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 피케티의 극찬★★★
“내 이론을 완벽하게 표현한 교양만화!”
1901년, 프랑스에 사는 쥘은 파티에서 루이즈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커다란 저택에서 하인을 부리며 사는 쥘과 루이즈의 풍족한 삶은, 과연 온전히 그들이 이룬 것일까? 그들의 이야기는 쥘의 고조할아버지가 살던 17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럽의 인간이 성직자, 귀족, 그리고 제3신분으로 명확히 구분되던 시대로까지. 특권층이었던 쥘의 고조할아버지의 삶은 프랑스 혁명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한다. 하지만 ‘평등’을 외쳤던 혁명은 ‘이데올로기’와 맞물리며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데….
토마 피케티의 과감하고 날카로운 제안
‘불평등’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인류의 미래도 없다!
금수저, 흙수저 등 부모의 재력으로 결정되는 계층을 의미하는 용어, 일명 ‘수저계급론’이 여전히 유효하게 읽힌다. 이제는 누구나 할 것 없이 자신을 흙수저로 표현하며 자조 섞인 한탄을 내뱉고는 한다. 이렇듯 한국 사회에서 ‘부의 대물림’은 너무나도 확고해 보인다. 부자는 계속 부자가 되고 가난한 자는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는 시대, 부모의 재력이 성공의 기초가 되는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부의 불평등’은 변하지 않는 불가피한 것일까? 피케티는 갈수록 심해지는 소득 불균형과 불평등을 그대로 둔다면 세습자본주의로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한다.
8대에 걸친 한 가족의 이야기가 보여주는 불평등의 역사!
‘개인’과 ‘이데올로기’는 어떻게 맞물리는가
쥘의 고조할아버지 피에르의 이야기는 쥘을 거친 뒤 쥘의 증손녀 레아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200여 년 동안 시대는 급변했고, 그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의 생활 방식과 생각도 함께 변해왔다. 노예제 시대부터 21세기 자본주의 시대까지의 사회역사적 구조와 정치가 한 가족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며, 우리는 피케티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면밀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우리는 심화되는 소득 불균형과 불평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그 해답은 독자들에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