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세훈 교육학논술 300제(2017)

고세훈 교육학논술 300제(2017) 교원임용고사 대비

  • 고세훈
  • |
  • 위드북
  • |
  • 2016-03-14 출간
  • |
  • 432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9118621046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Chapter 01 교육의 개념적 기초
001.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002. 교육의 내·외적 목적
003. 교육의 개념적 준거 (1) : 조작적 정의
004. 교육의 개념적 준거 (2) : 규범적 정의
005. 페다고지(Pedagogy)·에듀케이션(Education)
006. 교육(敎育)
007. 고전주의 교육관
008. 낭만주의 교육관

Chapter 02 교육의 사상사적 기초 : 동양
009. 원효의 교육사상
010. 지눌의 교육사상
011. 위기지학(爲己之學)·위인지학(爲人之學)
012. 이학기반의 교육 (1) - 이황(李滉)
013. 이학기반의 교육 (2) - 이이(李珥)
014. 실학주의 교육
015. 근대 교육의 준거
016. 일제 강점기 교육의 특징

Chapter 03 교육의 사상사적 기초:서양
017. 파이데이아(phaideia)
018. 산파술·문답법
019. 회상설(상기설)
020. 수사학적 도야
021. 동굴의 비유
022. 자유교육 : 7자유교과
023. 덕성교육(자유교육)
024. 인문/인본주의(Humanism) 교육
025. 실학주의(Realism) 교육
026. 계몽주의(enlightenment) 교육
027. 자연주의(naturalism) 교육
028. 합리주의 교육
029. 신인문주의(Neo-humanism) 교육
030. 계발주의(developmentalism) 교육
031. 교육적 교수/수업(erziehender Unterricht)
032. 국가주의(Nationalism) 교육

Chapter 04 교육의 철학적 기초
033. 이상주의(Idealism) 교육
034. 실재주의(Realism) 교육
035. 실용주의 교육(Pragmatism)
036. 진보주의(Progressivism)
037. 본질주의(Essentialism) 교육
038. 항존주의(Perennialism) 교육
039.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교육
040. 분석철학적 교육(Analytics and education)
041. 지식의 형식
042. 사회적 실제 입문으로서의 교육(education as initiation into social practices)
043. 자유교육(liberal education)
044. 실존주의(Existentialism)교육
045. 만남의 교육학
046. 비판적 교육철학 (Critical theory)
047.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Post-Modernism)
048. 홀리스틱 교육(Holistic Education)

Chapter 05 교육과정
049. 교육과정의 개념적 분류
050. 교과중심 교육과정
051. 경험중심 교육과정
052.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
053. 학문중심 교육과정
054. 인간중심 교육과정
055. 영(Null)교육과정
056. 잠재적 교육과정(latent/hidden curriculum)
057. 통합 교육과정
058. 교육과정의 이론 : 전통주의
059. 교육과정의 이론 : 개념-경험주의
060. 교육과정의 이론 : 재개념주의
061. 쿠레레(currere)
062. 교육과정 사회학
063. 교사 배제형 교육과정
064. 교육과정의 분권화(자율화)
065. 목표 모형
066. 귀납적 개발모형(단원개발 모형)
067. 역행설계(backward) 모형
068. 순환적 모형
069. 자연주의적 모형
070. 학교교육과정 개발모형(역동적 상호작용 모형)
071.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072. 질적탐구 방법(예술적 평가 방법)
073. 명세적 수업목표
074.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1) : 수직적 조직
075.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2) : 수평적 조직
076. 수준별 교육과정(수업)
077. 교육과정의 차별화
078. 교육과정의 압축
079. 자유학기제
080. 교과교실제
081. 블록타임제(bloc time)
082. 집중이수제

Chapter 06 교육평가
083. 선발적·발달적·인본주의적 교육관
084. 목표중심 모형(objective-oriented model)
085. 판단중심 모형(judgement-oriented model)
086. 의사결정 모형(decision facilitation model)
087. 진단평가(diagnostic evaluation)
088.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089. 총합평가(summative evaluation)
090.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
091. 준거지향평가(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092. 능력참조평가(ability-referenced evaluation)
093. 성장참조평가(growth-referenced evaluation)
094. 양적평가(quantitative evaluation)
095. 질적평가(qualitative evaluation)
096.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
097. 포트폴리오(portfolio)
098. 타당도(validity)
099.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100. 결과타당도(consequential validity)
101. 신뢰도(reliability)·객관도(objectivity)
102. 문항난이도
103. 문항변별도
104. 성취평가제
105. 표준화 검사

Chapter 07 교육심리학
106.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107. 인지발달이론
108. 형식적 조작기
109. 상상적 청중·개인적 우화
110.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ZPD)
111. 비계설정(scaffolding)
112. 심리적 유예기(psychological moratorium)
113. 정체성 지위(identity status)
114. 생태학적 체계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
115. 사회적 조망수용이론(social perspective taking theory)
116. 심리측정론적 지능이론(psychometric approach)
117. 지능의 위계모형 : 결정적 지능(fluid intelligence)·유동적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
118. 다중지능이론(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119. 성공지능이론-삼원지능이론
120. 인지(학습)양식 : 장독립형 vs 장의존형(field independence, field dependence)
121. 인지(학습)양식 : 충동형·반성형
122. 인지적 행동수정(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 자기교수법(self-instruction)
123.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
124. 문화감응교수법
125. 행동주의 학습(Behaviorist views of learning)
126.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127. 조작적 조건화(Operational conditioning)
128. 시행착오설(trial-error theory)
129.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130.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131. 벌(punishment)
132. 행동조성(shaping) 혹은 조형
133. 강화 중단
134.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
135. 인지주의 학습(cognitive learning theory)
136. 통찰학습(insight learning)
137. 정보처리이론(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138. 정보처리단계(기억단계)
139. 인지과정(인지전략)
140. 주의(attention)
141. 시연(rehearsal)
142. 부호화(encoding)
143. 인출
144. 망각(forgetting)
145. 망각곡선(forgetting curve)
146. 상위인지·초인지(meta-cognition)
147. 전이이론(1)
148. 전이이론(2)
149. 전이의 유형
150.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1. 시험불안(test anxiety)
152. 포부수준(level of aspiration)
153. 욕구위계이론
154. 인지부조화 이론(cognitive dissonance)
155.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156.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157. 자기효능감(self-efficacy)
158. 자기결정성이론
159. 자기가치이론(self-worth theory)
160. 목표지향성(성취목표)이론
161. 성취동기(achievement motivation) 이론
162. 기대가치이론
163.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Chapter 08 교육방법
164. 수업과정(절차)모형
165. 탐구·발견학습
166. 유의미 학습(오수벨, Ausubel)
167. 선행조직자
168. 학교학습 모형
169. 완전 학습 모형
170. 목표별 수업이론 : 학습결과의 다섯 가지 유형
171. 학습의 내적 조건·외적조건
172. 교수 사태(event of instruction)
173. 인지정교화 이론(elaboration theory of instruction : ETI)
174. 학습동기화 설계모형 : ARCS 모형
175.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법
176. 적성-처치 상호작용(ATI)이론
177. 체제적 수업설계(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178. ADDIE : 수업체제 개발의 기본모형
179. Dick & Carey의 교수체제설계 모형
180. 학습과제 분석(learning task analysis)
181. 학습과제 분석의 주요기법
182. ASSURE 모형
183. 강의법(lecture method)
184. 발문법(question and answer method)
185. 토의법
186. 버즈(Buzz)학습
187. 협동학습
188. 성취과제분담학습(STAD)
189. Jigsaw 모형
190.팀 보조 개별학습(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 TAI) 모형
191. 개별화 수업(individualized instruction)
192. 개별계약학습
193. 무학년제
194. 팀티칭(team teaching)
195. 구성주의(Constructivism)
196. 구성주의 교수(학습)설계의 특징
197. 인지적 융통성 이론(cognitive flexibility theory)
198.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
199. 인지적 도제
200.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
201. 기능적 고착(functional fixedness) 혹은 부화효과(incubation effect)
202. 정황학습(anchored learning)
203. 목표기반 시나리오(Goal-based scenario : GBS)
204. 자원기반학습(resource-based learning : RBL)
205. 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206.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 SDL)
207. 프로젝트법 (project method)
208. 학습환경설계 모형
209. 수업매체(instructional media)
210. 수업매체 연구의 유형
211. 인터넷 활용수업(특징 및 장점)
212. ICT 활용교육
213. ICT 리터러시(literacy)
214. 컴퓨터 보조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CAI)
215. 블렌디드 학습(blended learning)
216.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Chapter 09 생활지도 및 상담지도(이론)
217. 생활지도
218. 지시적 상담(direct counseling)
219. 합리적, 정서적 상담(rational-emotive counseling)
220. 인지상담(cognitive counseling)
221. 인간 중심 상담(client-center counseling)
222. 교류분석 상담(transactional analysis : TA)
223.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224. 현실요법(realistic therapy)
225. 개인심리 상담(individual counseling)
226.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227. 학교 또래상담
228. 종합적 학교상담모형(comprehensive guidance model)

Chapter 10 교육사회
229. 기능론적 교육관
230. 보편사회화·특수사회화
231. 학교사회화론
232. 학교규범론
233. 기술기능이론
234. 국민통합론
235. 발전교육론
236. 인간자본론
237. 선발가설이론(screening hypothesis)
238. 사회이동과 교육 : 기능론적 관점
239. 갈등론적 교육관
240. 경제적 재생산이론
241. 문화적 재생산이론
242. 문화적 헤게모니이론
243. 저항이론(resistance theory)
244. 지위경쟁이론
245. 사회이동과 교육 : 갈등론적 관점
246. 미시적 접근(교육사회의 해석학적 접근)
247. 상징적 상호작용론
248. 언어전수이론 : 제한된 어법과 정교화 어법
249. 분류화(classification)·구조화(frame)
250. 방어적 수업(classroom control by defensive teaching)
251. 낙인이론
252. 아노미(anomie)이론
253. 사회통제이론
254. 차별접촉(연합)이론
255. 문화·환경론적 결핍론
256. 교육의 평등
257. 평생교육
258. 탈학교론(탈학교운동)
259. 학습조직망(Learning webs/Networked learning)
260. 학습사회
261. 안드라고지(Andragogy)
262.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 HRD)
263. 신자유주의 교육

Chapter 11 교육행정
264. 조건정비설(기능설)
265. 교육지도성설
266. 학교조직의 유형
267. 공식적(formal)·비공식적 조직(informal organization)
268. 관료제적 조직
269. 관료적·전문적 성격의 이중구조
270. 이완조직(loosely coupled organization) : 이완결합체제
271. 조직화된 무질서(organised anarchy)조직
272.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
273. 인간관계론
274. 욕구위계 이론
275. X·Y이론
276. 동기-위생이론
277. 직무풍요화(job enrichment)
278. 경력단계 프로그램
279. 생존·관계·성장(ERG : Existence-Relatedness- Growth Theory)이론
280.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281. 공정성이론(equity theory)
282.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
283. 상황적응적 접근
284. 변혁적 지도성
285. 초우량 리더십(Super leadership)
286. 문화적 지도성
287. 도덕적 리더십(Moral leadership)
288. 의사결정모형 : 합리적 모형
289. 의사결정모형 : 쓰레기통 모형
290. 의사소통이론 : Johari의 창(window)
291. 지구별 장학
292. 교내 자율장학
293. 임상장학
294. 협동적 동료장학
295. 자기장학
296. 인간자원장학
297. 선택적 장학
298. 약식장학
299. 요청장학
300. 컨설팅 장학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