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남아의 이슬람

동남아의 이슬람

  • 양승윤
  • |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 |
  • 2007-12-11 출간
  • |
  • 402페이지
  • |
  • 153 X 224mm
  • |
  • ISBN 978897464461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4,5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5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5억의 인구를 포용하고 있는 동남아는 일찍이 인도문화와 중국문화에 이어 이슬람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말라카해협과 자바해는 동서무역의 중계지였으며 해상 실크로드의 경유지였다. 그 후 값진 향료와 양질의 열대원예 작물에 매료된 유럽열강과 서양문화가 내도하였다. 인도문화, 중국문화, 이슬람문화, 서양문화가 서로 공존하고 각축하는 동남아 지역에서의 각국이 어떻게 이슬람을 받아들이고 발전시켰으며, 이슬람 문화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동남아인들의 삶의 일부분이 되었는지를 중심으로 각 국별 이슬람문화의 차이와 정책, 전망 등을 고찰한다. 특히 많은 미래학자들이 21세기는 이슬람의 세기가 될 것을 예상하고 있는 이 때 동남아의 이슬람 문화는 미래의 문화를 경험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문화의 세기가 도래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0여 년 간 지속되었던 냉전체제는 놀랍게도 베를린 장벽에 이어 동구(東歐) 사회주의가 무너지면서 순식간에 주저앉아 버렸다. 전 세계를 양분(兩分)하여 지구촌 곳곳에서 대립하던 동서 간의 이데올로기가 이로써 그 첨예한 경쟁시대를 마감한 것이다. 새로운 국제질서가 지체 없이 구체제를 대체하였는데, 크고 작은 지역 단위의 다양한 경제블록이 상징하는 경제경쟁 시대가 등장한 것이다. 정치적 이데올로기와는 매우 다르게 경제경쟁체제가 추구하는 시장경제는 마치 물 흐르는 것처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비싸고 조악(粗惡)한 제품은 값싸고 실용적이며 양질의 제품에 밀리면서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하나의 거대한 세계시장으로 향하고 있는 중이다. 모든 국가들은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할 수 있는 일등 제품을 만들거나 값싸고 실용적인 상품으로 경쟁력을 높이기에 그치지 않고, 천연자원자재를 관리하고 시장성을 조절하며 노동력의 고(高)상품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제경쟁체제는 불과 십 수 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숨가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가 국가 간의 경제적 지위를 막론하고 누구나 함께 공감(共感)하는 ‘숨 고르기 운동’이 이른 바 문화 코드이다.
?? 경제경쟁체제와 문화코드가 동아시아에 이슬람과 유교문화의 복고(復古)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示唆)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시대는 동아시아정상회의(EAS)의 제도화를 통하여 구체화되고 있다.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한중일 등 동북아 3국, 그리고 남아시아의 대국 인도가 ASEAN+3+1로 거대한 협력체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외곽에서 감싸고 있는 것이 아태경제협의체(APEC)와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이다. 이들 다양한 국제협력체의 중심에 동남아가 우뚝 서게 되었다. 아세안으로 하나된 동남아는 5억(2006년) 인구를 포용한 넓고 역동적인 시장과 양질의 노동력과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시대의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동남아는 전통적으로 불교문화권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동남아와 함께해야 할 동북아의 유교문화코드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보다 상생적인 상대는 불교가 아니라 이슬람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동남아에서 이슬람은 불교와 가톨릭을 제치고 가장 많은 종교 인구를 포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가 세계 최대의 이슬람국가이며,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는 무슬림 국왕이 국가원수이며, 싱가포르도 이슬람정책에 인색하지 않으며, 미얀마와 태국과 필리핀과 베트남까지 정치적으로 핍박(逼迫) 받는 무슬림 사회가 건재하다. 동남아를 깊이 알기 위해서 이 지역의 이슬람과 무슬림 사회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 지난 2000년에 출판된 『동남아의 이슬람』은 2002년 문화관광부가 선정하는 인문학분야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어 한 차례 재판(2쇄)을 발행하였다. 서명(書名)이 다소 새로웠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 후, 2005년부터 3년에 거쳐 개정판을 위한 보완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동안 총4장을 새로 써서 ‘인도네시아 이슬람’ 보완에 힘썼다. 전체적으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대별하여, 전반부는 “동남아 이슬람과 이슬람문화”로, 후반부는? “동남아 각국의 이슬람 현황”으로 분리하였다. 이 개정판에는 이슬람 분쟁지역과 캄보디아를 보완하기 위하여 장준영 교수(한국외대)를 초청하여 집필 교수가 열 분으로 늘어났다. 이슬람의 이해는 손주영 교수(한국외대), 말레이시아는 류승완 교수(국립말레이시아대),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정치변동은 제대식 교수(영산대), 싱가포르는 김성건 교수(서원대), 필리핀은 유왕종 교수(인천대), 태국은 이병도 교수(한국외대), 베트남은 김종욱 교수(청운대), 미얀마는 박장식 교수(부산외대)가 집필한 것이며, 기타는 양승윤(한국외대)이 맡았다.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iii
책 머리에 vi

제1부 동남아의 이슬람과 이슬람문화

제1장 동남아의 이슬람과 중동의 이슬람

제2장 이슬람은 어떤 종교인가
I. 이슬람의 종교적 성향 9
II. 꾸란과 샤리아 17
III. 이슬람 신앙의 믿음과 의무 28
IV. 순니와 쉬아 39
V. 이슬람 신비주의 46

제3장 동남아 이슬람사회의 형성과 발전
I. 동남아 이슬람 문화권의 형성과정 54
II. 식민통치시대 이전의 동남아 이슬람사회 56
III. 식민통치시기 동남아 이슬람사회의 변화 65
IV. 독립 이후 동남아 이슬람사회의 변화 77

제4장 동남아 소수 무슬림집단의 저항운동
I. 동남아 소수 무슬림의 분포상황 84
II. 비(非)무슬림정부의 이슬람정책 86
III. 무슬림집단의 저항과 분리주의운동 98
IV. 소수 무슬림사회의 정체(停滯)와 발전전망 109

제2부 동남아 각국의 이슬람현황

제5장 브루나이의 이슬람
I. 세계 최고(最古)의 이슬람국가 115
II. 신정(神政)국가에서 세속국가로의 변화 120

제6장 캄보디아의 무슬림 사회
I. 개 요 125
II. 이슬람의 전래와 참족 무슬림 사회의 형성 127
III. 참족 무슬림 사회의 변화와 발전 132
IV. 참족 무슬림들의 수난과 분리주의운동 135
V. 동남아 이슬람 테러조직과 참족 무슬림 사회 138

제7장 이슬람의 인도네시아 전래와 인도네시아화
I. 이슬람의 전래 과정 141
II. 향료무역과 이슬람의 정착 145
III. 이슬람 무역왕국 말라카 150
IV. 인도네시아 이슬람화의 특징 153

제8장 인도네시아 이슬람사회와 정치변동
I.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외형 157
II. 식민통치 시대의 인도네시아 이슬람사회 159
III. 이슬람의 입지와 무슬림 조직의 화합과 갈등 166
IV. 수카르노 시대의 이슬람과 정치 178
V. 수하르토 치하 이슬람사회의 정치변동 183
VI. 와히드 대통령 탄생 배경 193

제9장 인도네시아 이슬람사회의 다양성과 독창성
I. 엔우와 무함마디야 196
II. 원리주의 이슬람과 태형(笞刑) 206
III. 르바란과 단식 212
IV. 무슬림 사회의 다양한 얼굴 216
V. 이슬람 테러조직 221

제10장 말레이시아의 이슬람
I. 개 요 228
II. 이슬람의 전래와 말레이화 과정 234
III. 외세의 내도와 이슬람 개혁운동 238
IV. 말레이시아 이슬람 사회의 발전 242
V. 변화하는 말레이시아 이슬람사회 255

제11장 미얀마의 무슬림 사회
I. 개 요 258
II. 왕조시대의 무슬림 정착과정 260
III. 영국 식민지배와 인도 무슬림의 이주 265
IV. 독립 이후의 무슬림 사회와 로힝자족의 수난 273

제12장 필리핀의 이슬람
I. 개 요 281
II. 이슬람의 필리핀군도 전파 283
III. 필리핀 이슬람 문화의 특징 286
IV. 모로인들의 분포와 분리주의 운동의 배경 289
V. 이슬람 무장세력의 투쟁과 대 필리핀정부 평화협상 294

제13장 싱가포르의 이슬람
I. 이슬람 전래와 개혁주의 운동 309
II. 이슬람과 기존 종교의 갈등과 조화 314
III. 싱가포르 이슬람 현황과 정부의 대무슬림정책 316
IV. 싱가포르 이슬람의 특성 324
V. 말레이문화 속의 싱가포르 이슬람문화 328

제14장 태국의 이슬람
I. 개 요 331
II. 타이무슬림 사회의 형성 배경과 특징 335
III. 타이무슬림의 분리독립투쟁 347
IV. 태국정부의 남태 이슬람 지역에 대한 정책 353
V. 태국정부의 대(對) 타이무슬림 정책의 변화 363

제15장 베트남의 이슬람 세계
I. 개 요 376
II. 이슬람의 전래 과정과 현황 377
III. 베트남 이슬람의 발전과정 381
IV. 이슬람의 정치적 · 사회적 역할 386
V. 베트남의 대(對)이슬람 정책 389

찾아보기 39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