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김해공항의 현주소를 살펴봤다.년 월,김해 돗대산에 충돌한 중국 민항 사고기의 공개된 블랙박스를 통해 사고 원인을 짚어보고,군사공항으로 출범한 김해공항의 태생적 한계와 안전하지 않고 이미 포화상태인 김해공항의 현황과 구조적 문제점을 다루었다.
2장
역대 대통령의 동남권 신공항에 대한 공약과 의사결정의 번복,그리고 그 정치적 배경과 의도를 따져보았다.김해공항의 사고 재발 방지와 급증하는 항공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의 필요성과 실현 방안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고민과 모색을 정리하였다.
3장
‘A남부권 신공항 입…지 선정을 위한 사전타당성 연구용역 결과’(김해신공항,자 활주로)와 기재부의 ‘K예비타당성 연구용역 결과’(수요와 시설 규모 및 공사비 축소와 전체 사업비 확대)에 대한 김해신공항반대시민대책위와 부울경 동남권 신공항 의 검증 결과를 꼼꼼하게 살펴보았다.
4장
국토부가 이미 추진하고 있던 ‘김해신공항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에 대해 사타 결과 및 예타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지적한 내용과,예결특위에서 집중적으로 제기한 문제점,그리고 부울경 시·도지사가 독자적인 부울경 검증단을 구성하여 스모킹 건을 찾는 본격적인 검증과정과 결과를 상세히 다루었다.
5장
국무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 구성과 ‘국토부 기본계획 및 부울경 검증보고서 내용을 재검증’하여 총리실이 ‘최종… 판정’을 내린 과정을 담았다.
6장
총리실 검증위가 김해신공항에 대해 ‘근본적 재검토’라는 최종… 판정을 내리고 국무회의에서 김해신공항 기본계획 용역을 중단,백지화시키고 가덕도신공항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7장
가덕도신공항 건설로 육·해·공 트라이 포트의 가장 핵심적인 마지막 퍼즐에 포커스를 맞추었다.년 동안 막혔던 동남권 신공항의 물꼬가 터지고 마침내 돌고 돌아서 가덕도신공항으로 방향을 잡았다.육·해·공 트라이포트 기반의 동북아 물류 플랫폼을 구축하고,부울경 초광역 경제권 구축과 단일 경제·생활권으로서 부울경 메가시티 건설과정을 다시 설계하고 실행계획을 전망해보았다.
보론은 3장으로 정리했다.
보론 1장
이 책의 핵심 키워드인 트라이포트와 메가시티 발전을 다루었다.먼저 항공화물운송과 공항의 변천,육·해·공 트라이포트와 공항복합도시 성장사 일반을 정리하였다.
보론 2장
한국의 항공산업과 공항의 역사를 시대별로 살펴보았다.항공산업과 공항의 발전이야말로 압축적으로 고도 성장해왔던 한국경제의 상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론 3장
하늘을 날고픈 인간의 꿈을 실현하고자 했던 비행기의 진화와 공항 발전의 역사를 정리했다.기후위기시대의 항공기와 미래 공항의 모습도 그려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