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 이 책의 특징
제1부 사회편
사회학·사회사상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사회학의 흐름을 주로 미국 사회학과 구소련 사회학을 비교·개관해 본다. 현대 사회학의 흐름과의 관련 하에서는 갈등 이론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있는 터너의 글을 수록하였다. 또한 사회학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의 중심 논제를 개괄하였다. 즉 사회학의 고전 이론가인 뒤르켐, 그리고 파슨스로 대표되는 주류 사회학, 기든스로 대표되는 비판 사회학, 마지막으로 제 3세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사회학 이론으로 형성되고 있는 종속 이론, 사회구성체 이론을 칠코트의 글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제2부 경제편
흔히 근대의 학문이라고 일컬어지는 경제학은 삶의 토대를 형성하는 물질적 제관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경제학·경제사상의 흐름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관점에 입각, 논의가 무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먼저 경제학의 서로 다른 논의들이 세 계관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가를 다룬다. 이와 같은 논의들이 역사적 흐름을 어떻게 형성해 왔는가를 다룬 글을 실었다. 또한 아담 스미스를 필두로 한 고전경제학 이론, 주류·비 주류경제학, 종속 이론, 마르크스주의 경제 이론 등 경제학의 역사적 전개와 이론적 쟁점 을 중심으로 정리·구성하였다.
제3부 정치편
정치학의 다양한 분야 중에서 정치사상 분야는 정치학의 세분화된 모든 문제의식을 총체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므로 정치사상의 역사적 전개는 정치학의 역사 적 전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록되어 있는 각 글은 위의 전제에 의거하여 정치사상 의 전개와 이론적 쟁점이 드러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논의의 중심 또한 현대 정치학에 둔 것이다. 현대 정치학의 흐름과 정치사상의 비교를 다루고 있는 두 편의 글을 통해 정치학·정치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며, 로크의 정치사상으로부터 맨리의 신다원주의에 이르기까지 정치와 권력, 국가, 정치체제에 관해 제기된 이론적 쟁점을 정 치사상적 차원에서 정리·배열하였다.
[리딩 컬처북 2 인문과학 영문독해]
ㆍ 목차
[제1부 철학편]
제1장 Jügen Habermas | Theory and Practice
위르겐 하버마스 | 이론과 실천
제2장 Ernst Bloch | A Philosophy of the Future
에른스트 블로흐 | 미래의 철학
제3장 W. K. C. Guthrie | The Greek Philosophers: From Thales to Aristotle
W. K. C. 거스리 |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제4장 Jacob Bronowski & Bruce Mazlish |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From Leonardo to Hegel
제이콥 브로노프스키 & 브루스 매즐리시 | 서양의 지적 전통: 다빈치에서 헤겔까지
제5장 Immanuel Kant | Critique of Pure Reason
임마누엘 칸트 | 순수 이성 비판
제6장 G. W. F. Hegel | On Art, Religion, Philosophy
G. W. F. 헤겔 | 예술·종교·철학에 관하여
제7장 Bertrand Russell | An Inquiry into Meaning and Truth
버트런드 러셀 | 의미와 진리에 관한 탐구
제8장 Ludwig Wittgenstein |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 논리 철학 논고
제9장 Herbert Marcuse | Reason and Revolution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 이성과 혁명
[제2부 역사편]
제1장 Robert V. Daniels | Studying History: How and Why
로버트 다니엘즈 | 역사 연구: 어떻게 왜 해야 하나
제2장 Robin George Collingwood | The Idea of History
로빈 조지 콜링우드 | 역사 이념
제3장 Thomas Carlyle | Heroes, Hero-Worship and the Heroic in History
토마스 칼라일 | 역사 속의 영웅, 영웅 숭배, 그리고 영웅 정신
제4장 Karl Federn | The Materialist Conception of History
칼 페데른 | 유물론적 사관
제5장 Jacob Bruckhardt | Reflections on History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 역사에 관한 성찰
제6장 Friedrich Meinecke | The German Catastrophe
프리드리히 마이네케 | 독일의 파국
제7장 Arnold J. Toynbee | Civilization on Trial
아놀드 토인비 | 문명의 위기
제8장 E. H. Carr | The New Society
E. H. 카 | 새로운 사회
제9장 Karl R. Popper | The Poverty of Historicism
칼 포퍼 | 역사주의의 빈곤
제10장 Adam Schaff | History and Truth
아담 샤프 | 역사와 진실
[제3부 문학편]
제1장 Leo Tolstoy | What Is Art?
레오 톨스토이 | 예술이란 무엇인가?
제2장 Jean-Paul Sartre | What is Literature?
장 폴 사르트르 | 문학이란 무엇인가?
제3장 T. S. Eliot | Tradition and the Individual Talent
T. S. 엘리엇 | 전통과 개인의 재능
제4장 Austin Warren & RenéWellek | A Theory of Literature
오스틴 워렌 & 르네 웰렉 | 문학의 이론
제5장 Terence Hawkes | Structuralism and Semiotics
테렌스 호옥스 | 구조주의와 기호학
제6장 Lucien Goldmann | Towards a Sociology of the Novel
루시앙 골드만 | 소설 사회학을 위하여
제7장 Nothrop Frye | The Critical Path
노드롭 프라이 | 비평의 길
제8장 Roman Ingarden | The Literary Work of Art
로만 인가르덴 | 문학 예술 작품
제9장 Terry Eagleton | Marxism and Literary Criticism
테리 이글턴 | 마르크스주의와 문학비평
ㆍ 이 책의 특징
제1부 철학편
1부 철학편에서는 먼저 철학이라는 학문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거나 철학사의 흐름을 개관하는 글 대신, 철학·철학사를 관통하는 본질적인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두 편의 글을 실었다. 즉 철학적 사유의 근원과 이러한 철학적 사유의 중심적 과제란 무엇인가 라는 것 이다. 그 다음에는 고대 철학이나 중세 철학의 비중을 줄이고 현대 철학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철학사의 방대한 흐름을 작은 지면에 가득 채울 수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 철학의 분화된 이론은 철학사의 역사성을 직접적으로 드러내 주고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제2부 역사편
역사를 보는 안목을 역사의식·역사관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살아왔던 수많은 시간의 의미를 우리는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 2부 역사편에서는 먼저 역사학 연구의 필요성과 그 대상, 방법, 가치 등을 논한 글을 수록했으며,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 해 논의되었던 다양한 역사의식·역사관(영웅사관·유물사관·문화사관·역사주의사관·실증 사관)을 수록했다. 마지막으로 아담 샤프의 글을 통해 역사의 의미를 재음미하고자 했다.
제3부 문학편
문학이란 언어를 표현매체로 하는 예술 및 그 작품을 의미한다. 오래 전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문학이라는 말을 대체적으로 학문이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점차 의미가 한정되어 오늘날에는 단순히 순수문학만을 가리킨다. 따라서 3부 문학편에서는 먼저 예술과 문학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논한 두 편의 글을 실었으며, 엘리엇을 필두로 하여 문학사회학, 현상학적 문학비평, 역사성과 미적 가치, 문학과 리얼리즘, 마르크스주의와 문학비평 등 문학과 문학이론에 관한 글을 소개하고 있다.
[리딩 컬처북 3 자연과학 영문독해]
ㆍ 목차
[제1부 과학 기술]
제1장 Star Wars
스타워즈
제2장 Barbara B. Dolan | One Miracle, Many Doubts
바바라 돌란 | 하나의 기적, 많은 불확실함
제3장 Bio-Warfare
생물학전
제4장 David Bull | A Growing Problem: Pesticides and the Third World Poor
데이비드 불 | 커가는 문제: 농약 공해와 제3세계의 빈곤
제5장 R. P. Turco | Nuclear Winter: Global Consequences of Multiple Explosion
R. P. 터르코 | 핵겨울: 다중 폭발로 인한 세계적인 결과
제6장 E. F. Schumacher | Small is Beautiful
E. F. 슈마허 | 작은 것이 아름답다
제7장 Bill Zimmerman | People’s Science
빌 짐머맨 | 인간의 과학
[제2부 과학과 사회]
제1장 Thomas S. Kuhn |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토머스 쿤 | 과학 혁명의 구조
제2장 S. F. Mason | A History of the Science (1)
S. F. 메이슨 | 과학의 역사 (1)
제3장 S. F. Mason | A History of Science (2)
S. F. 메이슨 | 과학의 역사 (2)
제4장 J. D. Bernal | Science in History (1)
J. D. 버널 | 역사 속의 과학 (1)
제5장 J. D. Bernal | Science in History (2)
J. D. 버널 | 역사 속의 과학 (2)
제6장 Charles Darwin | Origin of Species
찰스 다윈 | 종의 기원
제7장 Werner Heisenberg | Physics & Philosophy
워너 하이젠베르그 | 물리학 & 철학
제8장 Loren R. Graham | Origin of Life
로렌 R. 그레이엄 | 생명의 기원
[제3부 과학 철학]
제1장 Arthur Lovejoy | The Great Chain of Being
아서 러브조이 | 존재의 대사슬
제2장 S. F. Mason | A History of the Science
S. F. 메이슨 | 과학의 역사
제3장 Michael Ruse | Darwinism Defended
마이클 루즈 | 다윈주의 옹호
제4장 Loren R. Graham | Science & Philosophy (1)
로렌 R. 그레이엄 | 과학 & 철학 (1)
제5장 Werner Heisenberg | Physics & Philosophy
워너 하이젠베르그 | 물리학 & 철학
제6장 Thomas S. Kuhn |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토마스 쿤 | 과학 혁명의 구조
제7장 Loren R. Graham | Science & Philosophy (2)
로렌 R. 그레이엄 | 과학 & 철학 (2)
제8장 Alvin Toffler | The Third Wave
앨빈 토플러 | 제3의 물결
제9장 Donella H. Meadows | The Limits to Growth
도넬라 메도우 | 성장의 한계
제10장 Erich Fromm | To Have or To Be
에리히 프롬 | 소유나 존재냐
ㆍ 이 책의 특징
제1부 과학 기술
과학과 기술이 오늘날만큼 우리의 실생활·의식과 밀접히 연관된 때는 일찍이 없었다. 이제 고도로 발달된 과학·기술은 인류의 통제에서 벗어나 맹목적인 질주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한창 찬반의 논의를 낳고 있는 스타워즈(SDI), 심장이식, 생물학적 무기 개발 등 첨단 과학·기술에 관한 세 편의 글을 게재하였다. 또한 현대 과학·기술의 무절제한 개발 및 남용으로 파생된 문제를 정리하고 농약 공해·핵겨울 등에 관한 시사적인 최신 논문을 수록하였다. 이어서 제3세계 국가들에게 적합한 노동 집약적이고 관리가 간단한 적정기술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인간해방을 위한 과학·기술을 주창, 새로운 가능성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는 제3세계의 입장과 견해를 살펴본다.
제2부 과학과 사회
우리는 흔히 과학과 그 연구 활동이 사회와는 별개의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류의 창조적 생산 활동의 밑거름이자 그 소산인 과학이 사회의 흐름 및 구조와 무관하게 존립해 왔으며, 또 그렇게 존립할 수 있을까? 이는 과학의 역사, 즉 과학사를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과학이 우리의 의식과 생활을 어떻게 지배해 왔는가를 조망할 때에만 해석할 수 있는 문제이다. 2부 과학과 사회에서는 고대 그리스 과학에서부터 현대의 과학을 역사적으로 조망하는 여덟 편의 우수한 논문을 발췌, 과학과 사회의 상호 연관성·상호규정성을 규명하고 있다.
제3부 과학 철학
과학은 각 시대의 사고틀, 즉 철학체계와 세계관을 형성함에 있어 항상 기본적인 토대로서 기능해 왔다. 이와 같은 과학을 뒷받침하는 철학적 입장은 크게 형이상학적 자연관과 변증법적 자연관으로 나누어진다. 이에 따라 먼저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신다윈이즘 등으로 이어지는 형이상학적 자연관을 개관하고 있으며, 이어서 엥겔스를 비롯한 여타의 마르크스주의자들, 그리고 아인슈타인, 토마스 쿤을 필두로 하는 현대사상·철학을 살펴보고 있다. 또한 ‘제3의 물결’로 선풍을 일으킨 바 있는 앨빈 토플러의 낙관론적 견해를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며, 이후에는 인류의 미래, 과학·기술의 말로를 비관적으 로 바라보는 로마클럽, 에리히 프롬의 이념과 증언을 개관한다.