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나이인의 언어와 삶을 살피다
나나이인은 만주퉁구스계 민족의 하나이며 하바로프스크 중심의 러시아 아무르 강변에 거주하고 있다. 인구는 12,460명(2002년)이며 이 중에서 약 32%가 자신의 언어를 말할 수 있고 나머지는 러시아어로만 생활을 한다. 역사적으로는 여진족의 후손이며 그중에서도 해서여진에 속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나나이인의 생활과 의례에 관한 구술발화 자료를 전사하여 해설한 것이다.
이 책의 공동저자이자 자료제공인인 고 안토니나 킬레(Antonina Kile) 교수는 나나이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나나인으로서는 보기 드문 지식인 화자이다. 킬레 교수의 구술발화를 통해서 얻은 자료는 나나이인의 출생으로부터 성장, 결혼, 그리고 장례를 아우르는 나나이인의 일생을 묘사한 내용으로, 구술된 것을 전사하고 그것에 행 단위로 어휘 문법 요소를 주석 형식(annotation)으로 밝혔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절멸위기에 처한 나나이어의 생생한 구술 발화 자료를 얻음과 동시에 아직 제대로 밝혀져 있지 않은 나나이인의 삶의 편린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The Nanai language, one of the Manchu-Tungusic languages of the so-called Altaic language family, is seriously endangered with only a few fluent native speakers, as well as with no intergenerational language transmission, making its documentation an extremely urgent undertaking for linguists.
In this book we present the transcriptions, linguistic annotations, and translations of a fluent Nanai speaker’s spontaneous narratives on the life cycle of the Nanai people, which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topics: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Rearing rituals, Birth rituals, Wedding rituals, and Funeral rituals. In addition, we provide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ridged Russian version of the materials, as well as an alphabetical list of lexical and grammatical forms with their meanings.
The goal of our research is, on the one hand, to help understand the cultural practices of the Nanai people and their language, and on the other han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anai language.
* 책 속에서
킬레 교수의 구술을 전사하고 행 단위로 문법 요소를 주석 형식(Annotation)으로 설명하였다.
구술의 영문 번역문을 통해 언어적 측면뿐 아니라 나나이인의 생활에 대한 내용적 측면도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어휘목록(Glossary: English-Nanai, Nanai-English)을 수록하여 나나이 언어에 대한 자료를 추가로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