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문화재 국보 제319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술술 읽고 쏙쏙 적용하다 보면
똑똑해지는 동의보감이 돌아왔다!
의사, 한의사를 꿈꾸는
우리 아이 첫걸음
영어를 비롯한 주요 과목의 선행 학습은 물론이고 케이팝 댄스와 연기까지… 요즘 아이들은 일찍부터 많은 걸 배운다. 일찌감치 진로를 정해 최적의 커리큘럼을 따라 열심히 노력을 기울이기도 한다. 그런데 정작 이 모든 배움이 일어나는 현장이자, 삶의 토대인 자신의 몸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왜 아침에 눈을 뜨기가 힘든 건지, 잠을 잘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왜 변비에 걸리는 건지 등 일상과 연결된 수많은 문제가 ‘몸’과 관련이 있는데도 이유를 모른 채 증상을 해결하는 데만 급급하다.
『깨봉이와 꼬미의 술술 동의보감 2권』은 일상 속 문제를 몸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대화로 가득하다. 한층 성장한 깨봉이와 꼬미가 복희씨와 주고받는 이야기를 읽는 것만으로, 음양의 균형을 이루는 몸의 신비를 알게 된다. 이처럼 자신이 경험하는 몸을 잘 알 때, 자기 몸의 주인으로서 꿈을 향해 건강하게 나아갈 수 있다. 이 책은 특별히 동서양 의학의 차이점과 역할도 다루고 있어, 의사·한의사 꿈나무들을 비롯한 아이들의 지적 시야를 넓혀 준다.
부모보다 아이가 먼저 지키는
건강한 생활 습관의 비밀
“뭐든 누가 하라고 해서 하는 건 오래가기가 어려워. 자기 스스로 왜 그래야 하는지를 확실하게 알아야 실천력이 생기지. 그렇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질문해 봐야 해. 왜 그런지를.” - 본문 중에서
몸에 생기는 여러 문제는 잘못된 습관과 관련이 깊다. 늦게까지 깨어 있고, 쉴 때도 스마트폰을 보고, 밤늦게 야식을 먹는 등 우리가 익숙하게 하고 있는 일들이 몸의 균형을 깨지게 만든다. 몸을 건강하게 돌보는 것은, 곧 올바른 생활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지나치게 한쪽으로 치우친 습관을 바로잡는 일이며, 욕망을 조절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 문제는 하지 말라거나 하라거나 하는 방식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먹고, 움직이고, 잠자는 우리의 습관이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알게 될 때, 스스로 실천할 힘도 생긴다.
이 책 속에서 복희씨를 비롯한 어른 캐릭터들은 아이들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는다. 단지, 깨봉이와 꼬미가 스스로 필요를 깨닫도록 도울 뿐이다. 깨봉이와 꼬미는 일상에서 찾은 문제를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만의 이유를 찾아낸다. 그리고 이를 원동력 삼아 스스로 실천한다. 엄마 아빠가 잔소리할 틈도 없이!
우리 몸이 곧 자연!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배워요
“사람의 머리가 둥근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고, 사람의 발이 넓적한 것은 땅을 본뜬 것이다.” - 『동의보감』 중에서
『동의보감』에 의하면 우리 몸은 자연에서 왔고 자연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자연의 리듬을 따라 살 때 건강할 수 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우리는 자연의 리듬과는 상관없이 살 수 있다는 듯 행동하고 있다. 여름엔 에어컨으로 땀구멍을 막고 겨울엔 지나친 난방으로 몸속 진액을 말린다. 지금의 기후 위기는 이렇게 자연의 리듬을 거스르고 편리함만을 좇아서 산 대가이다.
이 책의 에피소드에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인간의 행동이 북극곰 꼬미의 삶에 어떤 위협이 되는지 녹아 있다. 이를 통해 자연과 내 몸이 하나임을 알아 가며, 내 몸을 질병에서 구하는 일과 지구를 위기에서 구하는 길이 하나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길은 어렵고 복잡한 일이 아니라 낮과 밤, 봄·여름·가을·겨울이 순환하는 리듬을 따라 사는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