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현대철학사론

한국현대철학사론

  • 이규성
  • |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
  • 2012-11-05 출간
  • |
  • 975페이지
  • |
  • 153 X 224 X 40mm / 1340g
  • |
  • ISBN 9788973009626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7,62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6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금껏 한국철학사라고 하면 흔히 19세기 말까지의 한국철학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새로운 문물에 눈을 뜨던 개화기부터 민족 전체가 숨죽이고 핍박받아야 했던 일제강점기, 세계열강의 힘겨루기에 휘말린 6.25 전쟁과 분단 현실 등을 견뎌내던 20세기 전후의 철학은 좀처럼 언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20세기 한국철학은 이 견디기 힘든 역사적 현실에 맞서 많은 사상가들이 고뇌하면서 분투한 흔적이자 스스로의 생명과 재산을 희생하면서 민족과 인류애에 헌신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낸 결과물이라 할 것이다. 20세기 한국철학의 줄기를 이루는 사상들에는 폭 넓고 뜻 깊은 의미들이 함축되어 있으며 영혼의 진동과 생의 곤경이 담겨 있는 동시에 사유의 정점이 축약되어 있다.
이 책은 최제우, 최시형, 이돈화, 김기전, 나철, 이기, 서일, 신채호, 이회영, 박은식, 전병훈, 박종홍, 함석헌, 신남철, 박치우를 포함한 15명의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지금껏 우리 안에서 망각되어온 한국현대철학사의 맥을 조목조목 짚어낸다. 저자는 당시 국내 안팎의 상황 속에서 불온하거나 급진적이라는 이유로 전승되지 못한 우리의 사상에 주목한다. 당대 철학자들이 몸소 실천하며 이를 통해 증명해낸 사상이야말로 역사의 압박을 극복하고자 한 사유와 실천의 소산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상실된 세계를 자유의 세계로 되찾기 위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우주적 연대성의 지평에서 재정립하고, 민족의 자주성과 개인의 평등한 자유를 역사와 사회에 구현하기 위해 쏟아 부은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힘주어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지금껏 토의의 대상조차 되지 못한 채 한국철학사의 커다란 ‘공백’으로 남아 있던 20세기 사상들을 꼼꼼하게 따라가면서 이를 통해 오늘날의 한국철학이 온전히 정립하기 위한 자각과 창조의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 철학자들과 함께 한국현대철학사를 연구하여 그 사상과 실천의 의미를 음미해보는 일은 도래하는 시대의 철학을 전망하는 가운데 우리 철학이 나아갈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진정한 인간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에도 사상적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이 책은 20세기 한국현대철학사를 정리하는 가운데 저자의 입장에서 철학적 논의가 될 수 있는 주제들을 비평적으로 논했다. 내용은 크게 세 가지 범위로 나뉜다. 먼저 해방 공간 이전으로는 대종교 계열과 동학 계열 및 자주적 양명학 계열과 무정부주의 철학을 논의했다. 해방 이후로는 박종홍과 함석헌, 신남철과 박치우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마지막으로는 1970년대 이후의 사회적 상황의 특징들을 논의하고, 20세기에 한국과 중국 및 일본에 큰 영향을 준 유기체 철학과 현대 과학과의 연관을 해명했으며, 이와 연관하여 21세기 바람직한 한국철학의 방향을 논의했다. 이 방향은 한국현대철학사의 장점을 계승하고, 현대 과학과도 대화할 수 있는 생성철학을 미래적 전망으로 지향한다. 시간적 흐름에 맞추되 한국철학사를 말하는 데 놓쳐서는 안 될 15명의 굵직한 철학자를 중심으로 커다란 맥을 짚어낸다.
1부에서는 한국철학의 토대가 된 사상들과 항일투쟁을 겸한 민족계몽운동을 면밀히 살핀다. 흔히 동학의 시조로만 알고 있으나 동학을 통해 우리 철학의 근간을 마련한 최제우, 그의 사상을 이어받아 삼경사상을 완성시킨 최시형, 민족잡지『개벽』을 창간하며 천도교 사상을 근대적 시각에서 해석하여 체계를 세운 이돈화, 동학사상을 이어받아 혁명적 농민운동을 벌인 김기전, 유·불·도교와 서양철학을 폭넓게 종합하면서도 도교를 중심으로 하는 일관된 철학 체계를 추구한 전병훈, 항일투쟁의 정신적 배경이 된 대종교를 창시한 나철, 실학사상을 계승하여 애국계몽투쟁을 선도한 이기, 청산리전투의 실질적인 지도자이자 혁명가인 서일, 민족사관을 수립, 한국 근대사학의 기초를 확립한 신채호, 대표적인 무정부주의자로서 온 생애와 재산을 송두리째 항일투쟁에 바친 이회영, 당대의 문장가로서 서양과 일본의 침략을 철저히 배격한 이건창, 유림의 폐단을 철저히 비판하며 양명학의 입장에서 유교 개혁을 주장한 박은식이 중심이 된다.
2부에서는 한국현대철학의 몸통을 이루는 주요 철학자들의 사상에 더욱 깊숙이 들어간다. 한국사상의 주체성을 중시하면서 궁극적으로는 현실과 이상의 조화를 찾으려는 관념론적 입장을 취한 박종홍, 종교적 초월성과 내재적 생명성, 서민적 평등성을 지닌 고유의 ‘씨알철학’으로 일제와 독재에 맞선 함석헌, 외래 사조의 기계적 수용 대신 한국의 특수성을 살려 진보적 민주주의를 주장한 신남철, 1세대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유물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했으나 우리 역사에서 철저히 배제된 박치우가 중심이 된다.
3부에서는 앞서 짚어온 우리 현대철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근의 철학 성향을 고찰하고 전통과의 연계성을 분석한다. 나아가 미래의 철학이 의식해야 할 문제의식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정체성을 제안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서문│성실성(誠實性)과 충실성(充實性)

1부 자유와 현실
1장│표현과 개벽: 최제우, 최시형, 이돈화. 김기전

1. 천명(天命)과 무극대도(無極大道)
2. 두 가지 방법과 능동적 신비주의
3. 경험과 표현(表顯)
4. 세계불안과 자기인식
5. 개방성과 연대성
6. 때[時]와 개벽(開闢)
7. 심령의 윤리와 영적 코뮤니즘
8. 표현의 정치학
9. 창조적 진화와 자유
10. 대지(大地)의 철학 선언과 본위론(本位論)
11. 철학적 의의와 체용합일

2장│저항과 위대한 영혼(한얼): 전병훈, 나철, 이기, 서일
1. 공화(共和)와 겸성(兼聖)의 원리
2. 연금술적 위생학(衛生學)
3. 나철(羅喆)과 이기(李沂)의 벽파(劈破)
4. 민권의 보편적 원리[通義]
5. 성리(性理)와 의지[志氣]
6. 하나의 무[一無]와 위대한 영혼(한얼)
7. 본연의 성(性)과 씨알 인성론
8. 고요한 무와 움직이는 유[靜無動有]
9. 아(我)와 대동(大同)

3장│자아와 탈환(奪還): 신채호, 이회영, 이건창, 박은식
1. 자아와 호매불기(豪邁不羈)의 주체성
2. 자유와 탈환(奪還)
3. 강자의 도덕과 자유
4. 혁신 유가와 개혁론
5. 양지(良知)와 우주적 연대성
6. 마음과 평등의 공리(公理)

2부 현실과 창조
4장│현실과 변증법적 사유의 흥기

5장│현실적 변증법과 창조: 박종홍

1. 현실과 창조적 주체성
2. 주객 변증법과 부정의 변증법
3. 이학적(理學的) 생성론과 창조의 논리
4. 생산적 구상력과 이성
5. 존재론과 부정의 논리
6. 과학정신과 전환의 모색
7. 무(無)의 형이상학과 개방성

6장│씨알의 자유와 내면의 정치학: 함석헌
1. 씨알철학과 사상의 혁명
2. 심정과 자유
3. 문체와 심정
4. 통일적 세계상과 자기의식
5. 심정의 진리구조
6. 윤리적 형이상학
7. 시간과 자유
8. 자유와 내면의 정치학
9. 동양사상과 종교?윤리적 대안 논박

7장│비극적 변증법과 생의 전환: 신남철
1. 역사적 상황과 문제의식
2. 역사와 생의 감정
3. 생의 약동과 압열(壓裂)
4. 변증법적 이성과 역사법칙
5. 구체적 전체성과 생의 전환
6. 비극적 변증법과 전망

8장│실천적 변증법과 반자유주의 논리: 박치우
1. 실천적 지성과 이상적 인격
2. 철학과 새로운 휴머니즘
3. 위기의 운명과 단절적 개방성
4. 파악의 성실성과 행동의 내재성
5. 새 자유와 반자유주의 논리
6. 모순의 논리에 대한 논박과 옹호

3부 현실과 전망
9장│현대의 상황과 생의 이상

1. 현실과 소통적 자유
2. 주체성과 탈귀속성
3. 합리화 과정과 주체성
4. 성찰과 표상의 정치학

10장│현대철학의 자연철학적 전망
1. 소통방식과 자연철학
2. 기계론적 그림 모델의 실패
3. 목적론과 자연철학
4. 고체의 논리와 성운(星雲)
5. 수렴(收斂)과 발산(發散)

11장│도래하는 시대의 철학
1. 균열과 평등
2. 관계와 생기(生起)

결론│운명[命]과 이름[名]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