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디어 문해력으로도 치환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각광을 받으며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관련 책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미디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층이 이해하기 쉽게 쓰인 도서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미디어문화연구실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과 참여,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연구를 수행해 온 이창호 박사가 자신의 기자 경험담과 오랫동안의 연구물들을 토대로 본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이제까지 ‘청소년 미디어 서적’이라고 하면 미디어 중심으로 접근해 단편적인 서술에 그치거나, 학술서의 성격 때문에 청소년이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은 수십 년간 청소년 및 교사, 정책 전문가들과의 연구를 통해 도출한 용어와 개념을 청소년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서술하였고, 다양한 사진과 이미지, 도식 등을 활용해 청소년뿐만 아니라 미디어 교육에 관심 있는 누구라도 쉽게 읽어내려갈 수 있다. 더욱이 60년대 사용한 미디어부터 최근의 챗GPT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디어들을 특징적으로 다루고 있고, 미디어 효과 이론과 같이 미디어 이론에 대한 접근도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하였다. 또한 확증편향이나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미디어 문해력) 역량을 디지털 시대에 청소년들이 갖춰야 할 필요 역량으로 제시하는 등 두껍지 않은 분량임에도 알차고 시의성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저자는 전직 기자 출신으로서 뉴스에 대한 이해를 심층적으로 서술했고, 현직 연구기관의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자답게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을 미디어 이용 태도와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다루었으며, 최신 미디어인 메타버스와 챗GPT, 인공지능에 대한 탐색도 윤리적 측면까지 도출하여 충실히 다루었다. 특히 아동학대사건보도나 선거보도 등 다소 심도 있는 내용의 미디어 비평 사례까지 다뤄, 챗GPT 시대 청소년이 갖춰야 할 리터러시 역량을 성찰적으로 논의하였다.
1장 미디어란 무엇일까요?
이 장은 미디어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아울러 미디어가 우리 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분석합니다. 다양한 미디어 경험담에서 시작하여 미디어의 개념 정의와 역할, 미디어 효과 이론을 풍부한 사례와 함께 살펴봅니다.
2장 뉴스에 대해 알아볼까요?
이 장은 대표적인 미디어인 뉴스에 대해 살펴봅니다. 또한 뉴스기사 작성법과 어떤 것이 뉴스가치가 있고 언론의 역할은 무엇인지 탐색해 봅니다. 특히 기자의 역할과 함께 특파원과 시민기자에 대해 살펴보고 AI 기자의 등장과 로봇 저널리즘을 통해 뉴스의 미래도 함께 조망합니다.
3장 언론은 어떻게 현실을 구성할까요?
이 장은 언론(미디어)이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을 알아봅니다. 게이트키핑, 뉴스 프레이밍, 미디어 재현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뉴스미디어가 현실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탐구해 봅니다. 다양한 사례를 들어 미디어가 현실을 제대로 재현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을 강조합니다.
4장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의 특성은 무엇일까요?
이 장은 청소년들이 가장 즐겨 이용하는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의 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아울러 이러한 소셜 미디어가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논의하고 슬기롭게 미디어를 이용ㆍ제작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5장 메타버스와 챗GPT의 특성은 무엇일까요?
이 장은 메타버스와 챗GPT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봅니다. 또한 이들 매체를 잘 활용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와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6장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요?
이 장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문해력)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적 실천 사례와 함께 유럽위원회와 미국 커먼센스 등 외국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사례도 다룹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본질적 역량과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합니다.
7장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이 장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뉴스 보도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즉 가짜뉴스, 낚싯성 기사, 인공지능 등 우리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정보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알려줍니다.
8장 미디어 비평 사례를 들어볼까요?
이 장은 실제 미디어 비평 사례를 다룹니다. 저자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학대사건보도, 선거보도, 자살보도, 코로나19 보도 등에 나타난 언론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유튜브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해 탐색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