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사 생활 42년 6개월, ‘똥교장’ 선생님의 행복한 학교 만들기
42년 6개월 동안 초등학교 교사로 살아온 윤태규 선생님이 전하는 초등 교육 이야기를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교장이 되어 새롭게 실천한 교육 사례와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학교 안과 밖에서 겪은 생생한 이야기를 담았다.
윤태규 선생님은 초등학교 교장 발령을 받은 첫날 입학식에서 ‘학교장 말씀’을 하며 아이들에게 세 가지를 부탁한다. ‘첫째, 아침마다 스스로 일어나기. 둘째, 아침밥 천천히 꼭꼭 씹어 배불리 먹고 오기. 셋째, 아침마다 똥 누고 오기’ ‘똥’으로 첫인사를 건네니 아이들도, 학부모들도 웃음이 가득했다. 그렇게 윤태규 선생님은 ‘똥교장’이라는 별명을 얻는다.
‘똥교장’ 윤태규 선생님은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아이들, 선생님뿐만 아니라 행정실 직원, 급식실 직원, 보조원, 학교 지킴이, 놀이 도우미 등 학교에서 만나는 모든 이들과 소통하고 이야기를 나눈다. 하는 일이 서로 다를 뿐 아이들을 위해서 일하는 건 똑같기 때문이다.
윤태규 선생님에게 초등학교는 공부하는 곳이 아니라 기본 습관을 기르는 곳이다. 또한, 학교에서는 ‘잘’이 아니라 ‘재미’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공부가 재미있어야 공부하는 습관이 길러진다. 아이들에게 공부란 ‘잘’해야 하는 게 아니고 ‘재미있게’ 해야 하는 것이다. 이 책에는 재미있고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실천한 소중한 기록들을 모았다. 권위적이지 않고 친근한, 아이의 행복이 가장 먼저인 교장 선생님의 따뜻하고 솔직한 이야기를 전한다.
아이의 행복이 가장 먼저인 똥교장 선생님
교장이 되어 실천한 기록 한 조각
학교의 구성원은 학생, 교사, 학부모이다. 교육 삼주체가 바로 설 때 학교가 바로 선다. 서로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존중하며 소통할 때 진정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교권이 무너지고 학교에 대한 불신이 큰 지금 《똥교장 선생의 초등 교육 이야기》는 교육의 삼주체를 나누어 이야기하면서 우리 교육에 필요한 지혜와 생각할 거리를 전한다.
1장 ‘신나는 아이들’에서는 교장이 되어 만난 아이들 이야기를 담았다. 처음 발령받은 학교에서 아이들을 번거롭게 한 실내화 주머니를 없앤 까닭과 과정을 설명하며 초등학교에서 자치와 자율에 대한 생각을 전한다. ‘소통 칠판’을 통해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려는 저자의 마음을 살펴볼 수 있고, 교장실을 ‘이야기 교실’로 만들어 언제든 아이들이 편히 놀러 올 수 있게 한 선생님의 노력과 정성을 통해 아이들에 대한 사랑을 엿볼 수 있다.
2장 ‘정다운 선생님’에서는 교사로 살아온 자신의 삶과 선후배 선생님들 이야기를 담았다. 쑥스럽던 스승의 날의 기억, 40여 년 전 제자들과 ‘전국노래자랑’에 출연하게 된 추억들을 이야기한다. 교사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일하는 모든 이들이 참여해 학교 구성원 모두가 공동체 주인임을 확인한 ‘이야기가 있는 워크숍’, 격려와 위로를 담아 보낸 ‘아침 편지’를 살펴보면 선생님들을 향한 애틋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 장에 실린 여러 일화를 통해 교사로서의 교육 철학,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 수 있다.
3장 ‘함께하는 학부모’에서는 학부모들과 만난 이야기를 주로 담았다. 학부모와 함께 학교 벽화 그리기, 아이들에게서 시작해 학부모들에게까지 번진 토론회, 놀이가 중심이 되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결성한 ‘놀이 도우미’, 학부모 자치 학교운영위원회처럼 학부모들은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며 학교를 경험하고, 학교의 주체로서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 준다.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데는 아이들은 물론 부모에게도 건강한 소통과 자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학부모와 교사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교장 선생님의 이야기를 보며 학교 내에서 교장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4장 ‘행복한 우리 학교’에서는 교장이 되어 새롭게 실천한 교육 사례를 전한다. 독서 교육에서 있어야 할 것과 없애야 할 것, 방학 과제의 의미와 과제를 정하는 방법을 실제 아이들의 글을 예로 들어 보여 준다. 급식실 자율 조절대를 설치하며 깨달은 점과 급식 지도 방법, 학교신문 만드는 법과 원칙 또한 세세히 알려 준다. 아울러 우리 교육에 대한 성찰, 학교의 역할에 대한 고민과 답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