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의 특징
디지털 전환과 녹색 전환은 오늘날 세계 국가들의 미래전략, 외교전략의 핵심 어젠다가 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25년까지 산업의 디지털화가 창출할 사회적 가치를 100조 달러 이상으로 전망한 바 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 향후 10년간 새롭게 창출될 경제가치의 70%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산업 디지털 전환(DX)이란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AI, 5G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산업 활동 과정에 적용해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 제품의 고도화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정부는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제조혁신을 강력하게 추진하며, 정부·민간·지역이 원팀으로 2027년까지 디지털 제조혁신 기업 2만 5000개를 육성해 지능형 공장의 질적 고도화와 양적 개선을 이루는 정책을 발표하였다.
특히, 뿌리산업은 그간 디지털 전환이 더뎠으나 로봇 및 센서 가격의 하락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으로 디지털 기술의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있다. 철강 분야 디지털 전환은 그동안 대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포항시는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철강·금속 DX 실증센터 구축’을 위해 2024년도 국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불어 건설업계에도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첨단 공법이 도입되면서 효율성을 개선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국은 농업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첨단 기술과 농업의 융·복합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그린 바이오, 애그테크(Ag-tech) 및 푸드테크(Food-Tech)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디지털 대전환시대,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혁신적 변화를 주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디지털전환 정책/ 기술개발 분석 -제조업·에너지·플랫폼·농업·제약」을 발간하였다. 1장에서는 주요국 DX정책과 중소기업 DX실태 분석, 2장에서는 스마트 제조혁신 동향, 3장에서는 뿌리/석유/철강/건설부문 DX, 4장에서는 에너지/조선/통신부문 DX, 5장에서는 국내외 산업/기업별 디지털기술 추진현황과 사례, 6장에서는 농업부문 DX, 7장에서는 제약/바이오/보건부문 DX를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