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일곱 번 살해되었다…”
극도로 불가해한 일곱 번의 수수께끼
사진작가, 여성 디자이너, 신인 남성 디자이너, 광고주, 동료 모델, 레코드 디렉터, 젊은 의사. 직업도 나이도 제각각인 일곱 사람이 미오리 레이코의 맨션에 각기 다른 시간에 초대된다. 그리고 모두가 예기치 않게 그녀를 죽이고는 황급히 맨션을 떠나며 이렇게 안심한다. “레이코가 알려준 완벽한 알리바이가 있으니 내가 범인으로 지목될 일은 결코 없다….” 하지만 레이코의 시체가 발견된 후부터 충격적 전개가 이어진다. 일곱 명 범인 중 하나가 살해 방법을 유서에 낱낱이 밝힌 채 자살해버린 것. 공개된 유서를 본 나머지 여섯은 유서의 내용이 자신이 레이코를 살해한 방법과 완전히 일치한다는 것을 알고 현실과 망상을 오가며 극도의 공포감에 빠진다.
이 소설에서 렌조 미키히코는 미스터리 룰을 과감히 뒤집어 독자에게 신선한 재미와 충격을 준다. 또한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죽었는지 대부분의 미스터리가 작품 말미까지 숨겨두는 살해 방법을 서두에서 밝히고 있는 점, 서술 트릭이 명쾌하게 해결된 후에도 진범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은 기존의 미스터리 문법을 완전히 뒤집는 경지라 할 수 있다.
일곱 명 모두가 범인이라면 레이코는 일곱 번 죽은 셈이다. 가능한 일일까? 일곱 명 모두가 살인범이 아니라면 진범은 누구일까? 아니 진범이 존재하기는 하는 것일까? 자살과 타살이 뒤섞이고, 가해자와 피해자가 겹쳐지는 마술적 미스터리. 독자는 작가가 만들어 놓은 촘촘한 그물에 단단히 걸려 옴짝달싹 못한 채 홀린 듯 책장을 넘길 도리밖에 없을 것이다.
“가짜 인생이니까, 기쁨도 슬픔도 가짜야”
허식의 세계에서 추는 파멸의 춤
독특한 인물을 창조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지닌 렌조 미키히코가 《7인 1역》의 핵심 인물인 미오리 레이코를 공들여 빚어낸 솜씨를 보자. 남자를 후리는 데 “타고난 팜므 파탈”, “인기와 미모로 인해 스스로를 잃어버린 어리석은 여자”, “허식 속에서나 광채를 내뿜는 모조 다이아몬드”. 전부 세간에서 톱 모델 미오리 레이코를 두고 한 말이다. 하지만 얼굴에도 몸에도 마음에도 ‘진짜’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던 그녀. 이 소설은 공허함과 쓸쓸함이 짙디짙게 깔려 있다. 가슴에 공허함과 쓸쓸함이 차곡차곡 쌓인 미오리 레이코는 결국 파멸을 설계하는 악녀로 분한다. 일곱 명 모두를 살인자로 만듦으로써 그들이 평생토록 죄책감과 후회에 짓눌리며 생지옥에 살게 만든다.
오늘날 많은 이들이 사회에 만연한 과시적 삶에 현혹돼 우울감을 그림자처럼 달고 살아간다. ‘진짜’가 없는 “허식의 세계”에서 “늘 추웠고” 다만 “착한 마음”을 가진 “인간다운 사람”이 그리웠다는 본문 속 레이코의 독백으로 미루어 짐작건대, 그녀는 어쩌면 일곱 명에게 자신을 죽일 기회를 주면서도 자신을 살릴 착한 마음을 바랐던 것은 아닐까? 이렇듯 작가의 모순된 의도를 들여다보게 하는 것도 이 작품의 미덕이자 묘미다. 제게 남은 유일한 ‘진짜’, 단 하나 인공적인 것이 아니었던 레이코의 눈빛에서 당신은 과연 어떤 진심을 읽어낼까?
렌조 미키히코만의 대담한 발상, 감각적인 묘사, 그러면서도 속도감 있게 흘러가는 전개, 곳곳에 숨은 복선과 모든 설계가 맞아 떨어지는 완성도는 이 작품이 왜 일본에서 다섯 차례나 복간될 정도로 독자의 크나큰 애정을 받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특유의 반전과 분위기로 자기 스타일을 고수하면서도 매번 독창적인 이야기로 인간의 어두운 욕망을 비추는 렌조 미키히코의 세계에 과감히 입장해보자.
일본 독자들의 생생한 리뷰
★★★★★렌조 미키히코의 장편소설 중 단연 최고!
★★★★★작가의 의도를 깨달은 순간 깜짝 놀라서 책을 떨어뜨렸다. 독자의 상상력을 초월하는 기발한 작품
★★★★★에로틱하고 그로테스크한 한 편의 영화 같은 이야기
★★★★★화려한 트릭과 감각적 표현으로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그려낸 미스터리의 걸작
★★★★★모든 수수께끼가 풀리는 마지막 순간의 카타르시스가 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