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에 문해교육이 있었다: 평생교육의 원류, 문해교육
인류의 발명품은 셀 수 없이 많지만 최고, 최대, 최선의 발명은 문자다. 문자의 발명으로 기록은 기억을, 문자(text)는 말(talk)을 지배하게 되고, 시공간을 넘어서 의사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문명과 문화가 보존을 넘어 번창한다. 하지만 문자의 발명과 동시에 문자를 읽지 못하는 자, 즉 ‘비문해자’가 생겼고 문자를 사용하는 법을 가르치고 배울 필요가 탄생했다. 학교라는 제도가 탄생하기 한참 전, 태초에 문해교육이 있었다. 저자는 문해교육의 시작과 궁극적 이상을 오가며 문해와 문해교육의 의미, 평생교육과 문해교육의 관계를 살핀다. 금융문해·건강문해·디지털문해·매체문해·미래문해·생태문해 등에 앞서, 문해의 근본을 들여다본다.
문해교육 인식 혁명: ‘문맹 퇴치’에서 ‘문해교육’으로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것은 부족과 결핍으로 인식되었고, ‘문맹(文盲)’은 퇴치, 타파, 박멸, 일소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문자사회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문자를 사용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많아진 것은 채 100년도 되지 않는다. 게다가 읽고 써야 하는 것이 날마다 새롭게 등장하고 사라지는 시대에, 문자만 읽고 쓸 줄 안다고 해서 문맹을 면한 것이 아니다. 읽고 쓴다는 것은 누구라도 평생에 걸쳐 배우고 익히는 것이 되었다. 문맹에서 비문해로, 단일 문자 문해에서 다중문해로, 협의에서 광의로, 정태에서 역동으로의 이행 과정을 살펴본다.
개화기 문해교육에서 글로벌 미래 문해교육까지
우리나라에서 문해교육은 어떤 성격, 모습으로 이루어져 왔을까? 우리만의 말과 글이 있는 나라에서, 외세의 침략과 격동의 근현대사를 거쳐 온 나라에서 문해교육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민간에서 자원봉사의 형식으로 이뤄진 문해교육, 국가 주도의 정책과 제도로서 문해교육, 사회 운동으로서 문해교육 사례를 우리 역사와 세계 역사 속에서 찾아본다. 그 가운데 변하지 않는 문해교육의 원리와 이념이 드러나고, 국경을 초월해 공유되는 의제들이 드러난다. 이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협력하는 토대가 된다.
문해교육 현장을 위한 책: 장별 요약, 토론을 위한 질문, 읽기 자료
문해교육 현장과 연구실에서, 문해교사와 예비 문해교사들이 이 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별 토론 질문을 더하고 주요 읽기 자료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