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북한미술의 역사와 전통

북한미술의 역사와 전통

  • 박계리
  • |
  • 솔과학
  • |
  • 2023-12-12 출간
  • |
  • 290페이지
  • |
  • 153 X 225mm
  • |
  • ISBN 9791192404608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7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체코 프라하. 폴란드 크라카우를 거쳐 독일의 수도 베를린. 그리고 구동독 지역이었던 드레스덴에 도착했다. 체제 전환국을 둘러보고자 떠난 출장이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평화적 분단의 역사를 이야기해주던, 프라하에서 만난 교수에게 다시 통일을 원하는 움직임은 없냐고 물었을 때, 그는 웃으며 “우리(체코와 슬로바키아)는 모두 EU에 가입했다.”고 대답했다.
그의 미소 띤 표정이 한동안 가슴에 맺혀 있었다. 그 미소는,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더 큰 블럭으로의 통합이라는 미래를 선택했다는 자신감처럼 보였다.
머리가 조금 아팠다.
마침 들려오는 뉴스는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러시아 푸틴 대통령을 만나고 있다는 것이었다. 무기 거래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분석 뉴스로 전해지고 있었다.
동아시아는 신냉전 구조로 달려갈 듯 긴장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지금 이 순간 폴란드 교수의 미소는 더욱 머리를 아프게 했다.
동아시아 지역의 아직도 아물지 않은 아픈 역사들이 떠올랐다.
더욱이 뉴스로 흘러나오는 세상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헤어 나오기는커녕 빨려 들어가는 듯 보였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스라엘·하마스… 세상은 여전히 불바다다. 이 와중에 한반도의
평화는 어떻게 가능할까? 남북의 통일 없이도 한반도에 평화가 올 수 있다는 시나리오는 그저 이상에 불가한 것은 아닐까?
북한의 문화예술을 왜 연구해야 할까? 이런 유형의 질문을. 미술사학을 공부하면서 해 본 적은 없었던 듯하다. 돌이켜보면 미술사학이라는 학문을 배워나가는 과정은, 감정과 이성의 공존을 익히는 엄격한 학습 과정이었다. 그 배움의 과정에서 에곤 쉴레를 만났고 피카소, 세잔, 타틀린를 만나서 그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의 시대를 읽어내는 작업은 익숙한 일이 되어 갔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북한 미술을 연구하자, 많은 이들이 묻기 시작했다.
북한미술을 왜 연구하나요?
실은, 그 질문이 내겐 낯설었다. 그리곤 그러한 지점에 내가 서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그 과정에서 쓰여진 것들이다.
이여성의 작품 〈격구지도〉를 만났을 때의 감정은 여전히 소중하다. 생각해보니 벌써 25여년 전의 일이었다. 석사를 갓 졸업한 내게 교수님이 이여성의 〈격구지도〉 작품을 보여주며 이 작품에 대한 분석 논문을 써보라고 하셨다. 그 때는 아직 미술계에서도 이여성이 누구인지 몰랐던 시절이었는데, 일제강점기에 그가 무엇을 고민했고, 월북한 그가 왜 논쟁을 했으며, 숙청을 당했는지 일련의 일들을 밝혀내면서도 여전히 그가 언제 어떻게 죽었는 지 알 수 없다는 점이 나를 계속 그의 작품에 빠져있게 했었다. 남한과 북한 모두에게서 잊혀진 그가 눈은 편안하게 감을 수 있었을까, 그가 무덤 속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그를 역사 속에서 건져 내, 논쟁적 세상에 다시 올려놓을 수 있다는 것에 하염없이 가슴이 뛰었던 기억은 지금도 생생하다.
그 과정을 지나. 나는 지금 ‘통일’과 ‘경계’, ‘통합’과 ‘개인’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북한에서 문화예술작품들은 북한 정책을 주민들에게 교양시키는 핵심 수단이다. 따라서 북한미술작품을 통해
북한의 정치 사회의 움직임을 분석해낼 수 있다. 동시에 민족공동체라고 우리가 말은 하고 있지만, 너무나 달라 보이는 한국과 북한 사람들이 여전히 민족공동체라고 말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도 북한미술작품은 대답을 해주곤 했다. 여전히 우리에게 같은 지점은 무엇이고, 그 사이 도저히 같아질 수 없어진 부분은 무엇인지 묻게해준다. 그 질문들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이 책 안에 들어있다.
철없는 서툼과 치기어린 열정이 있었다.
구동독지역이었던 드레스덴은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이 잘 정리되어있는 도시였다. 드레스덴 시장님께 통일 직후, 문화재의 복원과 정비에 많은 예산을 쓰는 것에 대해 주민들의 반대는 없었냐고
물었다. 드레스덴 시장은 답했다.
“이 프로젝트는 100% 후원금으로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후원금을 모두 문화재 복원과 재건에 사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가 물론 있었죠.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행하였고 지금은 모두가 그 때의 정책적 판단이 옳았음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역설적이게도 재건된 문화재는 드레스덴 지역민들의 자부심이 되었고, 혼동스러웠던 주민들의 뿌리를 든든히 잡아주었죠.”
실제로 드레스덴은 문화의 도시로서 매혹적인 공간이 되어 있었고, 다시 가족들과 와서 조용히 머물다 가고 싶은 장소로 가슴에 남았다.
그렇게 개성에 다시 갈 수 있는 날을 나는 꿈꾼다.

목차

서문 ㆍ4

1. 북한적인 회화란 무엇인가? ㆍ15
Ⅰ 조선화의 성립과 변화 ㆍ19
1. 김일성주의미술론 - 조선화의 성립 ㆍ19
2. 김정일주의미술론 - 조선화의 변화 ㆍ38

Ⅱ 우리식 유화 ㆍ53
1. 조선화를 토대로 한 ‘우리식 유화’ ㆍ57
2. 단붓질법과 ‘우리식 유화’ ㆍ69
3. 유화를 유화의 특성에 맞게 발전시킬 것에 대하여 ㆍ73

2. 변월룡과 1950년 전후의 북한 미술계 ㆍ79
Ⅰ 1950년 전후의 북한 미술계와 소련 ㆍ83

Ⅱ 변월룡의 등장과 북한미술계의 변화 ㆍ88
1. 사회주의리얼리즘미술론을 표현형식으로 가르치다 ㆍ88
2. 작품을 통해 본 변월룡 ㆍ96

3 정치권력 이동에 따른 김정숙 이미지의 탄생과 변화 ㆍ111
Ⅰ 김정숙 이미지의 대두와 전개 ㆍ115

Ⅱ 김일성 시대 김정숙 이미지 ㆍ119
1. 항일 영웅 ㆍ119
2. 김일성의 친위전사 ㆍ122
3. 여성해방운동의 지도자 ㆍ125

Ⅲ 김정일 시대 김정숙 이미지 ㆍ129
1. 김정일의 어머니 ㆍ129
2. 군대의 어머니 ㆍ131

4 백두산 ㆍ143
Ⅰ 풍경화 장르의 재인식 : “사람을 등장시키지 않고도 정치성을 표현해낼 수 있다.” ㆍ147
Ⅱ 사의(寫意)적 풍경화 : “자연은 어느 것이나 뜻이 깊게 그려야 한다.” ㆍ154
Ⅲ 풍경화와 서정성 : “자연은 어느 것이나 정서가 차 넘치게 그려야 한다.” ㆍ160
Ⅳ 백두산 표상의 변화 ㆍ165
1. 조종의 산ㆍ민족의 상징에서 김일성 혁명전통의 상징으로 ㆍ165
2. 통일 ㆍ168
3. 백두산 3대 장군과 백두 혈통 ㆍ173

5. 북한의 조선시대회화사 연구를 통해본 전통 인식의 변화 ㆍ181
Ⅰ 전통개조론과 전통계승론 ㆍ185
1. 전통개조론 ㆍ186
2. 전통계승론 ㆍ192

Ⅱ 회화사에 대한 계급적 인식 ㆍ201
1. 김일성의 3ㆍ11교시와 반복고주의 투쟁의 촉발 ㆍ202
2. 조선화분과 연구토론회와 한상진ㆍ조준오의 리능종ㆍ김무삼 비판 ㆍ207
3. 김일성주의 미술사관의 확립 ㆍ212

Ⅲ 문인화 전통의 회생과 활용 ㆍ216
1. 문인화 복권 ㆍ21

6 북한의 기념비조각 ㆍ229
Ⅰ 기념비조각의 특징 ㆍ233
1. 형상의 함축성과 내용의 포괄성 ㆍ235
2. 조형적 형식의 웅장성과 선명성 ㆍ238
3. 위치 선정, 주변 환경과의 조화 ㆍ240

Ⅱ 선군시대의 상징 무산지구전투승리기념탑 ㆍ243

7 보석화 ㆍ249

8. 북한 미술에서 리얼리즘 개념의 변화와 ‘전형론’ ㆍ257
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ㆍ262

Ⅱ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ㆍ268
1. 전형적 인간과 인간의 자주성 ㆍ268

Ⅲ 주체사실주의, 주체미술 ㆍ276
1. 전형적인간과수령에대한충실성 ㆍ276
2. 수령의 영생불멸성 ㆍ28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