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사랑은 어떻게 역사를 움직이는가

사랑은 어떻게 역사를 움직이는가

  • 권경률
  • |
  • 인물과사상사
  • |
  • 2023-11-24 출간
  • |
  • 276페이지
  • |
  • 145 X 210mm
  • |
  • ISBN 9788959067336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사랑, 권력을 얻다

고려를 세운 왕건은 결혼을 담보로 호족들과 연합했다. 결혼은 난세에 협력과 보답을 약속하는 보증수표와 같았다. 삼한을 통합하고 고려를 건국하고 새 시대를 열기까지 왕건은 6명의 왕후와 23명의 아내를 얻었다. 제1비 신혜왕후는 유천궁의 딸이자, 왕건의 적처(嫡妻)가 되었다. 정주 유씨(柳氏) 가문은 군대를 먹이고 재울 만큼 재력이 풍부해 왕건의 최대 후원자가 되었다. 제2비 장화왕후의 집안은 군사력, 경제력, 신분 등 내세울 게 없었지만, 호족들의 협력을 이끌어내 왕건이 후백제와 결전을 치르게 했다. 제3비 신명순성왕태후는 유긍달의 딸, 제4비 신정왕태후는 패서 호족인 황보제공의 딸이었다. 제5비 신성왕태후는 사촌 누이였고, 제6비 정덕왕후는 또다른 정주 유씨(柳氏) 가문의 딸이었다. 이렇듯 왕건은 결혼동맹과 호족 연합으로 ‘삼한의 사위’ 왕서방이 되었고, 충성스러운 후원자들을 장인으로 삼았다.
문명왕후는 김유신의 누이동생이자 김춘추의 아내이며 문무왕의 어머니다. 문명왕후는 김유신과 김춘추가 삼국통일에 힘을 모으게 하고, 그 임무를 완성할 문무왕을 낳았다. 김유신은 낭도들과 함께 명산대천을 찾아다니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삼국통일이라는 시대정신을 부각했다. 하지만 문명왕후는 삼국통일을 하기 위해서는 국력을 일으킬 인재들을 모으고 나라에 충성할 세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신라 최고의 귀공자였던 김춘추와 결혼한 명성왕후는 얼마 후 법민(문무왕)을 낳는데, 이는 삼국통일의 포부가 빚은 사랑의 결실이었다. 김유신과 김춘추는 명재상과 대장군으로서 신라의 국익을 위해 호흡을 맞추었다. 한 손은 외교술을 펼치고, 한 손은 칼을 휘두르며 일심동체가 되었다. 661년 왕위에 오른 문무왕은 패수(대동강) 이남에서 신라·백제·고구려·가야를 아우르면서 김유신과 김춘추의 오랜 숙원인 삼국통일을 이룩했다.

사랑보다 잔인한 것은 없다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는 한국사에서 가장 비정하고 서글픈 사랑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호동왕자는 낙랑공주에게 “그대가 나라의 무기고에 들어가 북을 찢고 나팔을 부순다면 내가 예를 갖춰 맞이하리다. 안 그러면 맞이하지 않을 것이오”라며 북과 나팔을 못 쓰게 만들라고 시켰다. 북과 나팔은 적병이 오면 저절로 울렸다. 낙랑공주는 날카로운 칼을 가지고 몰래 무기고에 들어갔다. 북의 가죽과 나팔의 입을 베어버리자 호동왕자는 아버지 대무신왕에게 권해 낙랑국을 급습했다. 낙랑국의 왕 최리는 원통한 나머지 낙랑공주를 죽이고 성에서 나와 항복했다. 낙랑공주는 왜 호동왕자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자명고각을 망가뜨려 아버지의 손에 죽었을까? 사랑이었을까? 호동왕자도 그해 겨울 자살했다. 아버지의 명에 따라 아내에게 못할 짓까지 했건만 돌아온 것은 어머니를 농락했다는 파렴치한 낙인이었다. 그는 자신의 비정한 어리석음이 부끄러워 몸부림치다가 스스로 칼에 엎어져 목숨을 끊었다. 어쩌면 호동왕자와 낙락공주의 사랑이 정치의 제물이 된 것은 아니었을까?
사도세자는 영조가 맏아들 효장세자(진종)를 잃고 나이 마흔에 다시 얻은 아들이다. 영조는 사도세자가 성군의 재목이 되기를 바랐다. 그러나 사도세자는 학문에 관심이 없었다. 그러자 영조의 엄한 책망이 이어졌다. 사사건건 트집을 잡았고 직성이 풀릴 때까지 야단쳤다. 사도세자의 마음은 알게 모르게 병들어갔다. 혜경궁 홍씨는 영조의 닦달과 편벽이 심하다고 여겼다. 혜경궁 홍씨는 남편이 말도 못하고 가슴앓이하는 모습이 너무 안쓰러웠다. 결국 영조는 정성왕후의 혼전(魂殿)에서 세자를 폐하고 뒤주에 가두었다. 폐세자는 한여름에 숨 막히는 뒤주에서 8일간 버티다가 2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혜경궁 홍씨는 가슴을 치며 슬픔을 삭여야 했다. 영조는 총명하고 효심이 지극한 세손(정조)을 효장세자의 양자로 올리고 ‘역적 죄인의 자식’이라는 낙인이 찍히지 않도록 했다. 남편의 죽음을 묵인하고, 자식을 품에서 놓아준 끝에 혜경궁 홍씨는 이들 부자가 국왕 반열에 올라서는 데 일조했다. 버림의 미학이요, 애틋한 모정이다.

사랑만 한 슬픔이 어디 있으랴

원경왕후는 지혜롭고 담대했다. 현명한 조언과 과감한 행동으로 이방원의 입지를 180도 바꿔놓았다. 정도전이 왕자들이 거느린 시위패를 폐지했는데, 이는 정적들의 사병을 빼앗기 위해서였다. 사실상 무장해제를 당한 것이다. 그 긴박한 순간에 원경왕후는 병장기를 빼돌려 숨겨놓았다. 또한 정도전이 왕자들을 척살하려는 계획을 입수해 대책을 의논하기도 했다. 결국 이방원은 왕자의 난을 일으켜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또한 이방간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방원을 설득해 초반의 열세를 극복하고 난을 진압하게 했다. 그러나 이방원은 조선을 안정시키려면 왕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방원은 왕권에 위협이 되는 세력을 추호도 용납하지 않았다. 피를 가장 많이 본 것은 왕비의 혈육, 외척이었다. 특히 원경왕후의 남동생 4형제가 매형에게 목숨을 잃었고, 맏아들 양녕대군도 폐세자가 되었다. 결국 원경왕후와 민씨 일족은 이방원이 왕좌를 차지하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웠으나 잔인하게 척결되었다.
“대단히 미안하나 이 유언서를 본적지에 부쳐주시오.” 1926년 8월 4일 새벽 4시, 일본 시모노세키항을 출발해 현해탄을 건너 부산으로 향하는 부관연락선 도쿠주마루 3호실 선객이 남겨놓은 메모였다. 배를 멈추고 안팎을 수색했으나 선객의 종적을 찾을 수 없었다. 바다에 몸을 던진 것 같은데 몇 시에, 어느 지점에서 그랬는지도 알 수 없었다. 남자는 목포 대부호 김성규의 맏아들이며 극작가·연극평론가로 알려진 김우진이었고, 여자는 평양 출신으로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사범과를 나온 조선 최고의 소프라노 윤심덕이었다. 김우진은 유부남이었다. 김우진과 윤심덕의 현해탄 정사 사건은 곧 세상에 알려졌다. 부관연락선에서 조선 사람이 사랑 때문에 자살한 것은 처음이었다. 그들은 예술적 동반자로서 신뢰와 정을 쌓아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노골적으로 비아냥댔다. 그러나 윤심덕과 김우진은 사랑하는 사이였지만 그들을 죽음으로 이끈 것은 예술적 동병상련이었다. 윤심덕은 유서를 남기는 심정으로 〈사의 찬미〉를 불렀다. “광막한 황야를 달리는 인생아 / 너는 무엇을 찾으려 왔느냐 / 이래도 한세상 저래도 한평생 / 돈도 명예도 사랑도 다 싫다.”

목차

머리말 ㆍ 4

제1장 사랑은 힘이 세다

서동은 왜 공주를 사랑했을까? : 서동과 선화공주
서자를 왕으로 만들려면? ㆍ 15 공주를 얻은 서동의 연애담 ㆍ 18 ‘백제 첩자’가 서라벌에 잠입한 까닭 ㆍ 21 미륵의 이름으로 보낸 선화의 ‘효도 선물’ ㆍ 25 ‘즉위담’이 된 ‘연애담’ ㆍ 28

사랑의 힘 : 김유신과 문명왕후
사랑의 도피극 ㆍ 31 천관녀의 진짜 정체는 무엇일까? ㆍ 34 진지왕 혈육과 가야의 신흥 진골 ㆍ 38 춘추공의 외교전 ㆍ 43 가락국 김씨, 주류가 되다 ㆍ 45 외교관의 미소 속에 대장군의 칼을 감추고 ㆍ 47

이방인의 사랑법 : 처용과 아내
불륜남은 역병을 퍼뜨리는 귀신 ㆍ 50 처용은 어디서 온 누구인가? ㆍ 53 이 집 저 집 다니며 연회를 즐기다 ㆍ 56 도깨비들을 탄압하다 ㆍ 59 아내의 불륜은 큰 문제가 아니다 ㆍ 61 화끈한 ‘복수의 노래’ ㆍ 64

사랑은 동맹이다 : 왕건과 아내들
삼한을 통합할 임금 ㆍ 67 왕건과 궁예의 동상이몽 ㆍ 71 잇달아 부부의 연을 맺다 ㆍ 73 충성스러운 후원자들을 장인으로 삼다 ㆍ 76 결혼동맹 혹은 인질납비 ㆍ 79 삼한의 사위, 왕서방 ㆍ 82 결혼동맹의 후유증 ㆍ 84

노예가 된 아내를 찾아서 : 정생과 홍도
홍도의 행방을 수소문하다 ㆍ 88 조명연합군과 왜군의 남원전투 ㆍ 91 ‘해적 상인’에게 노예로 팔려가다 ㆍ 94 오랑캐에게 잡혀가느냐, 목숨을 끊느냐 ㆍ 97 부부는 인륜의 시작이다 ㆍ 101

제2장 사랑을 배반하다

사랑의 배신 : 소서노와 주몽
동부여에서 쫓겨오다 ㆍ 107 토착세력과 신흥세력의 결혼동맹 ㆍ 110 고조선의 영광을 되찾다 ㆍ 112 천하의 중심이자 신성한 나라 ㆍ 115 나쁜 남자의 사랑 ㆍ 118 역사에서 어머니를 지우다 ㆍ 122

정치의 제물이 된 사랑 :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대무신왕의 소국 병합이 부른 비극 ㆍ 125 부여를 무너뜨리고 후한의 침입을 물리치다 ㆍ 128 호동왕자의 야심 ㆍ 131 아내의 목숨값과 남편의 자살 ㆍ 134 치명적인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ㆍ 138 아버지를 살리고, 아버지의 손에 죽다 ㆍ 140

사랑, 나라를 뒤흔들다 : 연산군과 장녹수
광기 어린 사랑 ㆍ 143 “신하의 도는 임금을 따르는 게 아니다” ㆍ 145 사림을 공포로 몰아넣다 ㆍ 149 왕을 능멸하는 폐단을 고치지 않을 수 없다 ㆍ 151 성균관에 기생을 모아놓고 흥청망청 놀다 ㆍ 154

궁녀의 사랑을 배신하다 : 숙종과 장희빈
궁녀를 품에 안다 ㆍ 158 궁녀는 ‘왕의 여자’ ㆍ 161 ‘기사환국’으로 ‘기사회생’하다 ㆍ 164 “미나리는 사철, 장다리는 한철” ㆍ 168 인현왕후의 복위와 장희빈의 죽음 ㆍ 171

잔인한 사랑 : 혜경궁 홍씨와 사도세자
세자빈에 간택되다 ㆍ 173 영조의 닦달과 편벽 ㆍ 176 66세에 15세의 계비를 맞다 ㆍ 179 내관을 죽여 그 머리를 나인들에게 보이다 ㆍ 182 정적들에게 먹잇감이 되다 ㆍ 184 가슴을 치며 슬픔을 삭이다 ㆍ 186

제3장 사랑의 슬픔

불귀신의 짝사랑 : 선덕여왕과 지귀
품어서는 안 될 연심 ㆍ 191 여왕, 앞일을 내다보다 ㆍ 193 성스러운 혈통의 할머니 임금 ㆍ 197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ㆍ 200 불귀신을 푸른 바다 밖으로 내치다 ㆍ 204

사랑의 보상 : 이성계와 신덕왕후
어린 신부를 경처로 맞이하다 ㆍ 207 이성계를 후원한 권문세족 상속녀 ㆍ 210 이방원과 함께 역성혁명을 돕다 ㆍ 214 집안을 일으켜 나라를 세우다 ㆍ 217 원통함을 씻어주다 ㆍ 220

전쟁 같은 사랑 : 이방원과 원경왕후
나라를 안정시키려고 악역을 자처하다 ㆍ 222 명문 재상가와 신흥 무인 집안의 혼사 ㆍ 224 남편의 대업을 위해 ㆍ 226 무기를 빼돌리고 정보를 캐내다 ㆍ 230 죽거나 죽이거나 ㆍ 232 정략결혼의 슬픈 종말 ㆍ 234

사랑을 극형으로 다스리다 : 어우동과 남자들
기생에게 빠져 아내를 버리다 ㆍ 238 그녀의 치마 속에서는 모두 평등하다 ㆍ 241 “어우동을 극형에 처함이 옳다” ㆍ 245 폐비 윤씨 방지법 ㆍ 247 어우동은 정절의 희생양이었다 ㆍ 251

인습에 희생되다 : 윤심덕과 김우진
“이 유언서를 부쳐주시오” ㆍ 253 조혼남이 신여성을 만났을 때 ㆍ 256 새롭고 낯선 스타에 대한 삐뚤어진 관심 ㆍ 261 스캔들에 상처 입고 연극배우에 도전하다 ㆍ 265 광막한 황야를 달리는 인생 ㆍ 268

주 ㆍ 27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