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23년 우수출판콘텐츠 지원사업』 선정작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고 유린하는 가장 잔인한 범죄, 성범죄
성범죄 이면의 왜곡된 성심리와 가해자, 피해자의 심리구조 전격 해부
이 책은 성범죄를 일으키는 왜곡된 성심리, 남녀의 상반된 무의식, 사회 문화적 원인에 대해 파헤친 가장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서적이다. 그간 성폭행의 양상과 법적 처벌에 관한 자료는 많이 있었지만 실제로 성범죄자가 누구인지, 성범죄 이면에 작동하는 무의식은 무엇인지, 왜곡된 성심리가 어떻게 성범죄를 낳는지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었다. 이 책은 성범죄 이면에 작동하는 성심리를 통해 성범죄자를 분류하고 상담심리의 관점에서 각 범주에 속한 성범죄자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특히 성범죄를 지칭하는 서구의 복합적이고 혼란스러운 개념을 국내 실정에 맞게 새롭게 정리하여 제시한다.
본서가 가진 미덕은 성범죄 자체를 다루는 기존의 저서들이 가진 한계를 벗어나 성범죄자의 심리에 주목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성범죄자는 사회 문화적으로 따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우리 내면에 있다는 저자의 전제를 기반으로 하여 가해자와 피해자의 왜곡된 성심리를 파헤쳐 성범죄를 미리 예방하는 데 집중한다. 성범죄가 발생했을 때 피해자를 어떻게 상담하고 치료할 것인지 구체적인 프로세스도 제시한다. 나아가 본서는 올바른 성교육과 바람직한 성문화를 정착하기 위해 사회와 정부, 직장과 개인이 어떤 대안과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지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1장은 성범죄의 원인과 심리를 문화사적 측면에서 탐구하고 있다.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성범죄자의 사례와 인물 분석을 통해 읍소형, 회피형, 몰두형, 전가형, 폭행형, 낭만형으로 나누고 각기 범주에 속하는 심리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3장은 성범죄를 바라보는 사회의 왜곡된 성인식과 가해자가 개발한 신화들을 분석하고 있다. 4장은 성범죄 피해자의 관점에서 남녀의 상반된 성심리를 조망하고 있다. 5장에서는 성범죄 피해를 입었을 때 가해자와 피해자가 갖는 서로 다른 심리와 관점의 차이를 살핀다. 6장은 구체적으로 상담심리적 관점에서 성범죄 피해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살핀다. 7장에서는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문화 조성과 심리적으로 건강한 자아 형성을 위한 교육, 이상적인 남녀관계에 대한 조언을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