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무보집에서는 김명숙류 산조춤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학구적인 측면에서 춤을 보다 쉽게 읽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했다. 특히 춤을 0.1초 단위로 아카이브화하는 디지털 작업, 호흡의 기호화 작업, 시선의 방향을 라바노테이션 기호로 표기하는 등 기존에는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식의 무보를 선보이고자 했다. 무보는 장단별로 사진, 악보, 호흡, 플로어 패턴(Floor Pattern), 시선, 동작 설명으로 구성하여 춤을 통합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으며, 사진에서 미세하게 보이는 호흡과 플로어 패턴을 기호화하여 춤 리터러시 향상을 꾀했다. 또한 부록에는 그동안 김명숙류 산조춤의 공연 연보와 다양한 공연 사진들을 실어, 김명숙류 산조춤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성했다. 이 무보집이 후세대 무용인들에게 산조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지침서가 되고, 더 나아가 한국 무용계의 새로운 시도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