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대, 교회의 정체성
내 것으로 어려운 이들에게 시혜를 베푸는 ‘구제’ 정도가 사도행전의 초대교회를 일구었던 ‘환대’라 할 수 없다. 사도행전의 환대는 나그네에게 묵을 곳을 마련해 주는 정도의 일시적이고 한정적인 모습은 아니다. 나와 생각이 다르고 살아온 이야기가 다르고 사람을 대하는 방식이 다른 사람을 오래 참고 기다리면서 우리 몫의 ‘자리’에 그들의 ‘얼굴’을 기꺼이 내어주기까지 확장되어야 한다. 그래서 낯선 타인이 나와 우리 공동체에 적응하기를 요구하거나 순응하기를 기대하는 대신 나와 우리가 깊어지고 넓어져서 낯선 그들에게 자리와 얼굴을 내어줬다. 그것이 예수님이 자신을 저주하던 사울에게 보여준 환대였고 초대교회 성도들이 이방인들에게 기꺼이 보여준 예수님의 환대였다. 이렇게 초대교회의 정체성은 환대의 공동체였다. 이 책은 예수님이 바울에게 보여준 환대, 베드로가 룻다의 애니아와 욥바의 다비다와 무두장이에게 보여준 환대, 도저히 함께 할 수 없었던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고 그리스도인의 공동체가 된 베드로와 바울의 환대의 발자취를 따라간다. 그래서 초대교회의 환대는 어떤 덕목이 아니라 그리스도인 공동체, 교회의 정체성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도행전, 선교와 환대의 책
사도행전은 예루살렘에서 시작해 유대와 갈릴리와 사마리아까지, 팔레스타인 모든 땅뿐만 아니라 땅끝에 이르기까지 죄인들을 용서하고 주님의 나라로 부르는 복음의 역사가 담겨있다. 그래서 십자가와 부활과 승천으로 하늘 보좌 우편에 앉아 하나님 나라를 통치하시는 예수님께서 보내주신 성령으로 충만한 사도들이 교회를 세우고 생명의 말씀을 전하는 선교의 책이다. 특별히 이 책에서 저자는 사도행전의 선교가 놀라운 하나님의 환대 사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는 것에 주목한다. 사도행전 10장에서 유대인의 교회인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 베드로는 예루살렘 교회의 상식과는 다르게 이방인 백부장 고넬료를 환대한다. 이렇게 이방인을 환대한 베드로는 바울을 이방인의 사도로, 이방인을 위한 선교사로 지지하고 인정한다. 그래서 사도행전 11장에 이방인에게도 성령이 임하고, 그들에게 세례를 베풀게 된다. 이같은 이방인을 위한 선교의 역사가 예루살렘 교회에 전해진다. 이렇듯 예루살렘 공동체는 이것이 하나님의 환대라는 것을 기꺼이 인정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 배제와 편 가르기가 난무하는 우리의 현실, 이 책은 지금 우리 시대의 교회가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환대의 책으로서의 사도행전 읽기에 집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