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기로 유명한 조식의 〈유두류록〉을,
실감나는 ‘주해 번역’으로 읽는다!
조식의 〈유두류록〉을 읽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몇 편의 한글 번역문이 나와 있지만, 이 번역문조차 읽기 어렵습니다. 기본적으로 한문으로 쓰인 글은 많은 전고(典故)를 포함합니다. 전고란 경전이나 역사책에 나오는 사건과 인물, 과거의 제도나 관습 등을 말합니다. 전해오는 성현의 말씀이나 옛날의 사실 이야기를 근거로 삼아 현재의 일을 말하고 자신의 뜻을 펼치고자 한 것입니다. 〈유두류록〉도 다르지 않습니다. 이런 까닭에 전고의 의미를 알지 못하면 〈유두류록〉의 기본적인 문맥조차 파악하기 힘듭니다.
게다가 글쓰기에 대한 조식의 태도가 우리의 어려움을 가중시킵니다. 조식은 표현하고자 하는 일이 있으면 “바람처럼 달리고 우레처럼 빨리 써서 더 손대지 않았습니다.” 수많은 전고를 끌어오면서 또 이 전고를 변형시키기까지 합니다.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조차 ‘기이한 표현과 깊은 함축(奇辭奧義)’를 제대로 읽어내기 힘들다고 하소연할 정도였습니다. 조식은 글과 말로 표현하는 일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조식은 “말은 간략한 것을 귀하게 여긴다(言以簡爲貴)”고 생각했습니다. 학자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스스로 이치를 터득하여 몸으로 실천하는 일입니다. 일상적인 현실의 일을 버리고 높은 이론을 입으로만 말하는 구상지리(口上之理)의 학문은 껍데기일 뿐입니다.
이에 이번 번역서에서는 현재의 독자가 〈유두류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글자 한 글자 가능한 한 자세하게 풀이하고자 합니다. 전고의 경우, 어떤 상황에서 이 전고가 만들어졌는지 전고의 출전과 유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해당 전고의 출전은 물론, 때에 따라서는 원문의 일부까지 인용하여 소개합니다. 당대 사람들의 법과 제도, 지방 행정, 의식주, 생활환경 등에 대해서도 부연합니다. 500년 전의 유학자들이라면 대부분 이미 알고 있어 굳이 길게 말할 필요가 없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현재의 우리에게는 별 다른 사전 지식이 없다면 도저히 알 수 없는, 생소하기만 한 것입니다. 이 책의 의도는 이러한 생소함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입니다.
‘포계(匏繫)’라는 말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의 번역은 이 말을 보통 ‘매달린 박’이라고만 풀이하고 맙니다. 그런데 원문은 물론 번역문을 보아도, 현재의 우리는 이것이 무슨 말인지 갈피를 잡기 힘듭니다. 이 표현이 포함된 문장 전체를 읽어보면 더욱 난감합니다. “시골집에 매달려 있는 박처럼 걸어 다니는 시체가 되어버렸다.” 무슨 난해한 현대 시의 한 구절인가 싶습니다. 사실 ‘포계(匏繫)’는 《논어》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공자의 말을 줄인 것입니다. “내가 어찌 박덩굴이겠는가? 내가 어찌 한곳에만 매달려서 아무것도 먹지 않을 수 있겠는가?ㅡ(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 이로써 이 ‘포계’라는 표현은 흔히 ‘뜻을 펼치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말로 쓰입니다. 조식 또한 이런 뜻으로 썼습니다.
그런데 기존의 번역은 ‘매달린 박’이라고만 풀이할 뿐 더 이상의 정보는 제공해주지 않습니다. 각주조차 달아주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현재의 우리는 한문학자가 아닌 이상 이 말의 출전이 《논어》라는 사실조차 알기 힘듭니다. 이번 번역서에서 이 전고의 출전, 이 전고의 원문과 기본적인 의미 등에 대해서까지 세세하게 풀어준다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이 책은 조식의 〈유두류록〉을 번역한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번역서라 하기에는 지나친 점이 있습니다. 번역서가 아니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이 책은 구구절절 소상하게 풀이합니다. 풀이하고 또 풀이합니다. 때로는 원문과는 무관한 것처럼 보이는 내용까지 말합니다. 당연히 이와 같은 번역은 위험합니다. 조식이 〈유두류록〉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바를 왜곡할 수도 있고 터무니없는 오류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의도와는 다르게 지루하고 장황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독자를 위해 이런 위험은 감수할 만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조식에게 지리산은 콸콸 살아 있는 생명의 공간이었습니다. 생기발랄한 삶의 현장이었습니다. 그리고 〈유두류록〉은 이러한 지리산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이 번역서는 다만ㅡ, 이와 같은 이야기를 현재의 독자들에게도 실감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