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오 베네데티(Mario Benedetti, 1920∼2009)를 향한 수식어는 많으나, 그는 어디까지나 “사랑과 망명의 시인”이다. 베네데티에게 시작(時作)의 목표는 언제나 “민중, 두 발로 서 있는 사람들을 뭉클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의 시는 망명과 향수, 기억, 죽음, 저항, 분노, 연대 등 다양하게 변주되는 가운데에도 예외 없이 모두 사랑으로 수렴된다. 그에게 사랑이란 “삶의 가장 상징적인 요소의 하나”이자 “인간관계의 절정”이며 절망으로 추락하지 않고 “죽음에 맞설 수 있게 해 주는 유일한 요소”였다.
그의 사랑 개념은 시를 쓰고 투쟁해야 하는 이유와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그의 시에서 사랑은 개인의 범주에 머무르지 않고 한발 더 나아가 조국과 민중, 더 나아가 인류 보편에 대한 광대한 전망으로 확장된다. 이 책에 실린 〈그대를 사랑해〉에서 보이듯이 ‘나’가 ‘그대’를 사랑하는 것은, “그대의 손이 / 정의를 위해 일하기 때문”이고, “그대의 눈빛이 / 미래를 응시하고 미래의 씨앗을 뿌리기 때문”이며, “그대의 입이 / 저항을 외칠 줄 알기 때문”이고 “그대가 곧 민중이기 때문”이다.
20세기 라틴아메리카에서 작가에게 펜은 불의에 맞서는 총과 다를 수 없었다. 1973년 베네데티의 조국 우루과이에 쿠데타로 인한 군사정부가 들어서자, 뚜렷한 현실 참여 행보를 보이던 베네데티에게 혹독한 정치적 탄압이 이어졌다. 이에 베네데티는 우루과이 국립대학의 학과장직을 사퇴하고 12년간의 긴 망명 생활을 시작한다. 이 기간 베네데티는 화인처럼 선명한 흔적을 남긴 망명의 경험을 더 넓고 더 깊은 보편의 차원으로 승화시킨다. “우리가 노래하는 것은 외침만으로는 부족하고 / 눈물이나 분노로도 충분치 않기 때문 / 우리가 노래하는 것은 사람을 믿기 때문 / 패배를 이겨 낼 수 있기 때문”이고, “우리가 노래하는 것은 밭고랑 위에 비 내리고 / 우리는 삶의 투사이기 때문”이다. 그에게는 언제나 돌아갈 중심인 조국이 있었기에 그의 망명은 결코 도피나 방황이 아닌 성숙을 동반한 진정한 여행이었다.
베네데티의 시는 언제나 평범한 보통 사람들을 향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의 시어는 단순하면서도 투명하다. 그의 시가 그려 내는 이미지는 누구나 실생활에서 인식하고 경험할 수 있는 데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의 시는 기발한 비유를 동원하거나 호들갑스럽게 감정을 표출하는 허영을 드러내지 않으며, 난해하거나 실험적이지도, 특별한 지적 도전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누구나 읽고 즐기고 이해할 수 있는 소박하고 명료한 베네데티의 시어는 그러므로, 이름 없는 민중들의 언어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베네데티는 평범한 독자들의 눈높이에 자신을 맞추고 가슴으로 다가간 진정한 민중 시인이었다.
파블로 네루다, 로베르토 볼라뇨, 세사르 바예호 등의 시를 비롯해 남미 문학을 꾸준히 국내에 소개해 온 김현균 역자가 그의 대표 시 95편을 선정해 번역했다. 특히 이번 책에는 역자에게 마리오 베네데티를 처음 알게 해 준 고 이성형 교수(1959∼2012)의 에세이 〈노래로 살아 있는 시인, 마리오 베네데티〉(2009)의 전문을 부록으로 실어 감동을 더했다. 역자에게 베네데티의 시를 처음 알려 준 이성형 교수에게 그의 시를 꼭 번역하겠노라 약속한 바를 이 책으로 뒤늦게나마 지켰다는 역자 후기는 베네데티의 시와 더불어 독자들의 가슴을 훈훈하게 덥혀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