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에 두고 아무 때나 부담 없이 달력을 넘기면서 하나씩 배워가는 경제용어
우리가 한글을 처음 배울 때를 생각해보면 단어를 먼저 배웠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도 기본적인 단어와 간단한 문장을 배운다. 단어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뒤 문장을 공부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 이처럼 경제 공부를 시작할 때도 경제 용어부터 배우면 책이나 기사를 읽는데 훨씬 수월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월별로 어떤 용어들이 수록되어 있나〉
1월 경제상식, 경제학자
1월은 굳은 다짐을 갖고 공부를 시작하는 시기이다. 하지만 이 때 너무 과도한 열정을 불사르면 금방 지치기 쉽기 때문에 교양 수준의 경제 용어와 유명한 경제학자를 선정해 가볍게 공부를 시작할 수 있게 구성했다.
2월 경제기초
경제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용어를 알아야 한다. 본격적인 공부에 앞서 기초를 다지는 시간이다. 앞으로 만날 어려운 용어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게 경제 기초 용어를 확실히 알려준다.
3월 경제 지표
경제 기사에는 경제 지표를 활용한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통계 자료는 같은 수치를 보더라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데 용어를 알면 자극적인 기사 제목에 휘둘리지 않고 팩트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이 용어들은 중고등학교 시험에도 자주 등장하니 꼭 알아야 한다.
4월 미시경제
미시경제학은 경제학의 대표적인 학문으로 소비자와 기업 등 개별적인 경제 주체를 연구한다. 가격 결정, 수요와 공급, 시장 균형 등 개별적인 경제 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는데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각종 자격증이나 채용 시험에도 등장하니 잘 알아둬야 하는 용어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5월 거시경제
거시경제학은 GDP, 실업률, 인플레이션 등 넓은 범위의 지표들을 연구하는데 거시경제학은 주로 정부 정책 결정 과정에 활용된다 미시경제학과 마찬가지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자격증, 채용 시험 등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니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용어들을 선별해서 다루고 있다.
6월, 7월 금리, 환율
금리는 모든 경제 활동의 기준이 된다. 기준금리가 바뀌면 돈의 흐름도 바뀌고 자산 가격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관련 용어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수출 중심의 나라이기 때문에 환율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우리나라 경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환율 관련 용어도 꼭 공부해야 한다.
8월, 9월, 10월 주식, 기업
기업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인 주식회사는 자본주의를 움직이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주식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기업이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떻게 돈을 버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중고등 학교 교육과정에는 직접적인 투자를 위한 용어는 잘 다루지 않지만 주식 투자에 활용할 용어들도 많이 실었으니 부모님과 자녀들이 함께 공부하면 좋을 용어들을 담고 있다.
11월, 12월 부동산
부동산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투자 상품으로 부동산 투자를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들을 실었다. 그리고 깡통전세가 큰 논란이 되고 있는데 이를 대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경매 관련 용어도 함께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