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맹자집주 비지 5

맹자집주 비지 5

  • 김경국
  • |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9-12-31 출간
  • |
  • 360페이지
  • |
  • 153 X 225 X 20mm / 549g
  • |
  • ISBN 9788968497063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2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2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속으로 이어서]
맹자께서 그를 절복折服시켜 가라사대 “그대는 어찌 기류杞柳로 배권??을 만들 수 있다고 하여 인성人性의 인의仁義와 비교하는가?
대개 기류杞柳는 나무요 배권??은 그릇이니, 이제 그대는 기류杞柳의 본성을 따라 배권??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장차 기류杞柳의 본성을 해친 후에 배권??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만약 기류杞柳의 본성을 해쳐 배권??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또한 장차 사람의 본성을 해친 후에 인의仁義를 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이는 배권??이란 본래 기류杞柳에 없는 바이니 반드시 장차 기류의 본성을 해친 후에 만들 수 있고, 인의仁義란 곧 인성人性의 자연이니 사람의 본성을 해치지 않고도 인의仁義가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이니, 대개 두 가지는 형연逈然히 같지 않다.
그런데도 그대는 이것들을 비교하여 동일시하려고 하니, 나는 이 말이 한번 창도倡導되면 사람들이 모두 인의仁義가 본성에 본래 없는 것이라고 여겨 아마도 장차 인의仁義를 버려두고 행하지 않을까 염려가 된다. 그러므로 천하 사람들을 이끌고 인의仁義를 해치는 자가 반드시 그대의 말일 것이다.
그대가 사람의 본성을 논하는데 스스로 그 본성에 어두운 것은 그렇다고 해도, 이에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 인의仁義를 행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니, 말을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주해
● 절(折) : ‘절복折服’. 설복說服당하다. 굴복시키다.
《전국책戰國策》에 “晩救之, 韓且折而入於魏, 不如早救之.”라고 했다.
● 예(例) : 비유하다. ‘비比’와 같다.
《설문說文》에 “例, 比也.”라고 했다.
원元나라 유훈劉壎의 《은거통의隱居通議ㆍ구양공歐陽公》에 “?此以例其餘.”라고 했다. 壎(질나발 훈)
● 형연(逈然) : 아득히 먼 모양. 逈(멀 형)

[11ㆍ2]
告子曰 性은 猶湍水也라 決諸東方則東流하고 決諸西方則西流하나니 人性之無分於善不善也ㅣ猶水之無分於東西也니라
고자告子가 가로되 “본성은 여울물과 같으니, 동쪽으로 터주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터주면 서쪽으로 흐릅니다. 사람의 본성에 선善과 불선不善의 구분이 없는 것은 물이 동쪽과 서쪽으로 구분 없이 흘러가는 것과 같습니다.”

湍은 波流?回之貌也라
告子ㅣ因前說而小變之하니 近於揚子善惡混之說하니라

‘단湍’은 물결이 소용돌이치는 모양이다.
고자告子가 앞의 말로 인하여 조금 변했으니, 양자揚子의 ‘성선악혼性善惡混’설과 가깝다.

주해
● 湍(여울 단) 決(터질 결) ?(물돌아 흐를 형)
● 선악혼(善惡混) : 서한西漢의 양웅揚雄이 주장한 ‘성선악혼性善惡混’설을 말한다.
《법언法言ㆍ수신修身》에 “人之性也善惡混. 修其善則爲善人, 修其惡則爲惡人.”이라 했고, 《법언法言ㆍ학행學行》에 “學者, 所以修性也. 視聽言貌思, 性所有也. 學則正, 否則邪.”라 했다.
경원보씨慶源輔氏가 말했다. “告子本以氣爲性, 此說亦然. 故曰因前說. 但前說以性爲惡, 必矯?而後可爲善, 而此說則以性爲本無善惡, 但可以爲善可以爲惡耳. 此其爲小變也.”(大全註疏)

【備旨】
告子ㅣ以杞柳言性하여 見屈於孟子하고 乃小變其說曰 今而後에 吾知性矣니 人之性有所習하여 本無定?는 猶之湍水未有所分하여 本無定向也라 我觀湍水컨대 決而引諸東方이면 則東流而非一於東也요 決而引諸西方이면 則西流而非一於西也라 然則人性之無分於善與不善也는 顧人所習何如耳니 猶之湍水之無分於東與西也는 顧人所決何如耳라
告子之變爲此說은 盖混善惡而一之하여 而以性爲無善無不善也라

고자告子가 기류杞柳로 인간이 본성을 말하였다가 맹자에게 굴복을 당하였다. 이에 조금 그 말을 바꾸어 가로되 “이제 제가 본성을 알게 되었으니 사람의 본성에 습염習染된 바가 있어 본래 정체定體가 없는 것이 여울물에 나뉜 바가 없어 본래 정향定向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제가 여울물을 살피건대 물길을 터서 동쪽으로 이끌면 동쪽으로 흐르되 한결같이 동쪽으로만 흘러가는 것이 아니요, 물길을 터서 서쪽으로 이끌면 서쪽으로 흐르되 한결같이 서쪽으로만 흘러가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본성에 선善과 불선不善의 구분이 없는 것은 사람이 습염習染된 바가 어떠한가를 살필 뿐이니, 여울물에 동쪽과 서쪽으로 흘러가는 구분이 없는 것과 같아서 사람이 물길을 어떻게 터주는가를 살필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고자告子가 이 말을 바꿔 말한 것은 대개 선악善惡을 뒤섞어 하나로 삼아 사람의 본성에 선善도 없고 불선不善도 없다고 여긴 것이다.

주해
● 변설(變說) : 말을 바꾸다. 變(바꿀 변)
《설문說文》에 “變, 更也.”라고 했고, 《소이아小爾雅》에 “變, 易也.”라고 했다.

孟子曰 水ㅣ信無分於東西어니와 無分於上下乎아 人性之善也ㅣ猶水之就下也니 人無有不善하며 水無有不下니라
맹자 가라사대 “물은 진실로 동서東西의 구분이 없지만 상하上下도 구분이 없는 것인가? 사람이 본성이 선善한 것은 물이 아래로 흘러가는 것과 같으니, 사람의 본성에는 불선不善이 있지 않으며, 물은 아래로 흘러가지 않음이 없다.”

言水誠不分東西矣어니와 然이나 豈不分上下乎아
性卽天理니 未有不善者也니라

“물은 진실로 동서東西의 구분이 없지만 그러나 어찌 상하上下의 구분이 없겠는가?”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성性’은 곧 ‘천리天理’이니 불선不善한 것이 있지 않다.

주해
● 주자朱子가 말했다. “觀水之流而必下, 則水之性可知. 觀性之發而必善, 則性之?善, 亦可知矣.”(大全註疏) ?(감출 온)

목차

孟子集註 / 19
告子章句上 / 17
[11ㆍ1] 告子曰 性은 猶杞柳也요 義는 猶??也니 / 18
[11ㆍ2] 告子曰 性은 猶湍水也라 決諸東方則東流하고 / 24
[11ㆍ3] 告子曰 生之謂性이니라 / 30
[11ㆍ4] 告子曰 食色이 性也니 仁은 內也라 非外也요 / 37
[11ㆍ5] 孟季子問公都子曰 何以謂義內也오 / 49
[11ㆍ6] 公都子曰 告子曰性은 無善無不善也라하고 / 60
[11ㆍ7] 孟子曰 富歲엔 子弟ㅣ多賴하고 / 83
[11ㆍ8] 孟子曰 牛山之木이 嘗美矣러니 / 94
[11ㆍ9] 孟子 曰無或乎王之不智也로다 / 106
[11ㆍ10] 孟子曰 魚도 我所欲也며 / 113
[11ㆍ11] 孟子 曰仁은 人心也요 義는 人路也니라 / 130
[11ㆍ12] 孟子曰 今有無名之指ㅣ屈而不信이 / 138
[11ㆍ13] 孟子曰 拱把之桐梓를 人苟欲生之인댄 / 140
[11ㆍ14] 孟子曰 人之於身也에 兼所愛니 / 142
[11ㆍ15] 公都子問曰 鈞是人也로되 或爲大人하며 / 151
[11ㆍ16] 孟子曰 有天爵者하며 有人爵者하니 / 158
[11ㆍ17] 孟子曰 欲貴者는 人之同心也니 人人이 / 163
[11ㆍ18] 孟子曰 仁之勝不仁也ㅣ猶水勝火하니 / 169
[11ㆍ19] 孟子曰 五穀者는 種之美者也나 苟爲不熟이면 / 172
[11ㆍ20] 孟子曰 ?之敎人射에 必志於?하나니 / 175

告子章句下 / 179
[12ㆍ1] 任人이 有問屋廬子曰 禮與食이 孰重고 / 180
[12ㆍ2] 曹交ㅣ問曰 人皆可以爲堯舜이라하나니 有諸잇가 / 195
[12ㆍ3] 公孫丑問曰 高子曰小弁은 小人之詩也라하더이다 / 208
[12ㆍ4] 宋?이 將之楚러니 孟子ㅣ遇於石丘하시다 / 219
[12ㆍ5] 孟子ㅣ居鄒하실새 季任이 爲任處守러니 / 231
[12ㆍ6] 淳于?이 曰先名實者는 爲人也요 / 241
[12ㆍ7] 孟子曰 五?者는 三王之罪人也요 / 260
[12ㆍ8] 魯ㅣ欲使愼子로 爲將軍이러니 / 281
[12ㆍ9] 孟子曰 今之事君者曰 我ㅣ能爲君하야 / 296
[12ㆍ10] 白圭曰 吾欲二十而取一하노니 何如하니잇고 / 302
[12ㆍ11] 白圭曰 丹之治水也ㅣ愈於禹호이다 / 313
[12ㆍ12] 孟子曰 君子不亮이면 惡乎執이리오 / 319
[12ㆍ13] 魯欲使樂正子로 爲政이러니 / 321
[12ㆍ14] 陳子曰 古之君子ㅣ何如則仕니잇고 / 332
[12ㆍ15] 孟子曰 舜發於?畝之中하시고 傅說은 / 340
[12ㆍ16] 孟子曰 敎ㅣ亦多術矣니 予ㅣ不屑之敎誨也者는 / 352

索引 / 35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