 용언의 활용 103
10.4.1 의향활용(103) 10.4.2 시제활용(103) 10.4.3 연계형용사의 활용(104)
10.4.4 보조용언의 활용(104)
10.5 용언 형태의 바뀜 104
10.5.1 음운규칙에 의한 바뀜(105) 10.5.2 불규칙용언(106)
10.6 용언의 어미 108
10.6.1 선어미와 말어미(108) 10.6.2 높임 및 공손법 어미109) 10.6.3 시제어미(109)
목차
10.6.4 의향어미(104) 10.6.5 전성어미(111) 10.5.6 어미 결합의 제약(112)
11. 보조용언 113
11.1 보조용언의 개념, 기능, 형태 113
11.1.1 보조용언의 뜻(113) 11.1.2 본용언과의 구별(113) 11.1.3 보조용언의 기능(113)
11.1.3 보조용언의 결합형식114) 11.1.5 보조용언, 용언보어, 동사부사어(114)
11.2 보조동사의 쓰임 116
11.2.1 단일보조동사((116) 11.2.2 복합보조동사(118) 11.2.3 상관보조동사(119)
11.3 보조형용사의 쓰임 120
12. 동사 121
12.1 동사의 기능과 형태 121
12.1.1 동사의 기능(121) 12.1.2 동사의 형태(121)
12.2 동사의 종류 122
12.2.1 동사의 분류기준(122) 12.2.2 동작동사와 상태동사(122)
12.2.3 단일동사와 복합동사(123) 12.2.4 자동사와 타동사(125)
12.3 타동사와 목적어 128
12.3.1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128) 12.3.2 장소,처소를 나터내는 동사(127)
12.3.2 중립동사의 쓰임(128)
12.4 불완전동사와 보어 128
12.4.1 불완전자동사의 보어(128) 12.4.3 불완전타동사의 보어(130)
13. 형용사 132
13.1 형용사의 기능, 형태, 종류 132
13.1.1 형용사의 기능(132) 13.1.2 형용사의 형태(133) 13.1.3 형용사의 종류(133)
13.2.성상형용사와 지시형용사 133
13.2.1 성상형용사(133) 13.2.2 지시형용사(134)
13.3 불완전형용사와 보어 135
13.3.1 절대적 보어(135) 13.3.2 상대적 보어(136) 13.3.3 상대적 보어의 갈래(136)
13.4 형용사의 동작태 변화 138
14. 관형사 140
14.1 관형사의 뜻과 갈래 140
14.1.1 관형사의 뜻(140) 14.1.2 관형사의 갈래(141)
14.2 성상관형사 142
14.3 지시관형사 143
14.4 수량관형사 145
15. 부사 147
15.1 부사의 뜻과 갈래 147
15.1.1 부사의 뜻(147) 15.1.2 부사의 갈래(148)
15.2 성분부사 148
15.2.1 성상부사(148) 15.2.2 지시부사(149) 15.2.3 부정부사(150)
15.3 문장부사 153
15.3.1 양태부사(151) 15.3.2 접속부사(152)
15.4.부사의 수식범위와 용법 153
15.4.1 부사의 수식범위(153) 15.4.2 부사의 용법(154)
15.5 의존부사 155
15.5.1 의존부사의 뜻(155) 15.5.2 의존부사의 수식범위와 용법(155)
16. 후치사 158
16.1 후치사의 뜻과 성질 158
16.1.1 후치사의 뜻(158) 16.1.2 후치사와 조사의 구별(159)
목차
16.5.3 후치사의 성질(159)
16.2 후치사의 갈래 160
16.2.1 어원에 의한 갈래(160) 16.2.2 형태에 의한 갈래(160)
16.2.3 자립성에 의한 갈래(161)
16.3 관형구를 이루는 후치사 161
16.2.1 본래후치사 "의"(161) 16.2.2 이중후치사와 복합후치사(162)
16.4 부사구를 이루는 후치사 162
16.3.1 본래후치사와 파생후치사(162) 16.3.2 전성후치사와 복합후치사(166)
16.5 명사구를 이루는 후치사 168
18.4.1 후치사구의 명사적 용법(168) 18.4.2 후치사구의 형태와 용법(169)
17. 접속사 171
17.1 접속사의 뜻 171
17.2 접속사의 갈래 171
17.2.1 형태에 따른 갈래(171) 17.2.2 자립성에 따른 갈래(172
17.2.3 쓰임에 따른 갈래(172) 17.2.3 기능에 따른 갈래(172)
17.3 체언 등을 잇는 접속사 173
17.3.1 자립접속사(173) 17.3.2 의존접속사(173) 17.3.3 상관접속사(174)
17.4 용언 등을 잇는 접속사 174
17.4.1 보조접속사(174) 17.4.2 등위접속사(175) 17.4.3 종속접속사(176)
18. 감탄사 186

제4편 문장의 성분 187
19. 문장 성분의 성립 188
19.1 문장의 골격과 기본문형 188
19.1.1 문장의 골격과 주성분(188) 19.1.2 문장의 기본 형식(189)
19.2 문장성분의 갈래 189
19.2.1 주성분(190) 19.2.2 부속성분(190) 19.2.3 독립성분(190)
19.2.4 연결성분(191)
19.3 문장성분의 재료 191
19.4 주어부와 서술부 192
20. 주성분 194
20.1 주어 194
20.1.1 주어의 성립(194) 20.1.2 주어와 조사 및 후치사와의 관계(195)
19.1.3 주어와 다른 성분의 관계(196)
20.2 술어 197
20.2.1 술어의 성립(197) 20.2.2 술어의 갈래(199)
20.2.3 서술어의 쓰임의 제한(201
20.3 목적어 202
20.3.1 목적어의 성립(201) 20.3.2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203)
20.3.3 목적어와 조사 및 후치사와의 관계(204) 20.3.4 목적어의 겹침(205)
20.4 보어 205
20.4.1 보어의 성립과 갈래(205) 20.4.2 체언보어(207) 20.4.3 용언보어(208)
20.4.4 보어의 겹침(209)
21. 부속성분 210
21.1 수식성분 210
21.2 관형어 210
목차
21.2.1 관형어의 성립(210) 21.2.2 관형사형의 기능(212) 21.2.3 관형어의 특징(213)
21.2.4 관형어의 겹침(214) 21.2.5 관형어 형성 후치사 ‘의"(215)
21.3 부사어 216
21.3.1 부사어의 성립(216) 21.3.2 부사어의 갈래(217) 21.3.3 부사어의 특징(219)
21.4 관용수식어 220
21.4.1 유사후치사구(220) 21.4.2 관용관형어(220) 21.4.3 관용부사어(221)
22. 독립성분 223

제5편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225
23. 사동과 피동 226
23.1 사동과 피동 226
23.2 사동과 주동 229
23.2.1 사동사와 주동사(226) 23.2.1 사동문되기(226) 23.2.3 사동문의 의미(229)
23.3 피동과 능동
23.3.1 피동사와 능동사(229) 23.3.2 피동문되기(230) 23.3.3 피동문의 특징(232)
24. 의향 표현 234
24.1 의향표현과 문장의 갈래 234
24.2 의향표현의 방식 234
24.2.1 기본형에 의한 의향법(234) 24.2.2 활용형에 의한 의향법(235)
24.2.3 단독의향법(234)
24.3 평서문 238
24.3.1 평서문의 갈래(238) 24.3.2 일반평서문(238) 24..3.3 확인평서문(239)
24.3.4 약속평서문(240)
24.4 감탄문 240
24.4.1 감탄문의 갈래(240) 24.4.2 ‘-구나’ 계열의 감탄문(241)
25.4.3 ‘-라’ 계열의 감탄문(241)
24.5 의문문 242
24..5.1 의문문의 형태(242) 24.5.2 의문문의 갈래(243)
24.6 명령문 246
24.6.1 명령문의 갈래(245)/ 24.6.2 개별명령문245) 24.6.3 일반명령문(245)
24.6.4 청유문(246)
25. 높힘 표현 249
25.1 높임법 249
25.2 주체 높임법 249
25.2.1 직접 높임(249) 25.2.2 간접 높임(250)
25.2.3 주체 높임법과 듣는 이의 관계(251)
25.3 상대 높임법 251
25.3.1 상대방의 높임(251) 25.3.2 공손법(253)
25.4 특수어휘에 의한 높임법 254
26. 시간 표현 256
26.1 시제의 갈래와 형태 256
26.1.1 시제의 갈래(256) 26.1.2 시제의 형태(257)
26.2 현재시제 259
26.1.1 기본현재시제(256) 26.2.2 동사의 평서형 현재시제(259)
26.2.3 현재시제의 특징(260) 26.2.4 관형형의 현재시제(261)
26.3 과거시제 261
목차
26.3.1 기본과거시제(261) 26.3.2 ‘-었었-에 의한 과거시제(263)
28.3.3 ‘더’에 의한 과거시제(263) 26.3.4 관형형의 과거시제(264)
26.4 미래시제 266
26.4.1 기본미래시제(266) 26.4.2‘-ㄹ 것’에 의한 미래시제(267)
26.43 관형형의 미래시제(268)
26.5 동작상 268
26.5.1 뜻(268) 26.5.2 완료상(268) 26.5.3 진행상(270) 26.5.4 예정상(271)
27. 부정 표현 272
27.1 부정표현의 형식 272
27.2 부정표현의 일반형식 272
27.2.1 안-부정문의 형태(272) 27.2.2 안-부정문의 해석(274)
27.3 부정표현의 특수형식 276
27.3.1 못-부정문(276) 27.3.2 말아-부정문(277) 27.3.3 어휘 부정법(278)
28. 양태 표현 277
28.1 양태표현과 서법 277
28.2 서법어미에 의한 양태표현 280
28.2.1 직설법(280) 28.2.2 회상/보고법 28.2.3 추측법/의도법(283)
28.2.4 확인법(284)
28.3 접속사에 의한 양태 표현 285
28.3.1 가정법과 양보법(285) 28.3.2 주절의 생략(286)

제6편 문장의 짜임새 287
29. 문장의 구조 288
29.1 문장의 분류 288
29.2 홑문장과 겹문장 288
29.2.1 홑문장(288) 29.2.2 겹문장(289)
29.3 중문과 복문 289
29.3.1 중문(289) 29.3.2 복문(290)
29.4 이어진 문장과 안긴문장 291
29.4.1 이어진 문장(291) 29.4.2 안긴문장(292)
30. 중문 294
30.1 중문과 대등절 294
30.2 중문의 쓰임 294
30.2.1 중문의 일반적 용법(294) 30.2.2 중문의 특수적 용법(295)
30.3 문장의 이어짐과 단어의 이어짐 296
31. 복문 I: 명사절과 관형절 299
31.1 기능과 형태 299
31.2 명사절 299
31.2.1 명사절의 성립(299) 31.2.2 명사절의 쓰임(302)
31.3 인용절 303
31.3.1 인용절의 성립(302) 31.3.2 직접인용과 간접인용(303)
31.4 관형절 305
31.4.1 관형절의 형태(305) 31.4.2 관계관형절(306) 31.4.3 특수관형절(310)
31.5 안긴문장의 성분생략 312
32. 복문 II: 부사절 313
32.1 기능과 형태 313
목차
32.2 부사절의 성립과 이어짐 313
32.2.1 부사절의 성립(313) 32.2.2 이어짐의 형태(314) 32.2.3 이어짐의 제약(316)
32.3 부사절의 의미와 쓰임 317
32.3.1 시간표현(317) 32.3.2 원인, 이유의 표현(318) 32.3.3 조건, 양보의 표현(319)
32.3.4 부대상황, 양태의 표현(321) 32.3.5 역접표현(321) 32.3.6 목적표현(321)
32.3.7 정도,비교의 표현(323)
33. 문장과 이야기 325
33.1 문장과 이야기 325
33.2 주성분의 생략 326
33.2.1 주어의 생략(325) 33.2.2 목적어의 생략(327)
33.3 의존부사의 의미 327
33.4 보조동사의 의미 329
33.5 지시어의 기능 330
33.6 물음과 대답 331

제7편 말소리, 의미 333
34. 말소리 334
34.1 말소리의 분석 334
34.2 음운과 음절 335
34.2.1 모음과 자음(335) 34.2.2 소리의 길이(338) 34.2.3 음절(339)
34.3 음운의 변동 340
34.3.1 음절의 끝소리현상(340) 34.3.2 비음화(341) 34.3.3 구개음화(341)
34.3.4 모음동화(341) 34.3.5 모음조화(342) 34.3.6 축약과 탈락(342)
34.3.7 된소리되기(342)
34.4 사잇소리 현상 342
34.5 어감의 분화 343
35. 의미 344
35.1 언어의 의미 344
35.2 소리와 의미의 관계 344
35.2.1 자의성(345) 35.2.2 상징어(345) 35.2.3 단의어와 다의어(345)
35.3 의미의 종류 346
35.3.1 중심적 의미(346) 35.3.3 주변적 의미(346)
35.4 단어들의 의미관계 348
35.4.1 동의관계(348) 35.4.2 이의관계(348) 35.4.3 유의관계(349)
35.4.4 반의관계(350) 35.4.5 하의관계(350)
35.5 의미의 사용과 변화 351
35.5.1 중의적 표현(351) 35.5.2 간접적 표현(352) 35.5.3 관용적 표현(353)
35.5.4 잉여적 표현(354) 35.5.2 의미사용의 변화(354)

부록 356
1. 문법 도표 356
2. 2진법어순 원리 35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