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에게 공정한 입시는 가능한가
탄생 30주년을 맞이한 수능의 성적발표일이 다가왔다. 본고사, 학력고사, 예비고사 등을 거쳐 오랜 준비 끝에 탄생한 수능이 한 세대 가까이 그 생명력을 이어 온 것이다. 그러나 수능의 모습은 계속해서 달라져 왔다. 정부의 입시정책에 따라, 또 교육과정에 따라 수능은 천변만화하며 강한 적응력을 보였다. 수능은 어떻게 탄생한 시험이며, 어떤 과정을 거쳐서 지금의 모습으로 진화하여 왔을까. 그리고 수능의 진화는 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졌을까. 본격적인 정시모집 전형과 수능 성적발표를 앞둔 지금, 이 책에서 수능의 오랜 역사와 변화과정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4~6장) 특히 6장에서는 지난 10월 10일, 교육부에서 발표한 2028년 대입제도 개편안의 핵심과 숨겨진 의도를 완벽히 분석한다.
내신과 대입 대학 자율화에 얽힌 숨겨진 비화
‘공정’은 과연 오늘날에만 주목받는 가치였을까. 본고사 시대에도 주관식 문제 출제에 수험생들은 평가의 공정성 여부를 불안해하고 있었다.(2장) ‘내신’이 일본어에서 왔다는 이야기도 흥미롭다. 이미 일제강점기 때부터 정부에서는 정책적으로 입시에서의 내신 반영을 적극 권장하고 있었으나, 상급학교에서는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객관성을 믿을 수 없다며 내신 수용에 부정적이었다. ‘내신’에 대한 기대와 어김없는 배반의 역사는 오래되었다.(3장) 오늘날 대입은 각 대학에 상당한 자율권을 부여하고 있으나, 대학 자율의 대학입시는 출발부터 그러했다. 그러나 대학은 신뢰와 객관을 지켜내지 못했고, 결국 입시를 국가에서 주관하게 된 것이다.(2장) 이 모든 숨겨진 역사를 한눈에 살펴본다.
시험은 살아 있는 희망의 불씨가 될 수 있을까
일반적인 사회 통념과는 다르게 교육에서는 보수와 진보가 한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적잖다. 수능과 내신 절대평가에 대한 그들의 의견이 그렇고, 입학사정관제 또한 노무현 정부에 의해 도입되어 이명박 정부에서 확대되었다. 일제고사의 단점을 지적하며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추진된 입학사정관제와 학생부 종합전형(학종). 도입된 지 십수 년이 지났지만 왜 사람들은 학종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우리 사회가 대학입시에 이토록 목매는 근본적인 이유와 팽창하는 사교육을 줄이기 위한 해법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모두가 공정하다고 받아들이면서도, 지식정보화사회에 걸맞은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이상적인 대학입시제도란 과연 존재하는 것인지 《우리 아이의 입시는 공정한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