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의 관점에서 리빙랩을 분석한다!
한국에서는 2010년대 초반에 리빙랩이 소개된 이후 전국에서 많은 리빙랩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한국은 비서구권 국가 중에서 리빙랩 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국가다. 한국의 리빙랩은 중앙집중식, 그리고 정부 주도형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전형적인 상향식(bottom up)인 유럽식과 비교하면 장단점이 있다. 이 책에서는 유럽 도시들의 리빙랩과 한국의 리빙랩을 소개하며 비교하고 있다. 또한, 리빙랩의 개념과 역사, 국내외 현황, 중요성과 함의 등을 소개하고, 특히 대학 수업에서의 리빙랩 활동 사례를 통해 대학 수업 기반 리빙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리빙랩 활동 과정에서 사람들은 보통 자기 자신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를 제기한다. 그 문제는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공동체의 문제일 수도 있다. 리빙랩은 물론 이러한 문제를 치료하는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또한, 기존 정치를 대체할 새로운 모델이 되기보다는 기존 정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리빙랩의 효용에 대해 생각해보고, 내가 속한 지역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그 문제가 어떤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지를 이 책을 읽고 고민하는 계기를 만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