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자연적인 것’은 그저 ‘자연스러운 것’이 정체를 드러낸 것일 뿐!
에밀리 디킨슨의 편지들에는 꽃과 새, 계절 같은 친근한 소재에 추상적인 사고와 실존적인 주제들을 응축된 표현에 담은 간결한 스타일로 매우 현대적이고 독특한 감각을 보이는 시적인 문장들이 넘실거린다. “디킨슨의 편지들은 시인의 시 세계를 정의하는 특징들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위대한 시인이 아닌 가까운 친구이자, 삶의 동반자, 예술적 동지, 그리고 애달픈 연인으로서 디킨슨이 전하는 조심스러운 부탁이, 안타까운 고민이, 따뜻한 안부가, 당돌한 질문이, 그윽한 걱정이 어느 다정한 이의 속삭임처럼 시공간을 초월해 지금, 이곳에 도달하고 있었다. 시인이 신중하게 골라 쓴 단어들에 어린 설렘과 아쉬움의 감정에서 오히려 묵묵한 위로가 전해졌고, 때로는 그저 그 사랑스러운 편지를 정성스레 써나가는 모습을 옆에서 조용히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 같았다.
-박서영, 「작품에 대하여」에서
로드 판사
디킨슨의 연인 로드 판사에게
히킨슨
오티스 로드는 시인의 아버지의 사상적 동지였는데 아내와 사별한 후에 디킨슨과 급격히 가까워졌다. “제 모든 삶은 (뺨은) 열기로 가득 차요. 당신의 황홀한 단어들-(넘실거리는 말들)-이 가까워지면.” 디킨슨이 로드 판사에게 보낸 격정적인 편지들은 수신인 측에서 제공한 것이 아니라 미발송의 초고들이 대부분이라 절절한 감정이 고스란히 담긴 ‘러브레터’가 되었다. “공기는 이탈리아만큼이나 부드럽지만, 그것이 저를 건드릴 때면 저는 한숨과 함께 그것을 내쳐버리죠. 당신이 아니니까요.”
디킨슨의 문학적 스승 히긴슨에게
토머스 히긴슨은 디킨슨 자신이 먼저 시적 스승으로 삼은 인물이다. “‘초자연적인 것’은 그저 ‘자연스러운 것’이 정체를 드러낸 것일 뿐이라고-” 그에게는 주로 문학적 관심사에 대한 주제가 많다. “제 관심은 둘레에 있어요-관습적인 것이 아닌, 모르는 것에 대해.” “제가 ‘통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죠-제게는 재판정이 없어요.” “클수록-천천히 자라나네.”
홀랜드 부인
디킨슨이 속마음도 얘기했던 홀랜드 부인에게
엘리자베스 홀랜드는 디킨슨과 평생 돈독한 우정을 맺은 언론인이다. “가장 소중한 소유는 가장 덜 소유한 것에 있답니다.” 그녀에게는 가장 내밀한 감정과 평소의 생각들을 여과 없이 써 내려갔다. “인생은 가장 뛰어난 비밀! 그 비밀이 유지되는 한, 우리는 모두 속삭여야만 해요.”
새뮤얼 볼스
디킨슨의 조언자였던 언론인 볼스에게
수전 길버트
《스프링필드 리퍼블리컨》의 발행자로서 디킨슨이 존경했던 인물이다. “당신의 목소리는 우리 모두의 궁전이에요. ‘가까우면서도, 먼.’” 내면의 갈등과 혼란을 솔직히 전한 편지들이 많다. “믿는 만큼이나 열렬하게-의심하며.” 그러나 은둔자 시인의 도전적이고 역동적인 정신을 엿볼 수 있다. “도자기 같은 삶을 사는 누군가는 모든 것이 잘 되고 있다고 확인하고 싶어 하지요. 부서진 그릇더미 속에서 자신의 희망을 마주치지 않기 위해.”
디킨슨의 오빠와 결혼한 친구 수지에게
수지는 은둔자 시인이 자기 시를 가장 많이 보여준 문학 동지다. “우리만이 유일한 시인이고 나머지 사람들은 산문이라는 상상에 즐거워하는 우리 자신을 위해.” 학창 시절에 쓴 편지에는 문학소녀의 싱그러움이 느껴진다. “형태들은-고독함-그리고 빛과 그림자들, 각각이 하나의 고독이지.” 수지는 동갑내기 친구이자 디킨슨의 오빠와 결혼한 올케로서 서로의 삶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사이다. 그래서 일상의 위로와 평소의 생각이 많이 담겨 있다. “사랑하는 이들은 - 죽을 수 없어 -사랑은 불멸하니까 -아니 - 사랑은 신성하니까 -”
“그런데 정오가 되면 그 앙증맞은 꽃들이 웅장한 태양 앞에서 괴로워하며 고개를 숙인단다. 너는 이 목마른 꽃송이들에게 필요한 게 오로지 이슬뿐이라고 생각해? 아니야. 그 꽃들은 계속해서 태양을 향해 울부짖고, 불타오르는 정오를 갈망할 거야. 그것이 그들을 시들게 하고, 상처 입힐지라도. 그들은 조용히 견뎌냈어.”
-에밀리 디킨슨, 『결핍으로 달콤하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