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다, 재밌다, 정확하다!
알파벳 26자로 어려운 해양학을 친근하게 만나는 놀라운 책!
미국 아마존 어린이 과학 분야 종합 1위 ‘키즈 유니버시티’ 시리즈,
미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다
호주의 물리학자 크리스 페리는 스템(STEM) 교육을 고민하며 ‘키즈 유니버시티’ 시리즈를 기획했다고 한다. STEM이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ematics)의 약자로, 2001년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채택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전의 교육은 각각의 학문 분야를 독립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현재 그리고 미래의 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이라는 핵심 분야를 통합적으로 가르쳐야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STEM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우리나라는 여기에 예술(Art)을 포함해 스팀(STEAM) 교육을 실시하는데, 이는 과학 기술에 인문학적 소양과 예술적 감성을 더해 미래 핵심 역량을 기르는 융합 교육이다.
‘키즈 유니버시티’ 시리즈로 기획된 ‘스물여섯 단어로 배우는 흥미진진한 OO 이야기’는 물리학, 수학, 생물학 같은 자연과학의 주요 분야부터 경제학, 지리학 같은 사회과학 분야까지 아우르며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걸맞은 내용들을 담고 있다.
미래를 살아갈 아이들에게는 지식을 암기하는 요령이 아니라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하다. 여러 학문 분야에 대한 아이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된 이 시리즈로 통합적인 사고력과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협업 능력 등을 키울 수 있기를 바란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 내용 전면 반영!
정확한 번역과 간결한 문장으로 만나는 과학 이야기
책세상어린이 편집부는 아이들이 자라면서 익힐 해양학의 기초 개념을 정확히 전달하는 것을 제1원칙으로 삼고 작업을 진행했다. 개념 번역은 교육부에서 배포한〈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를 참조했다. ‘환류’, ‘유광층’처럼 단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들도 실제 학계와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라면 그대로 전달하는 것을 편집 원칙으로 두었다. 특히 규범 표기가 확정되지 않아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의 표제어로 올라와 있지 않은 용어들은 편수자료에 따라 표기했다.
세 단계로 나누어 한 발자국씩 나아가는 흥미진진한 해양학 이야기
배우고 고민하며 질문을 잘 하는 아이로 자라나게 하는 책!
“바닷물은 왜 파랗게 보이나요?”
“지느러미의 역할은 뭐예요?”
“밀물과 썰물은 왜 일어나나요?”
호기심 많은 아이는 뭐가 그렇게 궁금한지 이것저것 자꾸 물어본다. 아이들의 질문에는 끝이 없다. 거대한 해류의 움직임을 지금껏 상상해 본 적은 없어도, 아이들은 모두 이미 해양학자 같다. 알면 알수록 더 궁금해지고, 질문이 더욱 다양하고 깊어지는 것이 과학이니까. 과학은 답하기에 앞서 좋은 질문을 하는 데서 시작한다.
그렇게 빛나는 호기심이 많던 아이들이 자라면서 질문이 점점 줄어든다. 나이를 먹고 학교에 가면 무슨 무슨 해류의 이름을 외우고 여러 해양 동식물의 학명을 접하지만, 바닷가에서 지평선 너머의 모습을 상상하지는 못한다. 문제를 푸는 데 온 힘을 다하지만, 해양학이 지구 표면의 70퍼센트를 차지하고 모든 지구 생명의 근원인 바다의 위대함을 담아낸 인류의 노력이 빚은 결실이라는 사실은 모른다.
하지만 이 시리즈를 읽은 아이라면 다를 것 같다. 해양학의 주제들을 가장 쉽고 간단한 ‘이름’에서 시작해 실제 해양학자들이 사용하는 표현까지 읽어 봄으로써 아이가 가질 수많은 질문에 대한 해양학의 대답을 먼저 들을 수 있을 테니까.
어려운 내용을 어렵게 설명하는 것은 쉽지만,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놀랍게도 이 시리즈는 아이들에게 어려운 과학을 쉽고 재밌게 설명해 놓았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췄지만, 그래도 과학을 제대로 설명하는 멋진 내용들이 가득 담겨 있다.
처음부터 내용을 다 이해하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 책장을 넘기면서 A부터 Z까지 스물여섯 단어를 하나씩 따라가며 해양학의 용어와 표현들에 익숙해지고, 호기심이 탐구심으로 이어지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추천사]
이 시리즈는 아이들이 과학의 렌즈로 세상을 보도록 만들어 주는 책이다. 아이들이 비과학의 논리에 오염되기 전에 과학적 사고 틀로 인도하는 도전, 참으로 신선하고 가치롭다.
-최재천/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
키즈 유니버시티에 온 모든 어린이에게, 과학의 길에 첫걸음을 내디딘 모든 미래의 과학자에게, 따뜻한 환영의 인사를 전합니다. 계속 이 길을 걸어가세요. 즐거운 마음으로요. 후회하지 않을 겁니다.
-김범준/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다큐멘터리 영상 시리즈로 기획해서 담을 만큼 거대한 주제를 다루지만, 그 방식은 가장 직관적이고도 단순합니다. 단순하지만 다정하게 건넨 과학 이야기는 아이가 과학에 흥미를 느끼도록 하는 큰 원동력이 됩니다!
-이효종(과학쿠키)/유튜브 크리에이터, 전 과학 교사
단순하고 산뜻한 색감의 이미지가 호기심 가득한 어린이의 뇌에 각인되어, 과학을 이미지로 흡수하게 하는 매력이 있습니다. 호기심이 탐구심으로 이어지는 가교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황형주/카이스트 AI대학원 박사 과정
과학의 즐거움은 복잡한 자연 현상을 관통하는 직관을 얻을 때 느껴집니다. 이러한 직관적 통찰은 종종 지루한 지식의 벽에 가려 있습니다. 그렇지만 크리스 페리와 공동 저자들은 이 시리즈에서 아이들도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직관을 찾아냅니다.
-손정락/난양공과대학교 물리학과 박사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