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전략 없이 성공하는 입시는 없다
왜 대치동에서는 초등의대준비반까지 등장했을까? 극강의 최상위 선행에 합류해도 괜찮을까? 내 아이는 공부 재능을 타고났을까? 잠자고 먹는 시간도 아끼며 하루의 2/3를 공부에 쏟아 붇고 있는데 왜 성적은 잘 오르지 않는 걸까? 1점이라도 성적이 오르는 공부법, 꼴찌에서 최상위권까지 맞춤식 암기법, 오답노트를 공부일기로 활용하는 법, 각 나이에 맞는 계획표 짜는 법과 시험공부를 위한 6주 5회독까지. 이 책은 부모에게 영어유치원에서부터 대입 준비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고, 필요로 하는 학습법이 무엇인지 15년 로드맵을 보여준다. 로드맵을 얻으면 자녀 공부를 나중으로 미룰 부모는 없다.
자녀 공부에 후회를 남기지 않는 부모가 되려면
6, 7세나 초등학교 1, 2학년까지는 양육자가 교육자 역할을 병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태도는 공부를 비롯한 여러 가지 습관이나 정서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공부가 몸에 착 붙게 만들고 싶다면, 공부를 대하는 공부 정서를 먼저 만들어 줘야 한다. 마치 젓가락질 연습을 시키듯 시간과 정성을 쏟아야 한다. 부모와 밀착된 이 시간 없이는 공부하는 아이로 키울 수 없다. 부모세대가 자랄 때에는 ‘때 되면 알아서 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지금 아이들에게는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가르쳐 줘야 시작이 된다. 공부는 인생의 중요한 터널을 통과하는 불빛임을 가르칠 줄 아는 부모가 공부에서 후회를 남기지 않는다.
공부는 아이가 하지만 공부 분위기는 부모의 몫
어른도 하기 힘든 공부 습관 만들기에는 융통성이 필요 없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부량이 늘어나고 활동이 많아진다. 아이가 피곤해할 수도 있고 집에 늦게 들어오기도 한다. 그럴 때 “힘들어? 못하겠어? 그럼 쉬어.”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어리지만 타협 없이 힘들어도 해야 하고, 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심어 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자기주도성이 조금씩이라도 형성되기 시작한다. 공부는 언제 해도 늦고, 언제 해도 늦지 않다. 부모가 하는 선택은 자기 자신이 아닌 아이를 위한 선택이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 공부 말고 다른 것으로 성공하는 길이 더 좁다
연예인의 미모와 끼, 유튜버의 성실함과 열정, 웹툰 작가의 재미와 수입은 공부와 재능을 맞바꾼 결과이다. 신은 99퍼센트의 평범한 아이에게 다른 재능이 아닌 공부하는 재능을 심어 준 것이다. 학교 때 공부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는 사람은 있어도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을 나와 좋은 직장을 다니는 것을 후회하는 사람은 없다. 적어도 대한민국에서 좋은 학벌과 학력이 후회할 일을 만들지는 않는다. 공부를 열심히 해본 사람은 무엇을 해도 열심히 한다. 그래서 더욱더 미친 듯이 공부할 필요가 있음을 자녀에게 가르쳐야 한다.
최상위 클래스로 가는 스카이 로드맵
공부 스트레스 없이 제 할 일 열심히 하면서 행복하게 자녀가 크길 바라는 것은 일하지 않고 돈 벌면 좋겠다는 것과 비슷한 심리. 입시의 문턱에서 아무리 후회해 본들 후회는 더 많은 학원비와 고통을 안길 뿐이다. 오래 책상에 앉아 있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은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1점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 효율적인 공부법과 부모의 전폭적인 지지이다. 최상위 클래스로 가기 위해 부모가 할 일은 아이가 15년 공부의 길에서 헤매지 않게 공부 로드맵을 갖고 전체를 조망하는 것. 아이를 알고 부모 자신을 알면 실패하는 입시는 없다.
내용 소개
프롤로그; 공부해야 할 9가지 이유
10대 시절 공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가치에 대해 전하고 있다. 공부를 통해 성취한 경험이 성인이 되어서도 얼마나 유용한지 소개하고, 공부를 통해 만난 사람들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깨닫게 한다. 대치동식 공부에 대한 선입견이 강한 부모라 해도, 자녀 학습에는 무관심한 부모라 해도 공부의 진정한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1기 공부 정서 만들기 6, 7세∼초등학교 1, 2학년
15년 동안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이때 공부 정서를 몸에 익혀야 한다. 공부 정서란 공부 정서는 공부를 대하는 아이의 심리적 정서적 태도를 의미한다. 공부 정서가 안정된 아이는 공부하자는 소리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더 놀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고 책을 펼 수 있는 절제력이 있다. 공부 정서가 없으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부로부터 점점 멀어진다. 학습 격차는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부터 극심하게 벌어진다. 6, 7세에는 다양한 경험, 초등1,2학년 때에는 사고력 수학이나 영어 파닉스, 짧은 독서가 유효하다. ★ TCI기질성격검사로 자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지표를 마련해야 한다.
2기 공부 습관 만들기 초등학교 3, 4학년
본격적인 교과 학습이 시작된다. 사고력 수학이나 파닉스는 길어봤자 초등학교 3, 4학년에 마무리하고, 교과서에 충실해야 한다. 자기 학년×30분이 혼자 공부하는 적정한 시간이다. 이때 습관이 자리 잡지 못하면 다시 공부가 퇴행하는 수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할 시기이다. 문이과 성향이 서서히 드러나고, 부모로부터 벗어나 다른 데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독후활동으로 사고의 폭을 넓혀주고 어떻게 공부해야 맞는지 스타일을 찾아주어야 한다. 아이 성향이 드러나는 시기이므로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도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 MBTI검사로 자녀에게 맞는 공부 동기부여 방법을 가져야 한다.
3기 공부 독립 시키기 초등학교 5, 6학년
이 시기에는 혼자 적어도 2시간 이상 책상에 앉아서 자기 공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학원에 가는 것도 엄마와 하는 것도 다 제외하고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2시간 이상 되도록 공부 독립을 시켜야 한다. 마인드맵 공부법을 통해 공부한 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도록 훈련한다. 영어는 교과서 문법, 수학은 사칙 연산을 마스터해야 중학교 대비가 된다. ★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해 문이과 성향을 파악해 두면 진로 설계에 큰 도움이 된다. 최상위 문이과 로드맵은 고등학교 선택부터 다르다.
4기 공부 실속 챙기기 중학교 1, 2학년
지금까지 공부한 것이 만인 앞에 실력으로 드러나는 때이다.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아서 ‘공부 잘하는 아이’라는 정체성에 흠집이 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공부를 아무리 열심히 해도 성적이 안 오르면 지금까지 해온 고생이 소용이 없다.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는 비법을 수록했다. 전국 단위 자사고, 학군지 특목고, 외고 등 고등학교 입학에 관련된 정보도 수록했다. ★ 목표 고등학교를 설정하고 이에 맞는 로드맵을 설계해야 한다.
5기 공부 몰입 시키기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과목별 이루어야 할 공부 완성도, 고등학생다운 공부법, 번아웃 대비, 6주 5회독까지 실전 공부 방법에 대한 다양한 비법을 수록했다. 고교학점제와 현행 입시제도에 대한 설명을 곁들여 달라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 현행입시제도와 달라지는 2028입시제도에 대한 해설을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