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플레이의 달인, 위기에 더 강한 리더십.
편견을 극복하고 이뤄낸 값진 명성
임오경은 선수 시절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특히 결혼과 출산으로 7년 만에 국가대표에 복귀한 뒤 2003년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고, 아테네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는 과정은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지도자로서도 오래 활동했다. 1995년 일본 히로시마 여자 핸드볼팀의 플레잉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해, 감독까지 맡으면서 2부 리그였던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키고 리그 8연패를 이끌어냈다. 이후 2008년 서울시청 핸드볼팀 감독을 맡으며 우리나라 구기종목 최초 여성 지도자가 되었다. 스타플레이어로서의 명성도 명성이지만 지도자로서 능력도 단연 돋보였다. 혼자 앞에 나가는 스타플레이어가 아니라 동료를 배려하고 함께 뛰는 팀워크를 만드는데 큰 역량을 발휘해고, 그 결과 팀을 한국핸드볼 리그와 전국체전 우승, 동아시아 대회 우승 등 그랜드슬램 달성이라는 대단한 성과를 이루었다. 이 책에서는 최고의 팀플레이를 이끌어내기 위해 어떻게 했는지, 위기 때마다 빛을 발한 리더십이 무엇이었는지 등 지도자로서 선수 개개인을 배려하면서도 팀을 실력 향상을 위해 임오경이 고민하고 실천한 것들을 전한다. 또한 그는 지도자 생활에만 머물지 않고 대한민국 스포츠합창단을 꾸리고, 국가대표선수협회를 이끄는 등 여성 스포츠 스타이자 지도자로서 오랜 기간 체육계에서 활동하며 체육인들의 역할 증진에 힘써온 과정도 자세히 담았다.
한편, 그가 여자 운동선수로서, 여자 감독으로서 살아온 과정을 보면 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심했던 시절, 그 편견을 깨고자 누구보다 더 열심히 살 수밖에 없었던 그 시절의 많은 "여성"을 떠올리게 한다. 그가 실업팀 대신 대학을 선택하고, 대학원을 진학해 박사 학위까지 딴 것도 ‘운동하는 아이들은 공부를 못할 것이다’는 편견을 깨기 위한 선택이었고, 여자 선수는 선머슴 같을 것이다, 아이가 있는 운동선수는 운동에 집중하기 힘들 것이다. 그리고 여자 지도자는 리더십이 부족할 것이다 같은 수많은 편견을 깨기 위해 싸워왔고, 보란 듯이 이겨낸 기록들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가 외롭게 고군분투한 성과는 그를 더 단단하게 만들었고, 오늘의 임오경을 있게 한 것이라는 사실을 이 책에서 들려주는 그의 삶 속에서 내내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임오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삶을 꿈꾸게 할 용기를 얻게 될 것이다.
임오경은 팀플레이의 달인, 위기에 더 강한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명성에 걸맞게, 정치인으로서 새로운 역할에 도전하고 있다. 그는 스포츠와 정치가 가진 비슷한 속성을 꿰뚫어 그가 가진 열정과 배려의 리더십을 살려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이들을 위한 해결사를 자처한다. 이 책에서는 이런 ‘정치인 임오경’의 삶도 소개한다. 지도자로서 최고의 길을 걸었던 그가 제21대 국회의원이 되어, 정치 신인에서 국가대표급 정치인이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과 정치인 임오경의 진심을 만나게 될 것이다.
반칙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스포츠 정신이 만들어낼
우리 정치 최고의 순간을 기대하다
“우리 정치 최고의 순간을 만들고 싶은 임오경이다” 임오경이 정치에 첫발을 내딛으며 한 말이다. 선수와 지도자 생활에서 동료를 배려하고 함께 뛰는 팀워크를 만드는 데 큰 역량을 발휘했던 그의 재능을 정치권이 보고만 있을 리 없고, 그도 2016년 국정농단, 2018년 평창 올림픽 이후 성폭력 사건 등으로 인해 스포츠계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부정적 시선을 회복하는 데 자신의 역할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임오경은 정치권이 내민 손을 잡았다. 그의 인생에 또 한 번의 예상치 못한 공이 날아왔고, 그는 이번에도 공을 피하지 않았다.
멋진 정치인으로 성공하고자 하는 그의 포부는 책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안 하면 안 했지, 한 번 하면 최고로 멋지게, 그 분야의 가장 높은 자리를 꿈꾸는 그 다운 결심이다. 국가대표에서 국민의 마음을 대신하는 국민대표가 되겠다며 정치인의 삶을 시작했고, 정치인 임오경에게 다가오는 숱한 역경을 극복하면서 국민의 품으로 가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임오경은 반칙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운동선수 출신이다. 한평생 운동선수로, 지도자로 스포츠계에 몸담으면서 정정당당하게 승부하는 삶에 익숙하다. 얼굴도장만 찍고 인사치례 하는 보여주기식 정치는 체질에 안 맞고, 책상머리에 앉아 있기보다는 직접 현장을 뛰어다니는 게 좋고, 밤을 새워가면서라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임오경 스타일’의 정치와 그 과정에서 일군 성과들이 책 속에 담겨 있다. 오랫동안 운동선수로 감독으로 수많은 편견을 극복하고 살아온 그에게는 당연한 귀결이 아닐까. 그가 현장 중심의 정치를 해오면서 쌓인 불공정한 것들이 공정하게 되는 크고 작은 경험들이 임오경을 더 좋은 정치인을 꿈꾸게 만들었다. 이 책에서 그는 공감과 소통을 중심에 두고 성실하게 사는 사람들이 성공하는 정치를 하겠다고, 정치인으로서 자신이 할 수 있는 몫이 있다는 포부를 전한다.
《날아오는 공을 피하지 마라》, 이 책 속에서 만난 임오경은 그의 이름 앞에 붙은 ‘최고’, ‘최초’라는 수많은 타이틀들이 스포츠인에서 정치인으로까지 이어지길 기대하게 만들고, 일 잘하는 국가대표급 국회의원의 등장을 꿈꾸게 한다. 임오경이 만드는 우리 정치 최고의 순간이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