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성』_케이트 쇼팽
“케이트 쇼팽은 여성의 역사적 투쟁에 중요한 한 걸음을 내디뎠다.”
_샌드라 길버트(영문학자, 『다락방의 미친 여자』 저자)
직설적이고 아름다운 은유를 담은 가장 케이트 쇼팽다운 작품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저자 하미나 서문 수록!
부정한 여성을 그렸다는 이유로 출간 당시 수많은 비평가와 독자에게 혹독한 외면을 받았던 이 작품은 주인공 에드나가 남편과 아이들과 함께 떠난 휴양 섬 그랜드 아일에서 새로운 사랑과 자아를 발견하면서 진정한 자신으로 ‘깨어나는’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시대를 뛰어넘은 날카로운 주제의식과 작가 특유의 아름다운 상징과 세련된 은유는 케이트 쇼팽의 독창적인 세계를 드러내 미국 문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 억압적인 관습의 틀을 깨려는 능동적인 열망을 지닌 여성 주인공 에드나는 그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여성상이었다. 페미니즘 문학의 출발을 알린 이 기념비적인 작품은 시대를 뛰어넘어 오늘날까지도 우리에게 솔직한 자신의 욕망을 대면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어긋난 나의 세계를 하나로 잇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깨닫게 해준다.
『테레즈 라캥』_에밀 졸라
“처음 읽자마자 영화로 옮기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_박찬욱
자연주의 문학의 시작을 알린 에밀 졸라의 문제작, 영화 〈박쥐〉의 원작
***《씨네21》이다혜 기자 서문 수록!
고모의 손에 이끌려 병약한 사촌 카미유와 함께 자라 결혼까지 해야 했던 테레즈, 그런 테레즈와 금기된 사랑에 빠진 카미유의 동료 로랑, 증오와 욕정이 뒤엉켜 파멸로 치닫는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테레즈 라캥』은 치밀하고 집요한 시선으로 인간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사실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자연주의 문학의 기틀을 확립한 프랑스의 대문호 에밀 졸라의 대표작이다. 출간 당시 불륜, 살인과 같은 소재의 선정성으로 세간의 질타를 받았지만 작가는 그러한 비판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서문’을 2판에 덧붙여 자신의 문학 이론을 더욱 견고히 했다. ‘인물이 아닌 기질을 연구하고자’ 했다는 작가의 말대로 이 작품은 행위를 거슬러 인간의 내면을 깊이 탐구하며 훗날 에밀 졸라를 대가의 반열에 올려놓은 ‘루공 마카르 총서’의 서막이 된다. 나약하고도 파괴적인 인간의 면모를 생생히 드러내 박찬욱 감독 영화〈박쥐〉의 원작이 되기도 하며 연극, 뮤지컬, 오페라까지 지금도 끊임없이 재탄생되고 있는 시대의 걸작이다.
『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_조라 닐 허스턴
가부장제와 인종차별의 이중 억압 속, 자아를 마주하는 어느 흑인 여성의 이야기
흑인 페미니즘 선구자 조라 닐 허스턴의 대표작
***『말을 부수는 말』 저자 예술사회학자 이라영 서문 수록!
『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는 참된 사랑과 자유를 좇아 세 번의 결혼 끝에 독립적인 자아로 거듭나는 흑인 여성 제이니의 결혼 일대기를 담은 작품으로 할렘 르네상스의 주역이자 흑인 페미니즘 선두주자라 불리는 조라 닐 허스턴의 대표작이다.
가부장제와 인종차별의 이중 억압에서 벗어나 동등하고도 진실한 사랑을 찾아 나서는 제이니의 여정을 통해 작가는 백인 중심 사회에서 살아가는 흑인의 비참한 삶과, 가정에 종속되거나 남성의 소유물로 편입되는 결혼 제도 속 여성의 저항 의식을 보여주고자 했다. 인류학자이기도 했던 작가가 흑인 사회 속 언어와 문화를 생동감 있게 재현해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작품은 작가가 사망한 뒤 한동안 잊혔다가 1960년대 민권 운동과 1970년대 페미니즘 부상으로 재발견되었다. 일대기 형식의 흥미로운 서사, 여성과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펼쳐내는 주제의식이 후대 작가들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이제는 반드시 읽어야 할 고전의 대표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